$\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성복 셔츠의 부위별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 분석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Study of Body Sizes Affecting to Shirt Fit Preference -Focusing on Women in their Twenti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3 no.1, 2019년, pp.51 - 64  

강여선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t size selection of shirts in the online purchasing environment. The preferred shirt fit was compared according to body size group. The subjects were 111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fter setting a virtual model with her own body sizes, sub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정해진 여유량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던 연구방법 대신 여유량이 다른 의복 호칭들 중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호칭을 선택한 후 선호 호칭과 신체 특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가장 영향이 큰 신체 특성에 따른 소비자들의 선호 여유량 차이를 분석하여 치수선택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핏 및 여유량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복 핏 예측과정에서 소비자가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해진 여유량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던 연구방법 대신 여유량이 다른 의복 호칭들 중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호칭을 선택한 후 선호 호칭과 신체 특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본 연구는 셔츠 부위별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밝히고 집단별로 실제 선호하는 길이와 여유를 밝힘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맞음새와 치수연구 및 의류상품의 치수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가상피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해 대상자 모두에게 여러 호칭의 셔츠를 착장시키고 선호 핏과 여유량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한 점은 기존 연구의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차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어 새로운 접근이라 하겠다. 그러나 연구의류가 특정 브랜드의 기본 피티드 셔츠로 한정된 점, 연구대상자가 20대 의류학과 학생인 점을 고려할 때 결과의 확대 해석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베이직 셔츠 호칭 선택 시 가슴둘레 치수 이외에 호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밝힘으로써 의복치수 선택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신체치수 특성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선호하는 핏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셔츠 부위별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핏 및 여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밝혀 IT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셔츠 호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성복 기본 셔츠를 대상으로 개인의 가슴둘레 치수에 해당하는 호칭, 1치수 작은 호칭, 1치수 큰 호칭, 2치수 큰 호칭 중 선호하는 핏을 조사하였으며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치수 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신체 특성과 선호하는 핏의 유의차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실제 착장 대신 가상피팅 환경을 활용하여 셔츠 부위별 선호 핏과 신체 특성의 관계를 분석한 기초단계 연구이다. 실제 착장과 달리 가상피팅 이미지만으로 선호하는 핏을 선택해야 하므로 가상피팅, 선호 핏 및 여유량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의류학 전공 학생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였다.
  • 이렇듯 본 연구는 셔츠 부위별 선호 핏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특성을 밝히고 집단별로 실제 선호하는 길이와 여유를 밝힘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맞음새와 치수연구 및 의류상품의 치수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가상피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해 대상자 모두에게 여러 호칭의 셔츠를 착장시키고 선호 핏과 여유량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한 점은 기존 연구의 여유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차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어 새로운 접근이라 하겠다.

가설 설정

  • 가설 2. 선호하는 핏 선택 시 신체크기보다 체형의 영향이 클 것이다.
  • 가설 1. 신체크기에 따라 셔츠 부위별로 선호하는 핏이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호 핏과 신체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선호 핏과 신체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 Lee(2012)는 키 집단에 따라 기성복 선호 스타일이다르고 재킷, 블라우스, 스커트, 바지의 부위별 맞음새결정 역할이 달랐다고 했으며 Seok(2010)은 재킷, 스커트, 바지의 선호 맞음새에 대해 연령과 비만에 따른 선호 차이를 분석했다. 다만 이러한 연구들은 여유가 많다 적다 등 주관적 어휘로 맞음새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설문조사에 의한 착의 평가 이외에 보다 객관적 방법으로 맞음새를 평가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Lee & Kim, 2016) Kim and Nam(2015)은 팬츠 스타일에 따라 개인별 선호 여유량 분석을 통해 팬츠 맞음새 예측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치수선택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온라인 구매 환경에서는 제품의 착장 상태를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핏(fit)의 의복 호칭을선택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정확한 신체치수 뿐 아니라 개인별로 선호하는 핏 특성을 쉽게 반영할 수 있는 치수선택시스템이 필요하다. 신체치수 데이터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최근 3D 스캔과 더불어스마트 앱을 활용한 치수측정복, ZOZO Suit(No, 2017)등이 있다.
신체치수 데이터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온라인 구매 환경에서는 제품의 착장 상태를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핏(fit)의 의복 호칭을선택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정확한 신체치수 뿐 아니라 개인별로 선호하는 핏 특성을 쉽게 반영할 수 있는 치수선택시스템이 필요하다. 신체치수 데이터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최근 3D 스캔과 더불어스마트 앱을 활용한 치수측정복, ZOZO Suit(No, 2017)등이 있다. 이에 반해 소비자들이 핏을 예측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는 업체가 제공하는 호칭별, 부위별상품치수와 설명 그리고 착용 사진 등이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ang, Y. S. (2014). An analysis of silhouette characteristics of tight skirts based on proportion - Focusing on the online commerce brand skir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4(2), 125-141. 

  2. Kim, K. R. (2018, May 25). "See you online"...Fashion industry, Switch to 'Offline ${\rightarrow}$ Online'.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June 3, 2018,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331434 

  3. Kim, M. K., & Nam, Y. J. (2015). Development of regression model for pant fit prediction with respect to ease preferenc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6(4), 43-56. 

  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4, December 30). KS K 0051 Sizing systems for female adult's garments.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s. Retrieved July 30, 2017, from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oKSK0051&tmprKsNoKSK0051&reformNo03 

  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The 7th Size Korea. Size Korea. Retrieved June 30, 2018, from https://sizekorea.kr/page/report/1 

  6. Lee. J. H., & Kim, Y. H. (2016). Trend of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fit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journals of 2000-2016year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4), 159-170. 

  7. Lee, J. Y. (2012). Study on preferred style and fit according to stature groups of women aged 18 to 5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4(5), 821-833. doi:10.5805/KSCI.2012.14.5.821 

  8. No, J. Y. (2017, November 27). Japan online fashion shoppingmall 'ZOZO Town', Developed 'ZOZO Suit' to measure accurate body size of user. Global Economic News. Retrieved February 2, 2018, from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711271218255707e8b8a793f7_1&md20171127122245_J 

  9. Seok, H. J. (2010).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for the ready to wear 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4), 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