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자활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자활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19 - 29  

이은지 (한림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조준용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로능력이 미약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자활사례관리가 자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개입관점과 참여자의 인식에 기반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구성하고, 춘천지역에서 시장형 및 비시장형 자활사업단 참여자 142명에 대해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자활사례 관리를 사회적 지지망과 임파워먼트 요인으로 구성한 뒤,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활사례관리, 그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지지망 유형의 사례관리가 자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업단 유형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의 차별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변화하는 자활환경에서 갈수록 강조되는 자활사례관리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하고, 사업단 유형을 뛰어넘는 사회적 지지망 중심의 자활사례관리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the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To this end, it created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evaluation scale utiliz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n a face-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역자활센터의 사례관리사업 평가를 위해 실시한 사례관리사업 모니터링 조사와 함께 이루어진 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연구목적과 설문내용에 대해 사전 고지를 받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자활사업단 참여자 142명이다.
  • 본 연구는 자활사례관리가 자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개입관점과 참여자의 인식에 기반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지망과 임파워먼트 요인으로 구성하고, 강원 춘천지역자활센터 자활참여자 142명에 대해 대면 설문을 실시하였다.
  • 여기서는 자활참여자에 대한 자활사례관리 및 사례관리 유형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자활사례관리와 사업단 특성간의 상호작용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통계모형에 따른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특히 본 연구는 통일된 개념이나 측정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자활사례관리에 대한 척도를 새로이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례관리의 이론적 개입 관점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사의 수행과 이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의 성과로서 정서적 자활을 부각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자활사례관리의 기능을 강조하여, 향후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이 지향해야할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사례관리의 이론적 개입 관점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사의 수행과 이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의 성과로서 정서적 자활을 부각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자활사례관리의 기능을 강조하여, 향후 지역자활센터의 자활사업이 지향해야할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자활사례관리의 ‘무정형성’이라는 용어에서도 드러나듯이[14], 단순한 상담 횟수나 시간을 뛰어넘는 자활사례관리의 제 측면에 대한 조작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자활사례관리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례관리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개입 관점에 대한 논의부터 출발하여, 향후 개념의 조작화와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자활 사례관리가 자활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초가 된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자활환경에서 취·창업으로 대표되는 경제적 성과 이외의 자활제도의 성과를 발견하여, 향후 자활제도의 방향성에 대해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사회적 지지망 관점 역시 기본적으로 생태체계에서 다루는 환경속의 인간과 상호작용 개념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이론을 구분된 독립된 이론으로 보기보다, 임파워먼트 이론과 사회적 지지망 이론은 아우르는 하나의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자활사례관리가 자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을 자활사례관리 유형과 참여 사업단 특성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독립변수인 자활사례관리를 이론적 사례관리 개입 관점에 기반하여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지지망을 포함하도록 정의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조직 특성, 사업단 특성 등은 통제변수로 하였다.
  • 이는 자활 사례관리가 자활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초가 된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자활환경에서 취·창업으로 대표되는 경제적 성과 이외의 자활제도의 성과를 발견하여, 향후 자활제도의 방향성에 대해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는 통일된 개념이나 측정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자활사례관리에 대한 척도를 새로이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례관리의 이론적 개입 관점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사의 수행과 이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248개의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부 자활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가? 2000년 10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과 함께 대표적인 생산적 복지 제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해 온 자활제도는, 지난 18년간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층의 지속가능한 탈빈곤을 위한 핵심적인 근로연계복지제도로 자리잡아왔다[1,2]. 특히 전국 248개의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부 자활은 다양한 사업단 및 자활기업 운영을 통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을 위한 상담 및 가족지원, 교육 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단은 근로능력이 미약한 참여자들에게 근로 유지와 동기 부여 및 다양한 노동시장 장벽을 제거하기 위한 비시장형 사업단과, 근로능력과 동기가 회복되어 시장에서 적극적인 취창업을 목표로 하는 참여자들을 위한 시장형 사업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서적 자활의 정의는 무엇인가? 정서적 자활은 “외부의 의존성을 탈피하여 스스로 자립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또 그렇게 하고자 하는 자립의지”로 정의되며[22], 자활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구별되는 참여자의 내부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초창기 자활 연구자들은 정서적 자활을 자립태도 및 인식, 자립 요소의 제고라는 측면과 자활사업 참여자의 변화 측면에서 보기도 하였으며[5],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보람과 즐거움, 적응, 안정적인 일자리, 자신과 가정의 일에 대한 적극성으로 조작화하기도 하였다[11].
일자리를 위한 사업단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특히 전국 248개의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부 자활은 다양한 사업단 및 자활기업 운영을 통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을 위한 상담 및 가족지원, 교육 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단은 근로능력이 미약한 참여자들에게 근로 유지와 동기 부여 및 다양한 노동시장 장벽을 제거하기 위한 비시장형 사업단과, 근로능력과 동기가 회복되어 시장에서 적극적인 취창업을 목표로 하는 참여자들을 위한 시장형 사업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Y. Kim. (2012). Collision between Welfare and Work in a South Korean Welfare-to-Work Progra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64(3), 203-229. DOI : 10.20970/kasw.2012.64.3.009 

  2. D. M. Noh. (2010). Institutionalization of self-sufficiency program: welfare to work. History and philosophy of self-sufficiency movement, Chapter III. Seoul : KALSA. 

  3. J. W. Kim, M. K. Lee & S. N. Jeon. (2013). A Measure for System Improvement of Self-sufficiency Program : Focusing on a Social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Journal of Cretical Policy, 38, 7-44. 

  4. T. Y. Um. (2014). A Study on Developing a Scale for Emotional Self Sufficiency. Korea Social Policy Review, 21(4), 81-102. DOI: 10.17000/kspr.21.4.201412.81 

  5. S. R. Lee & J. M. Jin.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ntipoverty Policy in Local Community : Focusing on the Self-Support System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52, 241-272. 

  6. W. O. Jung & J. G. Kim. (2005). Subjective evaluation of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on the self-support programs and the future prospect on economic independenc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8, 35-67. 

  7. MOHW & CSSF. (2015).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manual. Seoul : CSSF. 

  8. M. S. Oh, M. K. Lee, C. A. Kim, K. A. Park & M. Y. An. (2013).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manual development in GyoungGi. Suwon : GGWF 

  9. H. J. Lee et al. (2016). A Study on welfare-to-work participation situation: Panel study. Sejong : KIHASA 

  10. M. Y. Hwang. (2013).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of the Case Management for Self-Suficiency as a Social Work Practice for Welfare-to-Work. Journal of Critical Policy, 41, 219-248. 

  11. H. H. Lee & W. T. Cho. (2004). Factors Influencing Self-Sufficiency Effect of Workfare in the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y, Social Welfare Policy, 20, 217-244. 

  12. S. M. Choi. (2018). A reconceptualization of self-sufficiency from a client-centered perspective. Social Science Research, 25(1), 98-124. 

  13. D. M. Noh et al. (2004). A Study on the Policy Reform on Self-sufficiency Program. Sejong : KIHASA 

  14. M. S. Kwon, Y. S. Yoon & G. S. Kim. (2012) A Study on Factors Which Influence the Welfare-to-Work Program Participants Volition of Self-Support.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6(3), 435-454. DOI : 10.18398/kjlgas.2012.26.3.435 

  15. E. J. Lee. (2014).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539-548. DOI : 10.14400/JDC.2014.12.2.539 

  16. T. W. Kim & J. H. Jeon. (2016). A Monitoring Study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Field: Forum with Practitioners and Professionals. Sejong : KIHASA 

  17. H. Y. Baek & S. E. Cho. (2012). The Changes of Welfare and Labor Market Status of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Support Program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3(1), 143-178. 

  18. M. K. Lee. (2016). The Effect of the Changing Institution of the Self-Sufficiency Project on Its Participants and Policy Response.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6(1), 85-115. 

  19. S. Y. Lee. (2012).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0, 57-83. 

  20. Y. G. Lee & S. G. Kyung.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Incheon. 

  21. J. Y. Jo. (2013).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Self-Reliance Program Participant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0), 313-324. DOI : 10.5392/jkca.2013.13.10.313 

  22. K. S. Park & N. H. Park. (2001). A Study on the poor single woman and the development of self-sufficiency program. Gyunggi. 

  23. T. Y. Um.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Self-Sufficiency to the barriers to Economic Self-Sufficiency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2), 229-248. 

  24. S. Y. Min. (2017).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Activities Inventory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489-497. DOI : 10.14400/JDC.2017.15.4.489 

  25. M. Y. Hwang. (2016). A Bottom-up Conceptualization for 'Case Management for the Self-sufficiency'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based on Experiences i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Journal of Future Social Welfare, 7(2), 1-33. 

  26. S. M. Hong. (2006).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to Employment-Focused Progra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9, 133-165. 

  27. I. H. Jang. (2001). Care-Case Management. Seoul : SNU Press. 

  28. I. J. Song & S. S. Park. (2017). Content and Meaning of case Management Practice Success Experience of Regional Society Civil Case manag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455-463. DOI : 10.14400/JDC.2017.15.8.455 

  29. H. J. Kim. (2017). A Study on the Inhibiting Factors of Case Management in Child Welfare Facilities,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183-196. DOI : 10.15207/JKCS.2017.8.2.183 

  30. Y. J. Kim. (2017).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 for older women in rural area.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39-349. DOI : 10.15207/JKCS.2017.8.10.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