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91 - 100  

김부자 (서울기독대학교 국제경영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하위 역량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요소의 중요도에 대해 20개 기업체 근무자 148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어 능력인 영어 이메일 작성, 영어 자료 및 문서 읽고 이해, 전화영어, 비즈니스 영어회화, 사회언어적 능력인 타문화에 대한 이해, 전략적 능력인 커뮤니케이션 스킬, 글로벌 비즈니스 이해 능력인 비즈니스 지식이 비교적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따라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이들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hen developing a course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sub-elements of global competenc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ub-elements of global busine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 역량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소는 Table 1과 같다.
  •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 마음가짐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고,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에서 이미 언급하였듯이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심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적극성, 유연성, 공감성은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하게 해주는 커뮤니케이션 스킬과 연관된 전략적 능력으로 볼 수 있으므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요소들로 보았다.
  •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요소들 중 이문화 관리 능력, 이문화 수용, 타문화에 대한 이해, 타문화에 대한 학습, 문화 적응 능력,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문화 이해, 다문화 의식, 문화적 개방성은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또 기존 연구의 국제 매너와 에티켓도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직접적 관련 요소로 보았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 마음가짐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고,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에서 이미 언급하였듯이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심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 본 연구는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 할 때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 역량요소를 선정한 후 기업체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각 하위요소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에 우선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요소를 설정하고자 한다.
  • 각 분야에서 국제교류가 이루어지는 글로벌 시대를 맞아 글로벌 역량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도 많지만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기업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능력의 중요도에 대해 조사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과목 개발 시 교육내용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기업체 근무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에 대해 조사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 내용 선정 시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해서는 언어 능력, 사회언어적 능력, 전략적 능력, 글로벌 비즈니스 이해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역량의 하위요소에 해당되는 영어 이메일 작성, 영어 자료 및 문서 읽고 이해, 전화영어, 비즈니스 영어회화, 타문화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 스킬, 비즈니스 지식을 우선적인 교육내용으로 선정하여 이들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교과목 개발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력의 글로벌화가 핵심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 간 장벽이 없어져 많은 기업들이 해외에 진출하고 해외 기업들도 다수 국내에 진입해 있는 현 글로벌 시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따라서 인력의 글로벌화가 핵심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또 기업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경영 패러다임도 진화하여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은 기업의 성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부각되면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가 간 장벽이 없어져 많은 기업들이 해외에 진출하고 해외 기업들도 다수 국내에 진입해 있는 현 글로벌 시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따라서 인력의 글로벌화가 핵심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또 기업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경영 패러다임도 진화하여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은 기업의 성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부각되면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조직 구성원의 역량은 조직 간 비교우위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이기 때문에 고등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을 가진 대학은 사회 변화와 기업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식으로 내용을 전달하는가?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 (context)은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이 되며, 발신인이 수신인에게 전달하는 메시지(message)는 비즈니스 관련 내용이 될 것이다. 일대일 대화, 회의, 발표, 전화, 이메일, 문서 등의 채널(channel)을 사용하여 음성언어, 문자언어, 몸짓, 표정, 감각적 자극 등으로 메시지를 부호화 (encoding)하여 전달하려는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수신인은 부호화를 통해 전달된 메시지를 해독(decoding)하여 반응(reaction)을 보이고 피드백(feedback)을 주기도 한다. 이런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물리적・심리적 환경(environment)의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eter Little. (1977). Communication in business. London: Longman. 

  2. J. Pearson & P. Nelson. (2000). An introduction to human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sharing. Boston, MA: McGraw Hill. 

  3. S. K. Yoo. (2016). Business communication and strategy. Seoul: Muyok Publishing Company. 

  4. N. Chomsky.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The MIT Press. 

  5. D. Hymes. (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J. B. Pride & J. Holmes(Eds.), Sociolinguistics: Selected readings. Harmondsworth: Penguin, 269-293. 

  6. M. Canale & M. Swain.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1), 1-47. 

  7. M. Celce-Murcia, Z. Dornyei & S. Thurrell. (1995). Communicative competence: A pedagogically motivated model with content specifications. Applied Linguistics, 6(2), 5-35. 

  8. L. F. Bachman.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9. J. H. Park. (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measurement index: Focused on competency categories. Journal of the Humanities, 19(1), 177-207. 

  10. R. H. Rosen. (2000). What makes a globally leader? Chief Executive, April, 46-48. 

  11. M. Dalton, C. Ernst, J. Deal & J. Leslie. (2002). Success for the global manager.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2. S. S. Lee. (2005). A needs analysis from Korean expatriates with expatriate working experience of 1 year or less in a Korean global corporation.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8(4), 57-93. 

  13. D. W. Cha. (2007). Global leadership competency. 2007 Spring Conference, The Korean Academy of Leadership. 

  14. S. Y. Park & Y. S. Song. (2008). The study for global business competency model to develop the talent in the large enterpris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3), 65-85. 

  15. S. C. Roh, H. S. Jung, & Y. W. Su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lobal competency scal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5(4), 801-831. 

  16. S. Y. Baek. (2013). Developing the scale of global leader competency using Rasch model.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S. Y. Shin & E. M. Noh. (2013).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global competence and assessing its adequacy.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8(2), 339-359. 

  18. J. Nun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 M. S. Jin. (2007). Study on the selec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of item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0. S. I Na. (2003).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Collected Papers of Joint Academic Presentation,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140-143. 

  21. W. M. Rivers. (1981). Teaching foreign-language skill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2. R. Lado. (1964). Language teaching: A scientific approach. McGraw-Hill Inc., US. 

  23. P. C. Stern. (1992). Psychological dimension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269-302. 

  24. S. Y. Choi. (2002). The use of the English language in Korean workplace: A focus o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5. H. S. Park & B. R. Jung. (2006). The use of English in the Korean workplace: A case study.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37, 113-138. 

  26. J. H. Yang. (2009). A study about English communication at a mon-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7. G. Y. Chung. (2007). A study on business English texts: Focused on the needs of the learners.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