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 슈퍼캐퍼시터를 위한 폴리비닐알콜 고분자 전해질막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Solid-state Supercapacitor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9 no.1, 2019년, pp.30 - 36  

이재훈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박철훈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박민수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김종학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titanium nitride (TiN) 나노 섬유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전극과 poly(vinyl alcohol) (PVA) 기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을 이용하여 슈퍼 캐퍼시터를 제조하였다. TiN 나노 섬유의 경우 높은 전기 전도도와 이차원적 구조로 인한 스케폴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극 물질로 사용되었다. PEDOT-PSS 전도성 고분자수소 이온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보다 높은 정전용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용액상에 분산이 용이해 유무기 복합제를 형성하기에 적합하였다. PVA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은 기존의 액상의 전해질의 문제인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염으로 사용된 $H_3PO_4$의 경우 수소 이온은 빠른 확산으로 인해 캐퍼시터의 충방전 효율에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보고된 PEDOT-PSS/TiN 슈퍼캐퍼시터의 정전용량은 약 75 F/g으로 기존의 탄소기반 캐퍼시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값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reported a solid-state supercapacitor consisting of titanium nitride (TiN) nanofiber an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conducting polymer electrode and poly(vinyl alcohol) (PVA)-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TiN nanofiber was se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유무기 복합 소재인 PEDOT-PSS/TiN 전극과 PVA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을 이용하여 고체 슈퍼 캐퍼시터를 보고하였다. TiN 나노 섬유는 전기방사법과 질화과정을 통해 제조되었으며 이차원적인 구조와 표면의 나노 입자 구조로 인해 높은 전기 전도도와 계면 접촉 향상을 통한 캐퍼시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 이중층 캐퍼시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탄소기반의 전극은 높은 전력 밀도와 긴 수명을 갖지만 낮은 정전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기 이중층 캐퍼시터(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EDLC)로 사용된다[6-8]. 따라서 기존의 탄소기반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적 활성을 띠는 물질을 이용한 슈도 캐퍼시터(pseudocapacitor)가 제안되었다. 슈도 캐퍼시터는 가역적인 패러데이 반응(Faradaic reaction)이 전극물질에서 일어나며 마치 배터리에서의 반응과 비슷하게 전지 내에서 전자의 충방전이 일어난다.
TiN 나노 섬유가 전극 물질로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titanium nitride (TiN) 나노 섬유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전극과 poly(vinyl alcohol) (PVA) 기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을 이용하여 슈퍼 캐퍼시터를 제조하였다. TiN 나노 섬유의 경우 높은 전기 전도도와 이차원적 구조로 인한 스케폴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극 물질로 사용되었다.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는 수소 이온과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보다 높은 정전용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용액상에 분산이 용이해 유무기 복합제를 형성하기에 적합하였다.
슈퍼 캐퍼시터의 장점은 무엇인가?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와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고효율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1-5]. 그중 슈퍼 캐퍼시터는 높은 전력 밀도와 빠른 충방전, 그리고 긴 수명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차세대에너지 저장장치로 급부상하고 있다. 슈퍼 캐퍼시터의 성능은 크게 전극 물질과 전해질에 의해 좌우되며 다양한 물질과 구조 제어를 통한 성능 향상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 Li, F. Dai, Q. Xiao, L. Yang, J. Shen, C. Zhang, and M. Cai, "Nitrogen-doped activated carbon for a high energy hybrid supercapacitor", Energy Environ. Sci., 9, 102-106 (2016). 

  2. Y. Li, B. Xu, H. Xu, H. Duan, X. Lu, S. Xin, W. Zhou, L. Xue, G. Fu, and A. Manthiram, "Hybrid polymer/garnet electrolyte with a small interfacial resistance for lithium-ion batteries", Angew. Chem., 129, 771-774 (2017). 

  3. C. J. Zhang, S. J. Kim, M. Ghidiu, M. Q. Zhao, M. W. Barsoum, V. Nicolosi, and Y. Gogotsi, "Layered orthorhombic $Nb_2O_5@Nb_4C_3T_x$ and $TiO_2@Ti_3C_2T_x$ hierarchical 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li-ion batteries", Adv. Funct. Mater., 26, 4143-4151 (2016). 

  4. M. Acerce, D. Voiry, and M. Chhowalla, "Metallic 1T phase $MoS_2$ nanosheets as supercapacitor electrode materials", Nat. Nanotechnol., 10, 313-318 (2015). 

  5. H. Tang, J. Wang, H. Yin, H. Zhao, D. Wang, and Z. Tang, "growth of polypyrrole ultrathin films on $mos_2$ monolayers as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electrodes", Adv. Mater., 27, 1117-1123 (2015). 

  6. H. Ji, X. Zhao, Z. Qiao, J. Jung, Y. Zhu, Y. Lu, L. L. Zhang, A. H. MacDonald, and R. S. Ruoff, "Capacitance of carbon-based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Nat. Commun., 5, 3317 (2014). 

  7. D. Kang, Q. Liu, J. Gu, Y. Su, W. Zhang, and D. Zhang, ""Egg-Box"-assisted fabrication of porous carbon with small mesopores for high-rat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ACS nano, 9, 11225-11233 (2015). 

  8. M. Wu, P. Ai, M. Tan, B. Jiang, Y. Li, J. Zheng, W. Wu, Z. Li, Q. Zhang, and X. He, "Synthesis of starch-derived mesoporous carb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hem. Eng. J., 245, 166-172 (2014). 

  9. C.-C. Hu, C.-W. Wang, K.-H. Chang, and M.-G. Chen, "Anodic composite deposition of $RuO_2$ /reduced graphene oxide/carbon nanotube for advanced supercapacitors", Nanotechnology, 26, 274004 (2015). 

  10. Y. Zhao, W. Ran, J. He, Y. Huang, Z. Liu, W. Liu, Y. Tang, L. Zhang, D. Gao, and F. Gao, "High 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s based on multilayer $mno_2$ /graphene oxide nanoflakes and hierarchical porous carbon with enhanced cycling stability", Small, 11, 1310-1319 (2015). 

  11. W. Jiang, D. Yu, Q. Zhang, K. Goh, L. Wei, Y. Yong, R. Jiang, J. Wei, and Y. Chen, "Ternary hybrids of amorphous nickel hydroxide-carbon nanotube-conducting polymer for supercapacitors with high energy density, excellent rate capability, and long cycle life", Adv. Funct. Mater., 25, 1063-1073 (2015). 

  12. N. Kurra, M. K. Hota, and H. N. Alshareef, "Conducting polymer micro-supercapacitors for flexible energy storage and Ac line-filtering", Nano Energy, 13, 500-508 (2015). 

  13. N. Kurra, R. Wang, and H. N. Alshareef, "All conducting polymer electrodes for asymmetric solid-state supercapacitors", J. Mater. Chem. A, 3, 7368-7374 (2015). 

  14. T. Liu, L. Finn, M. Yu, H. Wang, T. Zhai, X. Lu, Y. Tong, and Y. Li, "Polyaniline and polypyrrole pseudocapacitor electrodes with excellent cycling stability", Nano Lett., 14, 2522-2527 (2014). 

  15. H. Gao, W. Zhou, K. Park, and J. B. Goodenough, "A sodium ion battery with a low-cost cross-linked gel-polymer electrolyte", Adv. Energy Mater., 6, 1600467 (2016). 

  16. M. Liu, D. Zhou, Y.-B. He, Y. Fu, X. Qin, C. Miao, H. Du, B. Li, Q.-H. Yang, and Z. Lin, "Novel gel polymer electrolyte for high-performance lithium-sulfur batteries", Nano Energy, 22, 278-289 (2016). 

  17. X. Yang, F. Zhang, L. Zhang, T. Zhang, Y. Huang, and Y. Chen, "A high-performance graphene oxide-doped ion gel as gel polymer electrolyte for all-solid-state supercapacitor applications", Adv. Funct. Mater., 23, 3353-3360 (2013). 

  18. S. Y. Lee, H. J. Kim, S. Y. Nam, and C. H. Park, "Synthetic strategies for high performance hydrocarb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pems) for fuel cells", Membr. J., 26, 1-13 (2016). 

  19. M. S. Shin, M. S. Kang, and J. S. Par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sulfonated graphene oxide (sgo)/nafion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Membr. J., 27, 53-59 (2017). 

  20. M. S. Shin, D. E. Kim, and J. S. Par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 (arylene ether sulfone)/ $sio_2$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Membr. J., 27, 182-188 (2017). 

  21. D. H. Kim and M. S. Ka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pore-filled ion-exchange membranes", Membr. J., 28, 307-319 (2018). 

  22. B. S. Kim, K. Lee, S. Kang, S. Lee, J. B. Pyo, I.-S. Choi, K. Char, J. H. Park, S. S. Lee, and J. Lee, "2D reentrant auxetic structures of graphene/cnt networks for omnidirectionally stretchable supercapacitors", Nanoscale, 9, 13272-13280 (2017). 

  23. G. Ma, J. Li, K. Sun, H. Peng, J. Mu, and Z. Lei, "High performance solid-state supercapacitor with $PVA-KOH-K-3[Fe(CN)_6]$ gel polymer as electrolyte and separator", J. Power Sources, 256, 281-287 (2014). 

  24. K. Wang, Q. Meng, Y. Zhang, Z. Wei, and M. Miao, "High performance two ply yarn supercapacitors based on carbon nanotubes and polyaniline nanowire arrays", Adv. Mater., 25, 1494-1498 (2013). 

  25. Q. Chen, X. Li, X. Zang, Y. Cao, Y. He, P. Li, K. Wang, J. Wei, D. Wu, and H. Zhu, "Effect of different gel electrolytes on graphene based solid-state supercapacitors", RSC Adv., 00, 1-3 (2014). 

  26. D. J. Kim, J. K. Kim, J. H. Lee, H. H. Cho, Y. S. Bae, and J. H. Kim, "Scalable and bendable organized mesoporous TiN films templated by using a dual-functional amphiphilic graft copolymer for solid supercapacitors", J. Mater. Chem. A, 4, 1249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