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실태조사」를 위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1, 2019년, pp.60 - 76  

이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보숙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진아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함선옥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문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미남 (연성대학교 식품영양과) ,  김혜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  강행화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 ,  권진욱 (한국교육환경보호원 건강증진센터) ,  정윤희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Th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Program" that ca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meals on the nationwide level.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ix steps of the analysis of report/investigation data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교급식 실태조사」를 통해 전국 초·중·고·특수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급식에 대한 국가 및 학교급 단위의 대표성을 갖춘 표준화된 통계자료를 산출하고 학교급식 정책 제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학교급식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학교급식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현장기반의 학교 급식 실태조사가 주기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며, 국가차원의 학교급식 중·장기 정책목표 수립에 반영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학교급식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시·도교육청의 학교급식 관련 보고/조사 자료의 현황 조사, 최근 5년간 보고된 학교급식 실태 및 현황 관련 선행연구 분석, 학교급식 현장 방문 및 확인,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안) 개발, 운용 시험 실시, 「학교급식 실태 조사」 모형 최종안 도출의 6 단계로 2017년 8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학교급식이 전면 실시됨에 따라 과거 양 중심의 확대정책에서 질 중심의 내실화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 내실화를 위한 국가차원의 학교급식 정책목표 수립 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장기반의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을 개발하였다.
  • 환경 변화로 인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해 학교급식은 알레르기 유발식품을 식단 내에 표시하고 있으며, 학교급식의 알레르기 관리 실태를 조사한 연구[37]가 수행됨에 따라 본 실테조사 모형은 식품알레르기 유무, 알레르기 식품별 학생수, 관리방법, 교육실시에 대해 조사하도록 하였다. 식품알레르기 교육을 포함한 건강한 식생활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연구가 조사 지역 및 대상이 한정되어 있는 [33]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단위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 및 영양상담의 조사구분을 실태조사 모형에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도교육청의 학교급식 관련 보고/조사 자료의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12가지 자료 유형 중 공통적으로 많이 보고/조사되는 자료는 무엇인가? 첫째, 시·도교육청의 학교급식 관련 보고/조사 자료의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12가지 자료 유형 중 공통적으로 많이 보고/조사되는 자료는 ‘학교급식 현황’, ‘급식종사자’, ‘급식비’, ‘식품안전 검사/관리’, ‘식품 폐기류 관리’, ‘위생관리 및 식중독 발생’, ‘학교급식점검 및 평가’, ‘식생활교육 및 영양관리’, ‘학교급식개선대책 추진상황’ 등으로 조사되었다. ‘급식 종사자’, ‘식품안전 검사/관리’, ‘학교급식 점검 및 평가’ 유형은 교육지원청에서 주로 작성하는 자료였으며, 나머지 9가지 자료 유형은 학교에서 주로 작성하여 교육지원청으로 보고하고 교육지원청이 취합하는 자료로 파악되었다.
저자는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중분류 기준으로 어떤 요소를 제시하였는가? 학교급식 실태조사 모형(안)은 학교급식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항목은 대·중·소분류의 3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중분류 기준으로 스피어스 급식시스템 모형(Spears’ Foodservice system model)의 투입(input), 변환(transformation), 산출(output), 통제(control) 및 기반(infrastructure)에 해당하는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급식시스템 전반을 아우르는 조사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학교급식은 무엇인가? 학교급식은 학생을 대상으로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제공하여 건전한 심신의 발달에 기여하며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고, 식생활 교육을 통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식생활관리능력을 함양하여 평생건강의 기틀을 마련하는 교육의 일환이자 궁극적으로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국가정책이다[1, 2]. 1981년 학교급식법의 제정·공포로 학교급식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고, 국가정책의 일환으로 하여 1992년부터 2002년까지 8,254개의 학교에 급식시설을 확충하여 2003년부터 초·중·고 전면 급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chool Meals Act. Act No. 11771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updated 2013 May 22;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query%ED%95%99%EA%B5%90%EA%B8%89%EC%8B%9D%EB%B2%95#undefined. 

  2. Yang IS, Yi BS, Cha JA, Lee JM, Han KS, Chae IS et al. Foodservice in institutions. 4th ed. Paju: Kyomunsa; 2018. p. 18. 

  3. Ministry of Education. Curr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in 2017.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8. 

  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chool Meals Act. Act No. 7962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7 [updated 2006 Jul 19;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74880&ancYd20060719&ancNo07962&efYd20070120&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 

  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f the School Meals Act. Rule No. 96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updated 2016 Apr 20; cited 2019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query%ED%95%99%EA%B5%90%EA%B8%89%EC%8B%9D%EB%B2%95#undefined. 

  6.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foodservice sanitation management guideline. 4th ed.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6. 

  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satisfaction in 2017. Jinche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8. 

  8. Yang IS, Kim HA, Shin SY, Jo MN, Park SY, Cha JA et al. The analysis of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n contract-managed high school foodservice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2002; 8(3): 280-288. 

  9. Park SJ, Youn DK, Lee YE. Operation status and dietitian's perceptions regarding commissary school foodservices in Chungcheo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8; 47(9): 934-946. 

  10. Yang IS, Park MK. Identifying the quality attribute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by city and province: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J Korean Diet Assoc 2008; 14(3): 302-318. 

  11. Yi BS, Yang IS, Park MK. Annual analysis on quality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Nutr 2009; 42(8): 770-783. 

  12. Kim KJ, Yi BS, Park MK. Analysis of the recognition and quality attributes on school lunch serv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Soc Sch Health 2010; 23(2): 295-307. 

  13. Park MK, Yang IS, Yi BS, Kim YS.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type and distribution place.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83-99. 

  14. Yang IS, Yi BS, Park MK, Baek SH, Chung YS, Jeong JY et al. Evaluation of the quality attribute and satisfaction on school foodservice in 2010.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491-504. 

  15. Ahn YJ, Lee YE, Park EH. Current and future operation on menu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s in Chungbuk: milk program and food material management. J Human Ecol 2014; 18(1): 67-83. 

  16. Jung SH, Lee YE, Park EH. Us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ingredients by dietitians in Chungb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0): 1567-1582. 

  17. Kwak SJ, KiM SJ, Lkhagvasarnai E, Yoon KS.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preprocessed namuls in school food service and processing plant. J Food Hyg Saf 2012; 27(2): 117-126. 

  18. Yang JH, Sung BM, Kim MH, Jung HS, Cha MH, Ryu K. Dieticians' perceived performance level and obstructive factors of HACCP system among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1): 1774-1784. 

  19. Min JH, Park MK, Kim HJ, Lee JK. Systemic analysis on hygiene of food catering in Korea (2005-2014). J Food Hyg Saf 2015; 30(1): 13-27. 

  20. Kye SH, Hwang SH. Evaluation of management and hygienic status of high school foodservice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Korean J Food Nutr 2017; 30(3): 515-524. 

  21. Lee YE, Yang IS, Cha JA. The importance and categorization of task element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 J Nutr Health 2002; 35(6): 668-680. 

  22. Lee JT, Shin BK, Kim HC. The impacts of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J Tour Sci 2011; 35(8): 209-228. 

  23. Heu HN, Choi HS, Lee H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foodservi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t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2012; 18(2): 155-169. 

  24. Heu HN, Lee HY. The effect of employee service mind on customer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2013; 19(1): 82-94. 

  25. Lee HY. The effect of workplace mobbing on self-esteem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with different level of coworker support. Korean Manag Consult Rev 2015; 15(2): 173-182. 

  26. Kim JH, Cha JA. Development of job description of nutrition teacher by the DACUM method. J Korean Diet Assoc 2016; 22(3): 193-213. 

  27. Lee HJ, Kim YS, Kim SY, Cha JA, Ham S. Comparison of required and additional man power's implemental task elements between present and future-oriented duties of school nutrition teachers. J Korean Diet Assoc 2017; 23(2): 155-179. 

  28. An YS, Choi HS, Lee HY. Comparison of wage treatment, employment environment, and job stability before and after conversion to indefinite contract status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angwon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18; 24(3): 261-274. 

  29. Cho HA, Lee YE, Park EH.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safety accidents b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0): 1594-1606. 

  30. Kim JM. A study on improvements of food service facility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satisfaction survey: Focused o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J Korean Inst Youth Fac Environ 2016; 14(1): 33-42. 

  31. Hur BY, Choi IJ, Kim MY, Kwon JW, Lee JY, Yoon JH. Current status of parents' monitoring and level of trust in school lunch program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5): 401-412. 

  32. Lee EJ, Lee HY. Experience and vis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candidate in school. Korean J Food Culture 2009; 24(4): 440-450. 

  33. Kim HJ, Kim HA.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patient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2012; 18(4): 385-399. 

  34. Jung KA. The review of the researches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state in the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 Arts Educ 2013; 19(1): 117-145. 

  3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asic survey on school foodservice operating condition. Jinche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36. Kwak TK, Chang HJ, Song JY.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for school food servic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6): 905-919. 

  37. Lee AH. Food allergy management practice and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foodservi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4. 

  38. Kim NY.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of quality control of food ingredients in school feeding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2014. 

  39. Park SH, Choe YC.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unch according to the dietary habit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nutrition and food. Fam Environ Res 2015; 53(4): 425-432. 

  40. Kim HH, Park YH, Shin EK, Shin KH, Bae IS, Lee YK.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8): 1016-1024. 

  41. Schwartz MB, Just DR, Chriqui JF, Ammerman AS. Appetite self-regulation: Environmental and policy influences on eating behaviors. Obesity 2017; 25: S26-S38. 

  42. Taber DR, Chriqui JF, Chaloupka FJ. State laws governing school meals and disparities in fruit/vegetable intake. Am J Prev Med 2013; 44(4): 365-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