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용 해조류 톳(Hizikia fusiformis) 유래 항산화 활성분획물의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인간피부섬유아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 Active Fractions Derived from the Edible Seaweed Hizikia fusiformis in Oxidatively Stressed Human Dermal Fibroblast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2 no.1, 2019년, pp.35 - 42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김현수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제준건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오재영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전유진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 fractions from a 70% ethanolic extract of Hizikia fusiformi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Powdered H. fusiformis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partitioned into three fractions according to polarity using n-hexane (HFH), chlorofo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실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톳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이용한 피부세포의 보호 활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톳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이로부터 여러가지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on-line HPLC를 통해 항산화 활성물질 확인과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분획물의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 진피층의 섬유아세포는 진피층의 섬유상 단백질인 collagen과 elastin의 발현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collagen과 elastin 등의 구조 단백질의 합성이 감소되고, 피부 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면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된다(Jeon and Yi, 2014). 따라서, 우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던 HFEA가 피부 관련세포, 주름과 연관된 HDF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농도에 따른 생존률, AAPH 산화 보호효과, 세포증식률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샘플들의 농도는 50 μg/mL, 100 μg/mL과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 그렇기 때문에 최근 산화유도 물질을 이용해 유도된 세포노화에 대한 조절 작용을 보고하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Jeon and Yi, 2014). 본 연구에 서는 산화 유도물질인 AAPH를 처리하여 MTT assay를 통해 AAPH에 의한 산화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HFEA를 제외한 분획물에서는 활성이 미비 하였지만, HFEA는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AAPH에 대한 산화 보호효과가 확인되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톳의 에탄올 추출물 유래 분획물(HFEA)의 산화작용에 대한보호효과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5A). 이러한 결과들은 HFEA가 collagen과 elastin의 발현을 담당하고 있는 섬유아세포에서 산화물질에 대한 산화 보호효과를 확인하였고, 노화에 의해 줄어들 수 있는 섬유아세포의증식에 도움을 줌으로써 산화 보호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로 우리의 항산화 활성 프랙션인 HFEA가 뛰어난 섬유아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톳(Hizikia Fusiformis)이란? 예로부터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도에서는 쉽게 해조류를 접할 수 있어 해조류는 도민들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식재료 중 하나이다. 여러 해조류들 중 톳(Hizikia Fusiformis)은 다년생 해조류이며 갈조식물인 모자반과의 해조류로 제주도 연안 및 남해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해조류 중 생산량이 가장 높고우뭇가사리와 함께 제주도 어촌계의 소득원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다(Lee and Kim, 2017). 톳은 제주도 어촌계의 주 생산품이기 때문에 제주도민들은 톳의 섭취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다.
톳의 생리활성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실제로 톳의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생리활성 연구 보고들로는 조골세포 증식효과(Jeon and Kim, 2011), 항산화 효과(Parket al., 2005), 항염증효과(Song et al., 2011), 간 보호효과(Junget al., 2001), 항고지혈증(Shan et al., 1999), 항콜레스테롤(Ab-dussalam, 1990)과 같은 여러 가지 연구가 밝혀졌지만 이미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미역, 다시마, 감태 등에 비해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고, 활성물질 탐색이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연구는 다소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화장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성분 중의 하나인 항주름 효과의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에 활성물질 탐색과 항주름 효과의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bdussalam S. 1990. Drugs from seaweeds. Med Hypotheses 32, 33-35. 

  2. Cho ML, Kang IJ, Won MH, Lee HS and You SG. 2010.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green seaweeds. J Med Food 13, 1232-1239. https://doi.org/10.1089/jmf.2010.1124. 

  3. Cho ML, Lee DJ and You SG. 201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red seaweeds. Ocean and Polar Res 34, 445-451. https://doi.org/10.4217/OPR.2012.34.4.445. 

  4. Choi TY, Kim JH, Ko DH, Kim CH, Hwang JS, Ahn S, Kim SY, Kim CD, Lee JH and Yoon TJ. 2007. Zebrafish as a new model for phenotype-based screening of melanogenic regulatory compounds. Pigment Cell Res 20, 120-127. https://doi.org/10.1111/j.1600-0749.2007.00365.x. 

  5. Heo SJ, Park PJ, Park EJ, Kim KS and Jeon YJ.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Ecklonia cava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and comet assay. Eur Food Res Technol 221, 41-47. https://doi.org/10.1007/s00217-005-1187-3. 

  6. Hwang E, Park SY, Shin HS, Lee DG and Yi TH. 2014.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fucosterol from Hizikia fusiformis o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Food Sci. Biotechnol 23, 593-599. https://doi.org/10.1007/s10068-014-0081-9. 

  7. Jeon MH and Kim M. 2011. Effect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J Life SCI 21, 300-308. https://doi.org/10.5352/JLS.2011.21.2.300. 

  8. Jung BM, Ahn CB, Kang SJ, Park JH and Chung DH. 2001.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ed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84-1189. 

  9. Jeon SH and Yi DH. 2014. Effects of alliin on cellular protection, Up-regulation of collagen and Down-regulation of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Kor. J Aesthet Cosmetol 12, 249-258. 

  10. Kim MJ, Kim JH, Lee S, Cho EJ and Kim HY. 2018.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J Kor Academia-Industrial cooper Soc 19, 402-407. https://doi.org/10.5762/KAIS.2018.19.9.402. 

  11. Kim HS, Zhang C, Lee JH, Ko JY, Kim EA, Kang N and Jeon YJ. 2014.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marine bacteri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isola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their secondary metabolites. Korean J Fish Aquat Sci 17, 215-222. https://doi.org/10.5657/FAS.2014.0215. 

  12. Kim HH, Kim HS, Ko JY, Kim CY, Lee JH and Jeon YJ. 2016. A single-step isolation of useful antioxidant compounds from Ishige okamurae by using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Korean J Fish Aquat Sci 19, 1-7. https://doi.org/10.1186/s41240-016-0023-y. 

  13. Lee HY and Kim JD. 2017. The Effect of dietary Hizikia Fusiforme on the reduction of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in Jeju women divers. J Digit Converg 15, 471-478. https://doi.org/10.14400/JDC.2017.15.5.471. 

  14. Lee JH, Ko JY, Oh JY, Kim CY, Lee HJ, Kim J and Jeon YJ. 2014. Preparativ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hlorotannins from Ecklonia cava using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by one-step. Food Chem 158, 433-437.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4.02.112. 

  15. Lee JH, Ko JY, Samarakoon K, Oh JY, Heo SJ, Kim CY, Nah JW, Jang MK, Lee JS and Jeon YJ. 2013. Preparative isolation of sargachromanol E from Sargassum siliquastrum by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2013. Food Chem Toxicol 62, 54-60. https://doi.org/10.1016/j.fct.2013.08.010. 

  16. Park HH and Jung WK. 2016. Sargassum fusiforme fucoidan: desalination, components, antioxidant, and NO inhibi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J Chitin Chitosan 21, 75-81. https://doi.org/10.17642/jcc.21.2.1. 

  17.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 and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18. Shan BE, Yoshida Y, Kuroda E and Yamashira U. 1999.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Int J Immunopharmacol 21, 59-70. https://doi.org/10.11501/3160540. 

  19. Song HS, Eom SH, Kang YM, Choi JD and Kim YM. 2011.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Korean J Fish Aquat Sci 44, 111-117. https://doi.org/10.5657//kfas.2011.44.2.111. 

  20. Wang L, Lee WW, Oh JY, Cui YR, Ryu BM and Jeon YJ. 2018. Protective effect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celluclast-assisted extract of Hizikia fusiforme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skin damage by regulating NF- ${\kappa}B$ , AP-1, and MAPKs signaling pathways in vitro in human dermal fibroblasts. Mar. Drugs 16, 239. https://doi.org/10.3390/md16070239. 

  21. Yan X, Yoshihiro C, Masahiro S and Tadahiro N. 1999. Fucoxanthin as the major antioxidant in Hizikia fusiformis, a common edible seaweed.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605-607. https://doi.org/10.1271/bbb.63.605. 

  22. Zou Y, Qian ZJ, Li Y, Kim MM, Lee SH and Kim SK. 2008. Antioxidant effects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in free radical mediated oxidative system. J Agric Food Chem 56, 7001-7009. https://doi.org/10.1021/jf801133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