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Adjustment Effect for Coping Strategy from Fatigue Scale of Security Guard's on Emotional Labor 원문보기

시큐리티연구 = Korean security journal, no.60, 2019년, pp.283 - 302  

김의영 (호서대학교 법경찰행정학부) ,  조성진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큐리티요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시큐리티요원들의 근무환경과 복지수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큐리티요원 230명을 대상자로 표집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대처가 높은 집단이 감정노동에 따라 피로도가 높아지는 반면 소극적대처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피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은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의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요원들이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 종사원들에 대한 관리시스템에 변화를 주어 조직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자율적인 기업문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level of the security guard by identifying the primary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fatigue with emotional labor and identifying the adjustment effects with coping strategy. The data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큐리티요원에게 요구되는 감정노동은 오늘날 서비스 산업의 발달로 새롭게 나타난 노동의 형태로, 자신의 감정보다는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종사자들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많은 연구들에서 부정적 결과를 유발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감정노동과 피로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도출하였다.
  • 그리하여 시큐리티요원의 업무에 따른 감정노동이 피로도를 높일 수 있다고 예측되며 시큐리티요원의 업무 중 느끼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에 따라 피로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큐리티요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따른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1차적으로 규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충남지역의 시큐리티 기업에 재직 중인 214명을 요원들에게 감정노동, 피로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연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큐리티요원의 특성은 무엇인가? 시큐리티요원은 경비업법 제2조에 정의된 시설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 기계경비, 특수경비 업무의 종사자로(이종호, 2016), 경찰의 치안서비스 한계로 고객의 요구에 의해 개인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는 시큐리티 분야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낮은 위상과 고객의 생명과 신체위해 및 재산 침해 방지 등의 업무로 인하여 긴장 속에 근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허정행, 2011). 또한 조직의 보수성과 획일적이고 수직적인 상하관계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강민완, 박기범, 전용태, 2006), 업무 특성상 사소한 실수가 대형사고로 이어져 조직에 치명적인 부담으로 올 수 있기 때문에 업무와 관련된 각종 규칙을 익히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엄격한 규율이 적용된다(심정선, 2010). 그리고 시큐리티요원의 서비스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므로 인성교육과 실무교육을 통하여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열악한 근무환경과 고객과의 접점에서 자신의 감정과 다른 감정으로 고객을 응대해야하기 때문에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는 감정노동으로 작용된다(사만석, 2014).
감정노동자의 정의는 무엇인가? 오늘날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누구에게나 존중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나에게 공격적으로 대하는 사람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는 어렵다. 마음에 상처가 되는 감정을 억누르고 고객을 향해 미소를 짓도록 훈련받는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사람들을 감정노동자라고 한다(손정연, 2017).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는 급격한 산업화와 서비스 영역의 확대로 인하여 감정노동의 영역이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감정노동에 대한 규율과 내용, 통제 등의 정도가 강화되고 있다(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2012).
감정노동을 주로 수행하는 직군은? 이러한 감정노동자의 직무 40% 이상 감정노동이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2,500만 명 중 약 552만 명 정도로 5명 중에 1명이 감정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학은, 2016). 감정노동을 주로 수행하는 직군은 간호사, 간병인, 승무원, 콜센터 텔레마케터, 금융서비스 종사자, 백화점 및 할인점의 판매원,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주로 고객을 상대하는 직종이다(김경희, 2011). 이러한 직업 이외에 감정노동에 관련하여 다양하게 연구되는 직업군 중에 하나가 시큐리티요원이라 할 수 있다(김의영, 이종환, 조성진, 2014; 사만석, 2014; 조철규, 최동재, 박수현, 2015; 한상근,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민완, 박기범, 전용태 (2006). 민간병비조직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1, 1-20. 

  2. 구동욱 (2016). 민간경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식, 박영만 (2014). 민간경비원의 피로도 척도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175-185. 

  4. 김경희 (2011). 서비스 사회의 감정노동에 대한 이해. 국제노동브리프, 9(5), 27-37. 

  5. 김상범, 임은정 (2016).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피로관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성 연구. 관광연구저널, 30(12), 137-151. 

  6.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46(2), 123-149. 

  7. 김의영, 이종환, 조성진 (2014).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의 관계. 융합보안논문지, 14(3), 23-25. 

  8. 김의영, 이준우, 조성진 (2013). 시큐리티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7, 269-293. 

  9. 박민희, 이재곤, 박운서 (201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피로도, 개인업적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19(4), 151-179. 

  10. 박영만, 하정훈 (2014).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3), 190-220. 

  11. 박종주, 김희년 (2017).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서비스연구, 7(2), 1-28. 

  12. 박주상 (2013).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직무만족 미치 삶의 질의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15(3), 53-70. 

  13. 사만석 (2014).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3(2), 45-66. 

  14. 손정연 (2017). 오늘도 상처를 입으며 일한 당신에게. 팜파스. 

  15. 송지준 (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16. 심정선 (2010).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 전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3(4), 733-754. 

  17. 윤덕환 (2017). 내부고객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표현규칙의 영향: 고객, 상사, 동료대상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3, 135-157. 

  18. 이민정 (2014). 초등교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연, 김주성 (2017). 간호사의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351-359. 

  20. 이종호 (2016).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척도 개발 및 구조검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학은 (2016). 감정노동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 전나무숲. 

  22. 이혜영, 유숙희, 최서언 (2013). 미용업 근로자의 직무관련요인 노출수준 비교.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5(3), 83-91. 

  23. 정유미 (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인경, 김정현 (2016).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4), 193-211. 

  25. 조철규, 최동재, 박수현 (2015). 아파트 경비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6(4), 893-910. 

  26. 최항석, 이해영, 정무관 (2012). 노인복지시설 급식관리자의 감정노동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5(4), 33-60. 

  27. 한상근 (2016).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32, 5-27. 

  28. 허정행 (2011). 시큐리티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학회지, 7(2), 123-144. 

  2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30.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31. Lazarus, R. S., & Folkman, S. (1986).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inger. New York. 

  32.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 813-8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