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Use Tendency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1, 2019년, pp.38 - 46  

박민정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 tendency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8 to May 7, 2018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22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인관계문제는 두 변수 간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가 해소되면 SNS 중독으로 인한 우울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생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가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대인관계 문제의 개선을 통하여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후)제3의">제 3의 변인을 탐색할 필요성을 시사[17]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일상화 된 SNS 사용과 우울 발병율의 증가추세를 반영하여 이 두 변수 간 인과관계를 탐색하되 대인관계 문제를 매개변수로 하여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대학생의 S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대 젊은 층의 우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대학교육 정책 포럼에서 대학생이 학업과 취업 스트레스 뿐 아니라 인터넷 관계 치중 및 유대감 형성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증가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대 우울증 환자가 2017년 현재 64,497명으로 2012년 52,793명과 비교해 22% 증가하였음을 보고[1]하였다. 20대 젊은 층의 우울은 후기 성인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중독, 알코올 과다섭취 및흡연[2], 심지어 자살의 주요인[3]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우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대학생은 고교시절과는 달리 확대된 대인관계에 직면하게 되는데 타인과의 관계에서 적대감, 거절, 갈등, 무심함, 비난 등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한 대인관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4].
SNS란 무엇인가? 이는 SNS 중독경향이 높을 수록 주변 인물과의 대화 기회가 적고 일상에서 소외감을 느끼며[11,16] 타인과의 관계도 위축되어 대인관계 문제가 많다는 선행연구[9]들과 유 사함을 알 수 있다. SNS는 한정된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프로필을 구성하고 자신과 연결된 명단을 공개하고 이어줌으로써 연결을 확장해 나가는 웹기반 서비스로서[24]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등을 통해 사람들과 신속하게 소통할 수 있으므로 친화 욕구가 충족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인관계유지에 있어 시간적 ․ 공간적 제약이 적어 편리한 면은 있으나 일상에서의 활동을 수행하거나 타인과의 직접적 의사소통 기회는 줄어들 게 될 것이다.
SNS가 대인관계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SNS는 한정된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프로필을 구성하고 자신과 연결된 명단을 공개하고 이어줌으로써 연결을 확장해 나가는 웹기반 서비스로서[24]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등을 통해 사람들과 신속하게 소통할 수 있으므로 친화 욕구가 충족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인관계유지에 있어 시간적 ․ 공간적 제약이 적어 편리한 면은 있으나 일상에서의 활동을 수행하거나 타인과의 직접적 의사소통 기회는 줄어들 게 될 것이다. 초기 성인기의 대학생은 친밀한 타인과의 관계형 성을 통해 정체감의 확립에 힘써야 하는 시기[25]로 성숙한 대 인관계 기술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원만히 적응해 나가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H. College student depression/suicide rate increases [Internet]. Seoul: University News Network. 2018 [cited 2018 August 01]. Available from: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7725 

  2. Lee EH.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1):25-48. 

  3. Park YH.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111-116. https://doi.org/10.4094/chnr.2017.23.1.111 

  4. Rudolph KD, Hammen C, Burge D, Lindberg N, Herzberg D, Daley SE. Toward an interpersonal life-stress model of depression: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stress gener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00;12(2):215-23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2066 

  5. Hirsch JK, Barton AL. Positive social support, negative social exchanges, and suicidal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11;59(5):393-398. https://doi.org/10.1080/07448481.2010.515635 

  6. Lee YU, Park HJ, Heo CG. The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16;30(1):63-80.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4 

  7. Shin JH, Kim YH, OH YS. 2017 Korea media panel survey. Administration data. Jin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7 December. Report No.: 17-11-02. 

  8. Kim JH, Kim MS, Nam Y. An analysis of self-onstruable, motivations, Facebook use, and use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010;26(11-2):077-099. https://doi.org/10.1080/10447318.2010.516726 

  9. Kwahk CH, Hong HY.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8;25(3):33-62. https://doi.org/10.21509/kjys.2018.03.25.3.33 

  10. Kim SY, Park MJ, Park BK.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4):454-462. https://doi.org/10.5762/KAIS.2018.19.4.454 

  11. Gu HJ, Lee OS, Hong MJ.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self assertiveness, interpersonal problems and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4):180-187. https://doi.org/10.5762/KAIS.2016.17.4.180 

  12. Kim JH. Comparison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net addiction on anonymity in online, narcissism, depression, anxiety,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13. Baker DA, Algorta GP.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016;19(11):638-648. https://doi.org/10.1089/cyber.2016.0206 

  14. Kang JH, Moon TS. Influence of SNS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SNS and mediating effect of habit.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2017;17(4):19-34. 

  15. Jeong SR, Hyun MH. Mediating effects of inferiority feel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Focusing on Facebook use by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5;20(4):703-717.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1 

  16. Lee JH, Kim HY, Kang JS. The effect of loneliness on SNS addiction: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nd its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7;36(2):154-16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2 

  17. Steers MN, Wickham RE, Acitelli LK. Seeing everyone else's highlight reels: How Facebook usage is linked to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14;33(8):701-731. https://doi.org/10.1521/jscp.2014.33.8.701 

  18. Andreassen CS, Torsheim T, Brunborg GS, Pallesen S.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Psychological Reports. 2012;110(2):501-517. https://doi.org/10.2466/02.09.18.pr0.110.2.501-517 

  19. Jung SY, Kim J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4;19(1):147-166.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8 

  20. Hong SH, Park EY, Kim YH, Kwon JH, Cho YR, Jin YK.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flex scales (KIIP-SC).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21(4):923-940. 

  21. Radloff LS. The D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2.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4. Boyd DM, Ellison N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07;13(1):210-230.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25. Arnett JJ.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2000;55(5):469-480. https://doi.org/10.1037//0003-066x.55.5.469 

  26. Pantic I.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mental health.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014;17(10): 652-657. https://doi.org/10.1089/cyber.2014.0070 

  27. Park S, Lee SW, Kwak J, Cha M, Jeong B. Activities on Facebook reveal the depressive state of user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3;15(10):e217. https://doi.org/10.2196/jmir.2718 

  28. Chou HT, Edge N. "They are happier and having better lives than I am": The impact of using Facebook on perceptions of others' liv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012;15(2):117-121. https://doi.org/10.1089/cyber.2011.0324 

  29. Hong EY.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1):5-17. https://doi.org/10.5932/jkphn.2015.29.1.5 

  30. Yoon HS, Kim GH, Kim JY. Effectivenes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6):805-813. https://doi.org/10.4040/jkan.2011.41.6.8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