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Working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341 - 351  

양현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방설영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제남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병동운영지원체계, 간호수행도, 직무만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 C시 소재 500병상 미만 규모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37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과 AMOS 18.0으로 분석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병동운영지원체계와 소진이었으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간호수행도와 직무만족이었다.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효과가 가장 큰 것은 소진이었으며, 소진은 간호수행도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직무만족은 병동지원체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병동운영지원체계를 강화하여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간호수행에 대한 부담과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ward operation support system of ward nurs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nurses working at c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병동운영지원체계, 간호수행,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모형을 구성한 후 공분산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모형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병동운영지원체계, 간호수행도, 직무만족, 소진이 어떤 경로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동운영지원체계, 간호수행도, 직무만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를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요인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가설모형의 적합도와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공분산 경로분석 연구이다.
  • 이를 통해 이 요인들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간호사 이직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그러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운영지원체계가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병동운영지원체계와 연구자에 따라 결과에 차이를 보였던 간호수행도, 직무만족, 소진을 포함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요인들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간호사 이직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란 무엇인가? 5%가 사설간병인을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1]. 이러한 현상은 간호의 질 저하와 간병비용 부담 증가를 초래하였으며[2], 이에 정부는 2013년부터 간병을 포함한 모든 간호서비스를 간호인력이 제공하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시범 시작하였고[3], 2016년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명칭을 변경하여 시행하고 있다[4].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가 안전한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간호인력를 적정하게 고용하고, 관련시설을 구비하여 간호사 한명이 5~16명의 환자를 담당하도록 하였다[4].
간호사의 이직의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인간호를 위한 직접간호 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소진 정도가 낮아진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에[12],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사는 근무시간 내에 수행해야 할 업무량이 많아 직무소진 또한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7,8,10]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소진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시행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시행으로 한 명의 간호사가 담당하는 환자수가 감소되어, 직접간호 시간과 입원 환자의 간호만족도가 증가하고[5]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는 높아졌지만[6], 다양한 직접간호 업무와 책임감으로 인해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된다[7].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담당 환자 수는 적으나 직접간호 활동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만족이 낮으며[8,9], 낮은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 S. Ahn & H. J. Kim. (2015). Challenges for introducing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system for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Policy, 4(1), 6-16. 

  2. N. M. Hwang. (2010).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introduction of public caregivers' services in acute medical cente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70, 60-71. 

  3. N. M. Hwang. (2015). Expans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for quality assurance of hospitaliz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Issue & Focus, 286, 1-8.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2016 Guid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Online). Retrieved January 12, 2018,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40/18240 

  5. S. M. Jung & S. H. Yoon. (2017).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of in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o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 general units and nurses' work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3(3), 229-238. DOI: http://dx.doi.org.eproxy .pusan.ac.kr/10.11111/jkana.2017.23.3.229 

  6. H. S. Yoon, J. Y. Lim & M. J. Kang. (2017). Comparison of expectation-percep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care servi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507-52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507 

  7. B. H. Kim & H. Y. Kang. (2018).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5), 459-46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5.459) 

  8. J. H. Park & M. H. Lee. (2017). Effects of nursing and Care giving integrated service on nursing work performanc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effects of nursing and Care giving integrated service on nursing work performanc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4(1), 14-22. DOI : http://dx.doi.org/10.22705/jkashcn.2017.24.1.014 

  9. M. K. Lee & D. Y. Jung. (2015).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rardians. Journal Korea of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1(3), 287-296. DOI: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3.287 

  10. M. H. Kang & S. J. Jang.(2017).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95-103. DOI:https://doi.org/10.15207/JKCS.2017.8.8.095 

  11. E. H. Choi, H. S. Lee, J. H. Kim, M. S. Ko & B. S. Kim. (2013). Effect of changes in nursing delivery system on satisfaction of nurses and patients and direct nursing ti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2), 217-226. DOI: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217 

  12. Y. Rafferty, R. Friend. & P. A. Landsbergis.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kill discretion, decision authority and burnout. Work and Stress, 15(1), 73-85. DOI: https://doi.org/10.1080/02678370120791 

  13. M. Y. Kim.(2018). The Effe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Reliability with Superior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57-465.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457 

  14. S. E. Kim & J. Y. Han. (2017). Clinical Nurses' Job Stress, Emotional labor, Nursing Performance, and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3(3), 336-34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336 

  15. I. S. Kang & Y. H. Kim. (2018).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 1063-1075. 

  16. S. H. Kim & M. A. Lee.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17. S. K. Kim &, G. M. Kim. (2018). Effects of Nurses' Job Stress,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A Comparison o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3), 1609-1624. 

  18. J. O. Kwon & E. Y. Kim. (2012).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14-423.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9. J. H. Kim, S. J. Kim, E. T. Park, S. Y. Jeong & E. H. Lee. (2017).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3), 312-322. DOI: http://dx.doi.org.eproxy.pusan.ac.kr/10.11111/ jkana.2017.23.3.312 

  20. C. F. Waltz, O. L. Strickland & E. R. Lenz. (2010).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4th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1. J. H. Park, Y. H. Sung, M. S. Song, J. S. Cho & W. H. Sim. (2000).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nursing activ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11-1426. 

  22. H. H. Gil & J. S. Choi. (2011).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Caregivers on the Level of Practice, Knowledge, and Importance of Work under No Guardia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1), 55-65. 

  23. S. J. Lee. (2017). The survey of perception,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of comprehansive nursing 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47-253. DOI:10.15207/JKCS.2017.8.4.247 

  24. D. B. Slavitt, P. l. Stamps, E. B. Piedmont & A. M. Hasse.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25. S. N. Kim. (1998). A Study of Degree of Duty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t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6. S. J. Hong. (2008). Comparisons of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and Nurses in general ward. Unpublished master's thet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7. A. M. Pines, E. Aronson & D. Kafry.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The Free Press. 202-222. 

  28. E. H. Pick. (1983).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0-11. 

  30. S. J. Moon. (2010).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s of changing workpl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1. H. S. Lee & J. H. Lim.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Seoul: JypHyunJae Publishing CO. 

  32. G. S. Yoon & S. Y. Kim.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507-516. 

  33. Y. R. Kim. (2007).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ncolog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man National University, Jeollanam-do. 

  34. Y. H. Kim, J. H. Choi & K. E. Kim. (2009). The impact of job overload, relationship with senior on nurses' intention to quit their jobs-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72-381. 

  35. H. J. Kim. (2018).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General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6. K. J. June & S. W. Byun.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05-313. 

  37. J. H. Jeong, J. S. Kim & K. H. Kim. (2008).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35-44. 

  38. J. S. Kang. (2016).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Medical Practitioners: Focusing on the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0(3), 203-223. 

  39. S. Min et al. (2011).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1), 1-21. 

  40. M. S. Joo & S. N. Jang. (2015). Nursing experience in a hospital without guard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1(4), 133-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