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회피대처방식의 융복합적인 관련성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avoidance coping styles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353 - 360  

김미정 (광주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일대학교의 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2018년 05월 02일부터 05월 28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취업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중 성격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는 정서중심적 대처방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추구와 정서중심적 대처방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들의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우울 같은 정서와 신체상의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으므로 심리지원서비스를 통한 조기 발견과 이의 대처에 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 특강, 캠프 등의 혼합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에서 문제해결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 기술훈련(계획,방법,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ping style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14 students in a colleg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02, 2018 to May 28, 2018. There were st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성격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가족환경스트레 스, 학교환경스트레스, 취업불안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스트레스 회피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의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중재전략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대학교 보건행정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전공선택 동기, 입시지원형태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대처방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받는 취업 스트레스 현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대학교 보건행정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전공선택 동기, 입시지원형태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대처방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받는 취업 스트레스 현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중 겪게되는 취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정서중심적 스트레스의 대처방안은?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우울 같은 정서와 신체상의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으므로 심리지원서비스를 통한 조기 발견과 이의 대처에 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 특강, 캠프 등의 혼합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에서 문제해결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 기술훈련(계획,방법,기술)도 고려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청년층인 대학생의 특징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대부분의 직업인들은 자신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기술적 실업이 발생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지며 사회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고 있다. 청년층인 대학생들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해가는 시기로 자아정체성 확립과 대학이라는 새로운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3]과 대학생활 초기부터 스펙 쌓기라는 구직경력 준비에 몰두하면서 능력에 대한 자신의 평가, 직종과 전공의 불일치, 취업에 대한 부담감, 취업 관련 정보 부족, 취업경쟁 속에서 신입생 시기부터 고민과 압박으로 심리적·신 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4,5]. 이러한 스트레스는 단독으로 정서적 부적응으로 적용되지 않고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반응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관여하며[6], 가정 분위기, 가족관계와 경제상태, 부모와의 갈등과 관련해서 느끼는 심리적 고통과 불만에 의한 가족환경스트레스도 관여된다고 보고되었다[7,8].
청년층의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는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청년층인 대학생들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해가는 시기로 자아정체성 확립과 대학이라는 새로운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3]과 대학생활 초기부터 스펙 쌓기라는 구직경력 준비에 몰두하면서 능력에 대한 자신의 평가, 직종과 전공의 불일치, 취업에 대한 부담감, 취업 관련 정보 부족, 취업경쟁 속에서 신입생 시기부터 고민과 압박으로 심리적·신 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4,5]. 이러한 스트레스는 단독으로 정서적 부적응으로 적용되지 않고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반응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관여하며[6], 가정 분위기, 가족관계와 경제상태, 부모와의 갈등과 관련해서 느끼는 심리적 고통과 불만에 의한 가족환경스트레스도 관여된다고 보고되었다[7,8]. 또한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9-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점수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77297&cid43667&categoryId43667 

  2. https://news.joins.com/article/22966455 

  3. E. J. Kim & J. S. Kim. (2010).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arly Adulthoo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ce Coping Style. The Korean Jounal of caunseling and psychotherapy, 22(3), 605-630. 

  4. M. B. Cheon & J. G. Lee. (2013). A Study on The Factors of Job Seeking Stress for Graduand in Korean: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fficacy.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52, 191-214. 

  5. J. E. Shim., H. Y. An. & J. H.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2(1), 103-118. 

  6. M. R. Kim. (2015). Level of Anxiety and Stress in Accordance with Personality Types and Sasang Constitution: Targeting to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2), 145-170. 

  7. R. D. Conger, X. Ge, G. H. Elder Jr., F. O. Lorenz & R. L. Simons. (1994). Economic stress, coercive family process, and developmental problems of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5(2), 541-561. 

  8. Y. M. Kim. (2010). Neighborhood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Stress, and Learned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6, 232-262. 

  9. M. J. Ko & B. Y. Choi.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6), 81-104. DOI: 10.21509/KJYS.2017.06.24.6.81 

  10. J. H. Park & E. K. Lee. (2016).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Femal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 Trus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 831-844. 

  11. H. J. Choi & E. J. Lee. (2012).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61-268. DOI: 10.7739/jkafn.2012.19.2.261 

  12. J. Y. Kim. E. J. Kim & J. S. Kim. (2018). The Medi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4(1), 53-73. 

  13. G. Y. Lee, T. W. Choi & Y. S. Lee. (2015). Stress Effects on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6(2), 197-209. DOI: 10.20434/krmc.2015.08.6.2.197 

  14. J. S. Park. (2011).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areer Risk on Excessive Use of Internet for Rural Adolescents, through Depression and Withdrawal Cop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8), 21-43. 

  15. J. A. Ryu. (2009). A Qualitative Approach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Coping Styl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6), 45-70. 

  16. V. K. Burt & K. Stein. (2002). Epidemiology of depression throughout the female life cycl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3, 9-15. 

  17. R. S. Lazarus & S. Folkman. (1984). The coping proces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formulation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141-180. 

  18. T. E. Choi & Y. R. Lee. (2015). Latent Mean Analysis among Stress of College Life, Avoidance-Oriented Coping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6, 63-88. 

  19. S. J. Oh. (2013). The effects of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on Job-seek stress. Daej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 S. W. Hwang. (1998).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Donga university, Master's thesis. 

  21. S. S. Kim. (2009). Effects of the pursued job valu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certified qualifications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on their job search stress.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2. Y. H. Chang. (2011).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n psychological burnout -Focused on the Fire Fighting. Kwangwoon University, mater's thesis. 

  23. H. J. Kim.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ment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Physical Symptom in University Students. Kyungp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4. Y. J. Hong. (2015). The effects of job -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senior college students who had ever thought about suicide.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5. Y. H. Park. (2017).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Anxie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2), 41-61. DOI:10.14367/kjhep.2013.30.2.041 

  26. S. H. Park & H. J. Park. (2009). Coping as a Mediator between Career-related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67-81. 

  27. J. H.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2), 325-345. 

  28. V. S. Helgeson & E. T. Shelley. (1993). Social Comparisons and Adjustment Among Cardiac Patient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3(15), 1171-1195. 

  29. S. J. Lee & M. K. Song. (2013). The Relations among Positive Illusions, Defense Mechanisms, and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2(1), 177-194. 

  30. Y. M. Baek. (2017).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Focus o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219-227. DOI: 10.5762/KAIS.2017.18.6.219 

  31. J. H. Jeong. (2014). The influences of depressive symptom, avoidance coping, survival and coping belief, and self-compassion on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intent. Hallym University, Master's thesis. 

  32. C. L. Park & M. O. Iacocca. (2014). A stress and coping perspective on health behavior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nxiety Stress Coping, 27(2), 123-137. 

  33. A. B. Billings & R. H. Moos.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2), 139-157. 

  34. C. J. Forsythe & B. E. Compas. (1987). Interaction of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ful events and coping: Testing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4), 473-485. 

  35. H. Y. Choi. (2013). Stress coping patter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2(1), 1-21. 

  36. J. Feist & L Brannon. (2009). Health Psychology. 6th edition. An Introduction to Behavior and Health, Wadsworth, Los Angele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