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에 대한 융합연구: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jective Social Class on Suicide Ideation of Middle Aged Adults: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108 - 115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연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45~64세) 남녀를 대상으로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사회적 지지의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살생각에 영향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렬 이중 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동거인 여부와 우울을 보정한 상태에서 독립변수인 주관적 사회계층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β =0.23, p<.001)와 자아존중감(β =0.12, p <.001)에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 =0.21, p<.001).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에 주관적 사회계층(β =-0.25, p<.001), 사회적 지지(β =-0.32, p<.001)와 자아존중감(β =-0.19, p=.001)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주관적 계층이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거쳐 자살생각에 이르는 다중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중년성인을 대상으로 생활터 기반의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는 중년성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여, 자살예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ouble mediati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ocial class and the suicide thoughts of middle aged men and women. The subjective social class was analyzed in a parallel double-mediated model to 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을 보정한 상태에서 주관적 사회계층,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면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내외 연구에서도 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에 따른 정신 건강의 차이를 보고한 바 있다[8,14]. 이에 본 연구에서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우울을 보정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 게다가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들의 관계를 단면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을 뿐, 사회경제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을 보정한 상태에서 주관적 사회계층,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G. Marmo, M. J. Shipley & G. Rose. (1984). Inequalities in death - Specific explanations of a general pattern? The Lancet, 1(8384), 1003-1006. 

  2. S. Li, Q. Zhang & P. Muenning. (2018). Subjective assessment of income and social class on health and survival: an enigma. SSM-Population Health, 6, 295-300. 

  3. N. E. Adle et al. (2000).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ocial statu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preliminary data in healthy white women. Health Psychology, 19, 586-592. DOI : 10.1037//0278-6133.19.6.586 

  4. V Bacak. (2017). Measuring inequalities in health from survey data using self-assessed social class. Journal of Public Health, 40(1), 183-190. DOI : 10.1093/pubmed/fdx036 

  5. A. Baum, J. P. Garofalo & A. Yal. (1999). Socioeconomic status and chronic stres: Does stres acount for SES efects on health?. A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30(1), 129-141. 

  6.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9). 2018 Suicide Status Statistics. Seoul: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http://spckorea-stat.or.kr/boadpublishview.do 

  7. E. Park. (2014). Suicide ideation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by gender.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39(3), 161-175. DOI : 10.5393/JAMCH.2014.39.3.161 

  8. E. Park. & S. J. Choi. (2013).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2(2), 88-96. DOI : 10.12934/jkpmhn.2013.22.2.88 

  9. J. Hong & J. Yi. (2017). The relationship of subjective social status to mental health in South Korean Adults. World Psychiatry, 16, 106-107. DOI : 10.1002/wps.20357 

  10. S. E. Lee. (2017).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cross the life cyc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Pshycho-social anxiety surve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2), 109-118. DOI : 10.7475/kjan.2017.29.2.109 

  11. H. J. Um & H. J. Jun. (2014). Predictive factors for mid-aged male and female adults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2), 35-62. 

  12. J. H. Son & M. S. Her. (2013).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Women in Daegu. Korea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9(2), 155-178. 

  13. E. S. Epel et al.(2004). Accelerated telomere shortening in response to life stres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 17312-17315. 

  14. K. An, M. Kim, D. Kim & Y. Suh. (2012).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middle-aged men. Korean J Clin Geri, 13(4), 181-188. 

  15. M Rubin & S Rebecca. (2018). Kill or cure? different types of social class identification amplify and buffer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lass and mental health. The Jouranl of Social Psychology, 158(2), 236-251. 

  16. K. An M. Kim, D. Kim, Y. Suh & D. Kim. (2012).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middle-aged men.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3(4), 181-188. 

  17.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F. J. Kohout, L. F. Berkman, D. A. Evans & J. Cornoni-Huntley.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Health, 5(2), 179-93 

  19. J. Takeshita et al.(2002). Are depressive symptom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elderly Japanese American men?: The Honolulu Asia Aging Study. Am Journal of Psychiatry, 159, 1127-1132. 

  20. Y. Lee. (2018). Changes in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the yout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4), 465-491. DOI : 10.15709/hswr.2018.38.4.465 

  21. S. A. Kim & S. Y. Kim. (2011). The impa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2, 109-130. 

  22. B. J. Jon. (1976). Self-esteem; a test of its mensurability.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11, 107-130. 

  23. W. K. Lee, H. S. Park & J. Y. Lee. (2019).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Aging anxiety on the Mid-life Crisis: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35(2), 99-122. 

  24.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