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감정의 사회적 의미 조사 모델 제안 -대화형 에이전트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Suggestion of a Social Significance Research Model for User Emotion -Focused on Conversational Agent and Communi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3, 2019년, pp.167 - 176  

한상욱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의 선두에 있는 대화형 에이전트는 앞으로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를 목표로 하며, 다양한 IoT와 연결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개인화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정을 인지하고 올바른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대화형 에이전트가 풀어야 할 숙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감정의 정의와 과학적 공학적 접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감정이 가진 사회적인 기능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가 있는지 사회적 관점을 통해서 알아보고 이를 이용하여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의 사회적 요소들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용자 발화에서 사회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감정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연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화형 에이전트를 디자인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상호작용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versational agent, which is at the forefront of the 4th industry, aims to personalize the user-centered focus in the future and holds an important position to have a hub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IoT devices. It is a challenge for interactive agents to recognize the user's emotions an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감정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을 가지며 컴퓨터가 사람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과 사용자 경험 제공을 위해서 넘어서야 하는 부분이다. 감정이 가지는 사회적 부분을 알아보기 위해서 감정에 대한 접근이 심리학, 사회학에서 어떻게 진행되었고 이를 바라보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감정을 어떻게 접근했고 사회적 요소를 알아본다.
  • 이를 통해 인간이 컴퓨터에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인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관계를 응용하여 대화형 에이전트가 감정을 인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감정에 대한 개념과 이를 응용하는 학문인 감성 공학과 감성 컴퓨터를 밝히고, 감성공학과 감성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 이 둘은 컴퓨터 에이전트에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을 부여하기 위해 현재 주로 사용되는 학문이다[12,13]. 그리고 이 두 학문은 인간이 감정을 어떻게 생성되고 목적이 무엇인지, 이를 분석하고 컴퓨터가 인식할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를 각각 연구한다.
  • 먼저 감정과 대화형 에이전트의 정의를 설명한다. 그리고 컴퓨터와 사용자의 관계적 속성을 알아보고 컴퓨터가 사용자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어떤 이점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인간이 컴퓨터에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인지를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감정의 사회적인 부분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떻게 사회적 요소들을 추측하고 수집할 수 있는지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디자이너가 대화형 에이전트 디자인에 있어, 감정의 사회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디자인 한다면, 더욱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과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앞으로의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과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르게 개개인 사용자 중심으로 접근과 사회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의 융·복합적 접근이 더욱 필요해졌다. 이 연구는 대화형 에이전트의 사용자 중심의 UX 디자인에 있어, 감정의 사회적 의미와 이를 어떻게 사용자 대화나 발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감정의 정의와 컴퓨터와 사람의 관계를 먼저 밝힌다.
  • 이 연구는 디자이너가 감정을 중심으로 한 대화형 에이전트를 디자인하는데 감정이 가진 사회적인 요소들을 고려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의 다양한 개념과 정의들, 컴퓨터와 사용자의 관계, 대화형 에이전트의 정의와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 판별하는 방법은 사전에 학습된 긍정/부정 데이터로 분류하는 방법이나, 문장 속 단어를 부분과 묶음으로 나누어 부정/긍정문을 찾는 방법, 출현 빈도 혹은 문법적 구조를 파악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17]. 이 연구들은 인간의 감정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분류할 수 있으며, 기계가 감정을 인지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위 연구들을 신경 및 정신 질환의 치료와 예방, 여론 반응 및 조사에 응용되고 있다.
  • 환경이 한 사람의 대화를 만드는 방식 그리고 해석하거나 전달하는 방식을 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화나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떻게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사회적 요소들과 정보를 발견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다.
  • 심리학, 사회학에서 바라보는 감정의 개념과 특징을 본다면 감정의 사회적 요소와 기능이 있으며, 그 부분에는 관계적, 사회적, 맥락적 요소가 있다. 이런 감정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사회적 요소들을 어떻게 사용자의 발화나 커뮤니케이션에서 조사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사용자의 발화나 메시지에서 대화의 수신자, 공간과 상황, 부호화, 목적, 채널 등을 수집하고 분석한다면 어떤 사회적 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는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감정이 가진 사회적 속성을 밝혀내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학과 사회학을 통한 감정의 속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정의 의미를 평가하기 위한 속성 영역은 무엇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 이를 위해 감정의 다양한 개념과 정의들, 컴퓨터와 사용자의 관계, 대화형 에이전트의 정의와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이어 감정에 대한 공학적 접근과 한계점을 밝혀내고, 감정의 사회적 접근을 통한 이해가 필요함을 도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화형 에이전트에게 사회적 실재감을 왜 높게 제공해야하는가? 사회적 실재감은 인공물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사람끼리 혹은 지적 생명체와의 상호작용과 유사하게 느끼는 심리상태나 정도를 말한다[7]. 상호작용 실재감이 높은 것을 사람들은 선호하고 그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8]. 컴퓨터와 사람간의 관계에서도 이는 동일하게 적용되어[9], 사용자가 대화형 에이전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대화형 에이전트란 무엇인가? 대화형 에이전트의 정의는 자연어로 이루어진 음성, 텍스트 인식과 인출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컴퓨터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4]. 이를 다시 ‘대화’와 ‘에이전트로’ 나누어 본다면 ‘대화‘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Conversational Uer Interface)라는 의미로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라는 의미이며, 에이전트(Agent)는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도움을 제공하는 지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으로 자세하게 정의할 수 있다.
개인화에 있어 대화형 에이전트에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4차 산업의 선두에 있는 대화형 에이전트는 앞으로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를 목표로 하며, 다양한 IoT와 연결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개인화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정을 인지하고 올바른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대화형 에이전트가 풀어야 할 숙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감정의 정의와 과학적 공학적 접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L. Goasduff. (2018). Emotion AI will personalize interactions, Gartner. https://www.gartner.com/smarterwithgartner/emotion-ai-will-personalize-interactions/. DOI : 10.12811/JKCS.201.11.2.129 

  2. J. Weizenbaum. (1976). Computer power and human reason: from judgment to calculation. San Francisco: W. H. Freeman DOI : 10.12811/JKCS.201.11.2.129 

  3. E. N. Zalta, U. Nodelmen, C. Allen & R. L. Anderson (2018).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tanford. https://plato.stanford.edu/entries/emotion/#toc 

  4. Kopp, S., Gesellensetter, L., Kramer, N. C &Wachsmuth, I. (2005, September). A conversational agent as museum guide-design and evaluation of a real-world application. In Intelligent virtual agents (pp. 329-343). Springer, Berlin, Heidelberg. 

  5. Lu, Y., Peng, F., Wei, X &Dumoulin, B. (2010, July). Personalize web search results with user's location. In Proceedings of the 33rd international ACM SIGIR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pp. 763-764). ACM. 

  6. R. Menon. (2017). The Rise Of Conversational AI. Forbes. https://www.forbes.com/sites/forbestechcouncil/2017/12/04/the-rise-of-conversational-ai/#541879c3b91b 

  7. Nijholt, A. (2004). Where computers disappear, virtual humans appear. Computers &Graphics, 28(4), 467-476. 

  8. M. K. Lee, (2004). Presence, explicated. Communication theory, 14(1), 27-50. 

  9. Nass, C., Steuer, J &Tauber, E. R. (1994, April). Computers are social actor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72-78). ACM. 

  10. Levy, D. (2009). Love and sex with robots: The evolution of human-robot relationships. New York. 

  11. Y. E. Lee. (2018). Scope and Limitations of Affective Computing. orbis sapientiae, 24, 1-13. 

  12. M. H. Kim. (2009).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Wearable Computing and Affective Computing - Design Guidelines for Affective Wearable Systems -.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9(4), 411-420. 

  13. H. J. Yoon. (2011). Autism Diagnosis and Therapy System Using Affective Computing Technology. collection of papers on natural science, 9(1), 1-7. 

  14. Barrett, L. F., Lewis, M &Haviland-Jones, J. M. (Eds.). (2016). Handbook of emotions.Guilford Publications. 

  15. Lisetti, C. L. (1998). Affective computing. 

  16. Pang, B &Lee, L. (2008).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Foundations and Trends(R) in Information Retrieval, 2(1-2), 1-135. 

  17. Y. K. Bea. (2011). Introducing Social Analytics. Naver. https://d2.naver.com/helloworld/1860 

  18. Norman, D. A. (2004).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Civitas Books. 

  19. Andersen, P. A &Guerrero, L. K. (Eds.). (1997). Handbook of communication and emotion: Research, theory, applications, and contexts. Elsevier. 

  20. Boehner, K., DePaula, R., Dourish, P &Sengers, P. (2007). How emotion is made and measured.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5(4), 275-291. 

  21. S.S. Kang & Y. T. Kim. (1992).f A Computational Analysis Model of Irregular Verbs in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Information science journal 19(2), 151-164. 

  22. Damasio, A. R. (1995). REVIEW: Toward a Neurobiology of Emotion and Feeling: Operational Concepts and Hypotheses. The Neuroscientist, 1(1), 19-25. 

  23. J. M. Lee. (2010). 'Embodied Cogn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link between approach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new paradigms and philosophies 

  24. Keijzer, F. A &Bem, S. (1996). Behavioral systems interpreted as autonomous agents and as coupled dynamical systems: A criticism. Philosophical Psychology, 9(3), 323-346. 

  25. Storm, C &Storm, T. (1987). A taxonomic study of the vocabulary of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805. 

  26. Uchida, Y &Kitayama, S. (2009).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east and west: Themes and variations. Emotion, 9(4), 441. 

  27. Averill, J. R. (1985). The social construction of emo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love.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erson (pp. 89-109). Springer, New York, NY. 

  28. Masuda, T., Gonzalez, R., Kwan, L &Nisbett, R. E. (2008). Culture and aesthetic preference: Comparing the attention to context of East Asians and America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9), 1260-1275. 

  29. Barbalet, J. (2008). Weber, passion and profits:'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in context. 

  30. H. S Park. & S. N. Jung. (2009). Toward the Macro-sociology of Emotions. Social and theory, 195-234. 

  31. Kemper, T. D. (1991). Predicting emotions from social relation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330-342. 

  32. Dumouchel, P. (2008). Social emotions. Animating Expressive Characters for Social Interaction, 74, 1. 

  33. Burkitt, I. (2002). Complex emotions: Relations, feelings and images in emotional experience. The sociological review, 50(2_suppl), 151-167. 

  34. Hochschild, A. R.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35. Salovey, P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36. Culler, J. D. (1986). Ferdinand de Saussure. Cornell University Press. 

  37. Fiske, J. (201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Routledge. 

  38. Rodman, G. R &Adler, R. B. (2003). Understanding human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9. Ogden, C. K., Richards, I. A., Malinowski, B&Crookshank, F. G. (1923). The meaning of meaning (pp. 9-12). London: Kegan Paul. 

  40. S. M. Yoon. (2007). Understanding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ooks. 

  41. B. G. Cha. (1987). Communication Theory, SeaYungSa. 

  42. Giddens, A. 1991,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Polity Press, Cambridge, UK, pp. 109-120. 

  43. Gumperz, J. J. (Ed.). (1982). Language and social identity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Atkinson, J. M., Heritage, J &Oatley, K. (Eds.). (1984). Structures of social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