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alysis on the Operating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313 - 331  

장보성 (국립장애인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일반학교 학교도서관과 비교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별, 학교 설립별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는 장서, 예산, 열람좌석,이용 측면에서 현저하게 미흡한 수준이다. 특수학교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57.9권, 대출자료 수는 10.8권인 반면 일반학교는 96.7권 29.6권이다. 예산은 특수학교가 일반학교의 30% 수준이며, 일반학교의 90%이상이 20석 이상의 열람좌석 수를 보유한 반면, 특수학교는 75개교(42.9%)에 불과하다. 소장 장서 대비 이용량에서도 채 1권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전담직원이 있는 학교는 47개교(26.8%)이며, 사서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20개교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장애인 기관과의 협력, 기본적인 장서와 전담인력, 시설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on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fter comparing with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with general schools by region and school establishment, special schools are lacking in collection, budget, 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지영, 박현옥, 이정은(2013)은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담당자(특수교사 5명)와 포커스 인터뷰 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 사례, 지적장애학생 대상 학교도서관 운영의 어려움,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및 학교도서관 운영 관련 지원 요구라는 3개의 주제 하에 11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각 주제를 토대로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지적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교 도서관 운영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연구내용은 일반 통계현황과 지역별, 설립별 도서관자료 보유현황, 도서관 운영과 이용현황을 일반학교의 학교도서관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부 학교알리미 사이트(https://www.schoolinfo.go.kr) 내 175개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장애영역별로 도서관자료 보유현황, 도서관 운영 및 이용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객관적인 실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지역별, 설립별 현황을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의 일반학교 학교도서관과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은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설립 및 운영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하지만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해 설립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은 사정이 다르다.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설립 및운영 근거는 특수학교시설·설치 기준령과 학교도서관진흥법에 있다. 이러한 법적·제도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실제 우리나라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은 유명무실한 존재로 운영되고 있다.
특수학교는 무엇인가? 특수학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 및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은 전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29%로 장애 정도가 심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교육통계서비스 2016).
학교도서관진흥법에 따르면 교원의 배치는 어떠해야 하는가? 시행)에 따라 초중고 모든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학생들의 독서나 자료 활용을 전문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초중고 모든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실기교사 또는 사서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야 하며 정원ㆍ배치기준ㆍ업무범위 등은 학교 규모와 사서교사 등의 자격유형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진흥법 개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학생과 교원의 학습 및교수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Education. 2017. The 5th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 Ministry of Education.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Opreation of Sepcial Schools Consider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 Ministry of Education. 2018. 2018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Seoul: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Seoul: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6. Kim Jong Sung. 2013. "Trends Analysis of School Library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71-91 

  7. Kim Ji Min. 2014.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Libraries of Special School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Journal of the Reading Education, 2(1): 223-241. 

  8. Ryu Myung Ok, Lee Mi Suk, Noh Jin A. 2012. "The Survey Research on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Way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Jouan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4(1): 179-201. 

  9. Son Ji Young, Park Hyun Ok, Lee Jueng eun. 20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School Library Servi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2(1): 181-206. 

  10. Yeom Ji Ae, Kim Dong Bok 2016. "A Study on the Operation Condition and Students' Percepion of Libraries in the Schools for the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Visual Impairment, 32(1): 41-66 

  11. Lee Mi Suk, Song Gi Ho. 2011. "The Current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Librar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12(3): 507-534. 

  12. Chun Ji Yun. 2017.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s with disabilites in school libraries. Thesis, Chobuk National University. 

  13.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online]. [cited 2019. 2. 20]. 

  14. Huang. S.T. 2009. "Reference service for disabled individuals in academic libraries." The Reference Librarian, 11(25-26): 527-539. 

  15. Janet Murry. 2010. "School libraries and special education." The Australian Library Journal, 49(4): 357-36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