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Behavior on Job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3, 2019년, pp.438 - 446  

강천국 (백석문화대학교 보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4년 9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직무소진이 간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 직무소진,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 및 조직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차지하는 인력 및 업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조직차원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간호사들의 직무소진을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 상사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리더십 교육 및 모델을 개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on - personality behavior of supervisors on the job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A survey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0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from September 20 to Oc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의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인력이 가장 많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소진이란 무엇인가? Freudenberger[15]는 직무소진을 성공적인 직무수행에 대한 조직 내외의 압력과 본인의 능력보다 많은 요구사항이 주어지는 것에 대한 인식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갈 상태를 소진으로 정의하였고, 구성원이 과도한 업무로 인하여 경험하는 피로와 좌절상태로 이 상태가 지속되면 신체적, 정신적 탈진이 발생하게 된다고 하였다.
상사와의 원만한 관계는 부하 직원에게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상사와의 원만한 관계는 부하 직원에게 심리적 안녕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 품질 향상, 조직성과 증진이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에 감정고갈, 심리적 불안 증세 등 부적절한 관계를 유발함으로써 조직성과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2].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간호사는 다른 직종과는 달리 특별히 스트레스가 많은 업무 환경 속에서 직무를 수행하며 그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어[6].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간호업무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직무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상사와의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H. Lee, J. Y. Moon, I. M. Heo & J. H. Lee,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Workplace Devianc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806-2820, 2014.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4.15.5.2806 

  2. P. Y. Kim & Y. L. Le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ravel Agenc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5, pp. 507-514, 2015.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5.15.05.507 

  3. S. M. Ha & J. S. Moon,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 engagement :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Korea Associ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16, no.1, pp. 75-101, 2013. 

  4. B. Estes, & J. Wang, "Workplace incivility: Impact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vol. 7, no. 2, pp. 218-240, 2008. DOI: https://doi.org/10.1177/1534484308315565 

  5. Y. J. Choi,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Behavior of Superviso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reativ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HA University, Pocheon, 2015. 

  6. B. D. Kirkcaldy, & T. Marti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among nurses: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 Health, vol. 16, pp. 77-89, 2000. DOI: https://doi.org/10.1002/(SICI)1099-1700(200003)16:2 3.0.CO;2-Z 

  7. M. K. Shoss, R. Eisenberger, S. L. D. Restubog, & T. J. Zagenczyk, "Blaming the organization for abusive supervision : The rol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J. of applied psychology, vol. 98, no. 1, pp. 158-168, 2013. DOI: http://dx.doi.org/10.1037/a0030687 

  8. H. S. Yang.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f casino managers on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alizing on control effects of interactive justice", Kyonggi University, Suwon, 2015. 

  9. B. E. Ashforth, "Petty tyeanny in organization;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Canadian J. of Administrative Sciences, vol. 14, no. 2, pp. 126-140. 1997. 

  10. C. S. Lim & H. S.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15, no. 3, pp. 85-115, 2013. 

  11. B. J. Tepper, "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3, no. 2, pp. 178-190, 2000. 

  12. J. H. Han, " Antecedents of abusive Supervision and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ir Resistance", Sogang University, Seoul, 2009. 

  13. D. Carlson, M. Ferguson, E. Hunter & D. Whitt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the path through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23, no. 5, pp. 849-859, 2012. DOI: https://doi.org/10.1016/j.leaqua.2012.05.003 

  14. M. K. Duffy, D. Ganster & M. Pagon, "Social undermining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5, no. 2, pp. 331-351. 2017. DOI: https://doi.org/10.5465/3069350 

  15. H. Freudenberger, "Staff burn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30, no. 1, pp. 159-165, 1974. 

  16. S. A. Park,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 Factors Affecting Job Commitment and Burnout",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vol. 15, no. 1, pp. 227-248, 2006. 

  17. C. Maslach, W. B. Schaufeli & M. Leiter,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2, pp. 397-422, 2001. DOI: https://dx.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18. E. Demerouti, K. Mostert & A. B. Bakker,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independency of both construc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15, no. 3, pp. 209-222, 2010. DOI: https://dx.doi.org/10.1037/a0019408 

  19. S. E. Kim,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ynicism", Korea University, Seoul, 2014. 

  20. S. Y. Lee,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17. 

  21. R. M. Steer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0, no. 4, pp. 546-558, 1975. DOI: https://dx.doi.org/10.2307/2392022 

  22. J. P. Campbell,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odman PS, Pennings JM, Associates, ed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pp. 13-55, 1977. 

  23. J. P. Curry, D. S. Wakefield, J. L. Price & C. W. Mueller, "On the Causal Ordering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9, no. 4, pp. 847-858, 1986. 

  24. N. J. Allen &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 63, pp. 1-18, 1990. DOI: https://dx.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5. T. S. Bateman & D. W. Organ, "Job Satisfaction and the Good Soldier: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Employee Citize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6, no.4, pp. 587-595, 2017. 

  26. S. K.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behavior on the worker's behavioral outcomes", Donga University, 2013. 

  27. S. J. Hwang & B. J. J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Deviance", Korea Business Review, vol. 45, no. 2, pp. 593-614, 2016. DOI: https://dx.doi.org/10.17287/kmr.2016.45.2.5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