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을재배 찰옥수수의 등숙에 따른 지방산 조성 및 Phytosterol 함량 변화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tosterol Content During Ripening Period of the Autumn-Sown Waxy Cor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1, 2019년, pp.25 - 32  

김선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김미정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  정건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이진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손범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김정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배환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고영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  백성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찰옥수수 가을재배시 등숙에 따른 종실의 지방산조성과 phytosterol의 함량변화를 검토하여 고품질 풋옥수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옥수수 출사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고, 흑진주찰은 일미찰보다 조지방 함량이 높았다. 2. 출사후 일수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비는 뚜렷한 변화를 보였는데,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는 점차 감소되었으나 oleic acid는 증가되었고, 흑진주찰은 일미찰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다소 높았다. 3. 출사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총 phytosterol의 함량은 증가하여 출사후 33일에 함량의 최대치를 보였는데, 일미찰의 총 phytosterol 함량은 937.7 mg/100 g, 흑진주찰은 867.9 mg/100 g이었으나 품종간 통계적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4. Phytosterol의 조성은 품종간 차이를 보였는데, 일미찰은 ${\beta}-sitosterol$ > stigmasterol > campesterol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흑진주찰은 ${\beta}-sitosterol$ > campesterol > stigmasterol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성분별로 볼 때 campesterol 함량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은 흑진주찰이 일미찰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5. Palmitic, linolieic, linolenic acid는 campesterol 및 ${\beta}-sitosterol$과 유의한 부(-)상관이 있었고, stearic acid는 stigmasterol과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Oleic acid는 campesterol 및 ${\beta}-sitosterol$과 정상관이 있었으나 stigmasterol과는 부상관이 인정되어 찰옥수수 등숙중 종실의 지방산 조성은 phytosterol의 함량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tosterol content of the autumn sowing waxy corn during its ripening period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and value-added fresh ears. The content of crude oil in the waxy corn kernels steadily increased with 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재배기술이 확산되고 있는 찰옥수수 가을재배시 출사후 일수에 따른 종실의 지방산조성 및 phytosterol의 함량변이를 검토하여 풋옥수수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찰옥수수 가을재배시 등숙에 따른 종실의 지방산조성과phytosterol의 함량변화를 검토하여 고품질 풋옥수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ytosterol는 무엇입니까? Phytosterol은 식물계에 널리 함유된 steroid alcohol류의 물질로서 생체막 구성에 관여하며 투과성 조절 및 막의 견고성 유지 등의 생체기능에 관여(Piironen et al., 2000)할 뿐만 아니라 위와 장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조절, lipoprotein(HDL, LDL) profile 개선, 면역증강, 전립선 건강, 혈당조절 및 동맥경화증 예방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Jiang & Wang, 2005; Moreau et al.
찰옥수수의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찰옥수수는 1989년 일대교잡종(F1 hybrid)인 찰옥1호가국내최초로 개발되어 농가에 보급되면서 신품종 개발을 비롯한 재배․생리 및 수확후 품질관리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찰옥수수와 관련된 연구는 수량이 많고 조숙성이며, 각종 내재해성 및 기능성이 높은 품종개발 등에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일미찰과 흑진주찰의 어떻게 구분하는가? 출사후 등숙에 따른 찰옥수수의 지방산 조성과 phytosterol함량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찰옥수수 일대 교잡종인 일미찰과 흑진주찰2품종을 사용하였다. 일미찰은 단교잡종으로 출사일수가72일인 중만숙종 백색 찰옥수수이고, 흑진주찰은 출사일수가 74일인 중만숙종으로 안토시아닌 색소를 다량으로 함유한 검정찰옥수수이다(Fig. 1) 찰옥수수의 파종은 수원시 권선구 소재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시험연구포장에 2013년 7월 20일 노지직파(가을재배) 하고,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출현된 출사기 이후 출사후 일수 경과에 따라 5회(21, 24,27, 30, 33일) 이삭을 채취하여 동결건조 후 이삭에서 종실을 분리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yerdi G. A., M. Berger, F. Labalette, S. Centis, and J. Dayde, and A. Calmon.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fatty acid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content in sunflower cultivars (Helianthus annuus) from a three-year multi-local study. ${\Phi}$ YTON. 84 : 14-25. 

  2. Chung O. K. and J. B. Ohms. 2000. Cereal lipids. In: Handbook of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pp 417-477. 

  3. Curtis, P. E., E. R. Leng, and R. H. Hageman. 1968. Development changes in oil and fatty acid content of maize strains varying in oil content. Crop Sci. 8 : 689-693. 

  4. Davis, D. L. and C. G. Poneleit. 1974. Sterol accumulation and composition in developing Zea mays L. kernels. Plant Physiol. 54 : 794-796. 

  5. Davis, D. L. and C. G. Poneleit. 1975. Sterols in developing seed from low and high oil Zea mays strains. Phytochemistry. 140 : 1201-1203. 

  6. Gillingham, L. G., S. Harris-Janz, and P. J. Jones: 2011. Dietary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re protective against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Lipids. 46 : 209-228. 

  7. Harrabi S., F. Sakouhi, A. St-Amand, S. Boukhchina, H. Kallel and P. M. Mayer. 2007. Accumulation of phytosterols, triterpene alcohols and phytostanols in developing Zea mays L. kernels. J. Plant Sci. 2(3) : 260-272. 

  8. Jellum, M. D. 1967. Fatty acid composition of corn (Zea mays L.) as influenced by kernel position on ear, Crop Sci. 7 : 593-595. 

  9. Jellum, M. D. and J. E. Marion. 1966. Factors affecting oil content and oil composition of corn (Zea mays L.) grain, Crop Sci. 6 : 41-42. 

  10. Jiang Y. Z. and T. Wang. 2005. Phytosterols in cereal byproducts. J. Am. Oil Chem. Soc. 82 : 439-444. 

  11. Jung, G. H., J. E. Lee, J. H. Seo, S. L. Kim, D. W. Kim, J. T. Kim, T. Y. Hwang, and Y. U. Kwon. 2012. Effects of seeding dates on harvesting time of double cropped waxy corn. Korean J. Crop Sci. 57(2) : 195-201. 

  12. Kemp R. J. and E. I. Mercer. 1968. Studies on the sterols and sterol esters of the intracellular organelles of maize shoots. Biochem. J. 110 : 119-125. 

  13. Kim S. L., M. J. Kim, G. H. Jung, Y.Y. Lee, B. Y. Son, J. T. Kim, J. S. Lee, H. H. Bae, Y. S. Go, S. G. Kim, and S. B. Baek. 2018.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ytosterols in maize kernel and cob. Korean J. Crop Sci., 63(2) : 131-139. 

  14. Kim M. J., J. E. Lee, J. T. Kim, G. H. Jung, J. S. Lee, S. L. Kim, K. J. Y, W. H. Kim, and I. M. Chung. 2015. Changes in Ear and Kernel Characteristics of colored waxy corn hybrids during ripening with different sowing dates. Korean J. Crop Sci., 60(3) : 308-317. 

  15. Moreau, R. A., B. D. Whitaker, and K. B. Hicks. 2002. Phytosterols, phytostanols and their conjugates in foods: structural diversity, quantitative analysis, and health-promoting uses. Prog. Lipid Res. 41 : 457-500. 

  16. Nes W. 1987. Multiple roles for phytosterols. In: P. Stumpf, Editor, The Metabolism.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Lipids, Plenum Press, New York, pp. 3-9. 

  17. Orhun G. E. and K. Z. Korkut. 2011.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oil and fatty acids in maize. Afr. J. Agric. Res. 6(9) : 2115-2117. 

  18. Ostlund R. E., Jr. S. B. Racette, A. Okeke, and W. F. Stenson. 2002. Phytosterols that are naturally present in commercial corn oil significantly reduce cholesterol absorption in humans. Am. J. Clin. Nutr. 75 : 1000-1004. 

  19. Phillips, K. M., D. M. Ruggio, and M. Ashraf-Khorassani. 2005. Phytosterol composition of nuts and seeds commonly consumed in the United States. J. Agric. Food Chem. 53 : 9436-9445. 

  20. Poneleit, C. G. and D. L. Davis. 1972. Fatty acid composition of oil during maize kernel development. Phytochemisry. 11 : 3421-3426. 

  21. Piironen V., D. G. Lindsay, T. A. Miettinen, J. Toivo, and A. Lampi. 2000. Plant sterols: Biosynthesis, biological function and their importance to human nutrition. J. Sci. Food Agric. 80 : 839-966. 

  22. Rivera del Alamo R. M., G. Fregapane, F. Aranda, S. Gomez-Alonso, and M. D. Salvador. 2004. Sterol and alcohol composition of Cornicabra virgin olive oil: the campesterol content exceeds the upper limit of 4% established by EU regulations. Food Chemistry. 84 : 533-537. 

  23. Rouf S., T. P. Kamlesh, and K. Pradyuman. 2016. Maize-A potential source of human nutrition and health: A review. Cogent Food & Agriculture. 2 : 1166995-116703. 

  24. Ryan E., K. Galvin, T. P. O'Connor, A. R. Maguire, and N. M. O'Brien. 2007. Phytosterol, squalene, tocopherol content and fatty acid profile of selected seeds, grains, and legumes. Plant Foods Hum. Nutr. 62 : 85-89. 

  25. Silbernagel, G., B. Genser, P. Nestel, and W. Marz. 2013. Plant sterols and atherosclerosis. Curr. Opin. Lipidol. 24 : 12-17. 

  26. St-Onge M. P., B. Lamarche, J. F. Mauger, and P. J. Jones. 2003. Consumption of a functional oil rich in phytosterols and medium-chain triglyceride oil improves plasma lipid profiles in Men. J. of Nutrition. 133(6) : 1815-1820. 

  27.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2012. Phytosterols market ( ${\beta}$ -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ergosterol) - global industry analysis, market size, share, growth and forecast, 2010-2018. https://www.transparencymarketresearch.com. 

  28. Weihrauch J. L. and J. M. Gardner. 1978. Sterol content of foods of plant origin. J. Am. Diet. Assoc. 73 : 39-47. 

  29. Woyengo, T. A., V. R. Ramprasath, and P. J. Jones. 2009. Anticancer effects of phytosterols. Eur. J. Clin. Nutr. 63 : 813-8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