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이 연구에서는 유칼립투스, 유카와 차나무의 ethanol 추출물의 수지를 이용한 분획 혼합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에 낮은 최소저해농도(0.24~3.32 mg/ml)를 나타내었고 항생제 triclosan과 ampicillin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ime kill assay에서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은 4시간 이내에 미생물 균주의 개체수를 92% 이상 감소시켰고, 모든 미생물 균주의 뉴클레오티드를 상당량 유출시켰으며, 항균 효과는 이가 양이온(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imicrobial effects of a mixture of resin fractionated ethanol extract of Eucalyptus globulus, Yucca recurvifolia, and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The plant fraction mixture showed low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0.24~3.32 mg/ml) against several bacteria and yeast that usually used as the target skin microbes in a cosmetic industry, and it was more effective than antibiotics, triclosan and ampicillin. In a time-kill assay the plant fraction mixture reduced more than 92% of microbial populations during 4 h, and significantly increased leakage of nucleotides from all microorganisms teste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plant fraction mixture was not affected by divalent cation (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화장품 | 국내 테스터 화장품에서 검출된 인간에게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는 미생물은 무엇인가? |
Staphylococcus sp., Candida sp., Micrococcus sp. 등
이 검출되었다(Lundov and Zachariae, 2008). 또한 국내에서도 테스터 화장품에서 비병원성 Bacillus subtilis뿐만 아니라 인간에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는 Staphylococcus sp., Candida sp., Micrococcus sp. 등의 미생물이 다수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Lee, 2017). 위와 같은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은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 각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화장품 | 2005년에서 2008년 사이 유럽지역에서 회수된 173종류 화장품은 주로 무엇에 오염되었는가? |
Pseudomonas aeruginosa
, 2005). 실제 2005년에서 2008년 사이에 유럽지역에서 화장품 173 종류가 회수되었는데 그 중 대부분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오염되었고, 일부에서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와 Klebsiellea sp.이 검출되었다(Lundov and Zachariae, 2008). |
화장품 | 화장품에서 검출되는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로 인해 무엇이 발생할 수 있는가? |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 각막염 등
등의 미생물이 다수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Lee, 2017). 위와 같은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은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 각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ehravan et al.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