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칼립투스, 유카와 차나무의 추출분획 혼합물의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 mixture of ethanol extracts from Eucalyptus globulus, Yucca recurvifolia, and Melaleuca alternifolia against several human skin microb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5 no.1, 2019년, pp.46 - 51  

이다솔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홍인기 ((주)래디안) ,  송홍규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유칼립투스, 유카와 차나무ethanol 추출물의 수지를 이용한 분획 혼합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에 낮은 최소저해농도(0.24~3.32 mg/ml)를 나타내었고 항생제 triclosan과 ampicillin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ime kill assay에서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은 4시간 이내에 미생물 균주의 개체수를 92% 이상 감소시켰고, 모든 미생물 균주의 뉴클레오티드를 상당량 유출시켰으며, 항균 효과는 이가 양이온($Mg^{2+}$$Ca^{2+}$)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Eucalyptus sp., Yucca sp., 및 tea tree의 ethanol 추출물의 수지분획 혼합물이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을 억제하는 효율적인 화장품 방부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imicrobial effects of a mixture of resin fractionated ethanol extract of Eucalyptus globulus, Yucca recurvifolia, and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The plant fraction mixture showed low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0.24~3.32 mg/ml) against several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 0.5, 1, 2, 3과 4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수집한 뒤 10배씩 시료를 희석하여 TSA 배지에 100 μl 도말하고 배양(30°C, 24시간) 후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 5종의 인간 피부상재균에 대한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과 양성 대조군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양성대조군인 항생물질 처리시 C.
  • 96 well에 TSB 배지 160 μl, 추출분획 혼합물 20 μl와 미생물 균주 20 μl를 첨가한 후 배양하였으며(30°C), 18~24시간 뒤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 생장을 판단하고 MIC 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Alhanout et al., 2010).
  •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은 춘천시 소재 ㈜래디안에서 제조한 것을 제공받아 이용하였고 그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한 유카, 유칼립투스와 차나무 잎을 분쇄하여 각각의 분말 500g에 95% ethanol을 10 L 첨가한 후 교반하여(300 rpm, 3시간) 함유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을 공극 0.
  • , 2006)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약용식물의 항균활성은 대부분 한 종류 용매의 추출물이나 essential oil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보다 효율적인 항균효과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칼립투스, 유카 및 차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을 수지로 분획한 후 그 혼합물에 대해 화장품업계에서 주된 미생물 균주로 이용하는 5종류의 피부 상재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평가 하고 항균기작을 조사하였다.
  • 뉴클레오티드 유출 :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에 의해 미생물 균주의 세포가 파괴되어 뉴클레오티드가 유출되는 양상은 인산완충용액으로 각 미생물 균주를 세척하고 개체수를 2~5 × 107 CFU/ml로 조정한 후 1 MIC로 추출분획 혼합물을 첨가하여 평가하였다.
  • 미생물 균주를 TSB 배지에 배양하고(30°C, 24시간) TSB 배지를 이용하여 개체수를 105 ~106 cell/ml로 보정하였다.
  • 각 미생물 균주를 TSB에 배양하여(30°C, 150 rpm) 개체수를 107 cell/ml로 조정한 복식 시료를 준비하였다. 여기에 다양한 농도(400~0.000078 mg/ml) 의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을 처리한 뒤 추가적으로 배양하면서 미생물 생장이 나타나지 않은 항균물질 처리구의 농도를 MIC 로 결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triclosan과 ampicillin (Sigma Aldrich)을 이용하였다.
  • 이가 양이온의 영향 : 항균활성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이가 양이온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미생물 균주의 개체수를 10 7 CFU/ml로 보정하고 추출분획 혼합물은 0.5, 1, 2와 4 MIC로 각각 100 mM의 Mg2+(MgCl2)와 Ca2+(CaCl2)에 용해 시켜 준비하였다. 96 well에 TSB 배지 160 μl, 추출분획 혼합물 20 μl와 미생물 균주 20 μl를 첨가한 후 배양하였으며(30°C), 18~24시간 뒤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미생물 생장을 판단하고 MIC 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Alhanout et al.
  • 추출용액을 공극 0.22 µm의 친수성 PVDF 여과막(RephiLe Bioscience Ltd.)으로 1차 여과한 후 소수성 수지인 Diaion HP-20 (Mitsubishi Chemical Co.)을 이용하여 분획 후 분획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 혼합물 첨가 후 0, 30, 60, 120, 240과 480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공극 0.22 µm의 친수성 PVDF 여과 막으로 여과하고 분광광도계(Shimadzu model UV1700)로 26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0시간 대비 뉴클레오티드 유출 양상을 비교하였다(Lou et al., 2011).

대상 데이터

  • 미생물 균주 : 화장품업계에서 오염방지 표적 미생물로 흔히 이용하는 피부 상재균 5종(Candida albicans ATCC10231, B. subtilis ATCC19659, S. aureus ATCC6538, Pseudomonas aeruginosa KCTC2513, E. coli ATCC8739)을 ㈜래디안으로부터 분양받아 이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tryptic soy broth (TSB, Difco Lab.)에 접종하고 배양하여(30°C, 150 rpm) 이용하였다.
  •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은 춘천시 소재 ㈜래디안에서 제조한 것을 제공받아 이용하였고 그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한 유카, 유칼립투스와 차나무 잎을 분쇄하여 각각의 분말 500g에 95% ethanol을 10 L 첨가한 후 교반하여(300 rpm, 3시간) 함유 성분을 추출하였다.
  • 000078 mg/ml) 의 식물 추출분획 혼합물을 처리한 뒤 추가적으로 배양하면서 미생물 생장이 나타나지 않은 항균물질 처리구의 농도를 MIC 로 결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triclosan과 ampicillin (Sigma Aldrich)을 이용하였다.
  • 5, 1, 2, 3과 4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수집한 뒤 10배씩 시료를 희석하여 TSA 배지에 100 μl 도말하고 배양(30°C, 24시간) 후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triclosan과 ampicillin을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Time kill assay : MIC 농도의 추출분획 혼합물 처리 시 미생물 균주가 사멸하는 양상은 time kill assay (Jayaraman et al., 2010; Al-Ani et al., 2015)로 조사하였다. 미생물 균주를 TSB 배지에 배양하고(30°C, 24시간) TSB 배지를 이용하여 개체수를 105 ~106 cell/ml로 보정하였다.
  • 최소저해농도 :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항균물질이 항균활성에 의해 미생물의 생장을 완전히 저해할 수 있는 최소농도를 의미하므로 이것이 낮을수록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유카, 유칼립투스와 차나무의 추출분획 혼합물의 최소저해농도는 Al-Ani 등(2015) 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미생물 균주를 TSB에 배양하여(30°C, 150 rpm) 개체수를 107 cell/ml로 조정한 복식 시료를 준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테스터 화장품에서 검출된 인간에게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는 미생물은 무엇인가? 이 검출되었다(Lundov and Zachariae, 2008). 또한 국내에서도 테스터 화장품에서 비병원성 Bacillus subtilis뿐만 아니라 인간에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는 Staphylococcus sp., Candida sp., Micrococcus sp. 등의 미생물이 다수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Lee, 2017). 위와 같은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은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 각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05년에서 2008년 사이 유럽지역에서 회수된 173종류 화장품은 주로 무엇에 오염되었는가? , 2005). 실제 2005년에서 2008년 사이에 유럽지역에서 화장품 173 종류가 회수되었는데 그 중 대부분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오염되었고, 일부에서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와 Klebsiellea sp.이 검출되었다(Lundov and Zachariae, 2008).
화장품에서 검출되는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로 인해 무엇이 발생할 수 있는가? 등의 미생물이 다수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Lee, 2017). 위와 같은 병원균 또는 기회적 병원균들은 패혈증, 전신감염, 만성기도 감염증, 각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ehrav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iyegoro OA, Afolayan AJ, and Okoh AI. 2009. Synergistic interaction of Helichrysum pedunculatum leaf extracts with antibiotics against wound infection associated bacteria. Biol. Res. 42, 327-338. 

  2. Al-Ani I, Zimmermann S, Reichlinga J, and Wink M. 2015. Pharmacological synergism of bee venom and melittin with antibiotics and plant secondary metabolite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microbial pathogens. Phytomedicine 22, 245-255. 

  3. Alhanout K, Malesinki S, Vidal N, Peyrot V, Rolain JM, and Brunel JM. 2010. New insights into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action of squalamine. J. Antimicrob. Chemother. 65, 1688-1693. 

  4. Arunachalam K, Ascencio SD, Soares IM, Aguiar RWS, da Silva LI, de Oliveira RG, Balogun SO, and de Oliveira Martins DT. 2016. Gallesia integrifolia (Spreng.) Harms: In vitro and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mode of action. J. Ethnopharmacol. 184, 128-137. 

  5. Ayed HB, Maalej H, Hmidet N, and Nasri M. 2015.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a bacteriocin-like substanc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6. J. Global Antimicrob. Resist. 3, 255-261. 

  6. Behravan J, Bazzaz BSF, and Malaekeh P. 2005. Survey of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cosmetic creams in Iran. Int. J. Dermatol. 44, 482-485. 

  7. Carson CF, Hammer KA, and Riley TV. 2006.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a review of antimicrobial and other medicinal properties. Clin. Microbiol. Rev. 19, 50-62. 

  8. Hanckock RE, Farmer SW, Li ZS, and Poole K. 1991. Interaction of aminoglycosides with the outer membranes and purified lipopolysaccharide and OmpF porin of Escherichia col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5, 1309-1311. 

  9. Jackson C, Agboke A, and Nwoke V. 2009. In vitro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binations of nystatin and Euphorbia hirta leaf extract against Candida albicans by the checkerboard method. J. Med. Plant. Res. 3, 666-669. 

  10. Jayaraman P, Sakharkar MK, Lim CS, Tang T, and Sakharkar KR. 2010. Activity and interactions of antibiotic and phytochemical combination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in vitro. Int. J. Biol. Sci. 6, 556-568. 

  11. Kokura S, Handa O, Takagi T, Ishikawa T, Naito Y, and Yoshikawa T. 2010. Silver nanoparticles as a safe preservative for use in cosmetics. Nanomedicine 6, 570-574. 

  12. Ku JE, Han HS, and Song JH. 2013. The recent trend of the natural preservative used in cosmetics. Korean J. Aesthet. Cosmetol. 11, 835-844. 

  13. Lahmar A, Bedoui A, Mokdad-Bzeouich I, Dhaoui Z, Kalboussi Z, Cheraif I, Ghedira K, and Chekir-Ghedira L. 2017. Reversal of resistance in bacteria underlies synergistic effect of essential oils with conventional antibiotics. Microb. Pathog. 106, 50-59. 

  14. Lee JH. 2017. Master thesis. A study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fter use of lip makeup test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ou Z, Wang H, Zhu S, Ma C, and Wang Z. 2011. Antibacterial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chlorogenic acid. J. Food Sci. 76, 398-403. 

  16. Lundov MD and Zachariae C. 2008. Recalls of microbiologically contaminated cosmetics in EU from 2005 to May 2008. Int. J. Cosmet. Sci. 30, 471-474. 

  17. Pereira V, Dias C, Vasconcelos MC, Rosa E, and Saavedra MJ. 2014. Antibacterial activity and synergistic effects between Eucalyptus globulus leaf residues (essential oils and extracts)and antibiotics against several isolates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Pseudomonas aeruginosa). Ind. Crops Prod. 52, 1-7. 

  18. Sanchez E, Heredia N, and Garcia S. 2005. Inhibition of growth and myco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parasiticus by extracts of Agave species. Int. J. Food Microbiol. 98, 271-279. 

  19. Sahalan AZ, Aziz AHA, Lian HH, and Ghani MKA. 2013. Divalent cations ( $Mg^{2+}$ , $Ca^{2+}$ ) protect bacterial outer membrane damage by polymyxin B. Sains Malays. 42, 301-306. 

  20. Stefanovic O, Comic L, Stanojevic D, and Solujic-Sukdolak S.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Aegopodium podagraria L. extracts and interaction between extracts and antibiotics. Turk. J. Biol. 33, 145-150. 

  21. White IR and Groot AC. 2006. Cosmetics and skin care products, pp. 493-506. In Frosch PJ, Menn T, and Lepoittevin JP. (eds.), Contact Dermatitis, 4th ed. Springer, Berlin, Germany. 

  22. Zou YY, Jung LS, Lee SH, Kim SK, Cho YJ, and Ahn JH. 2012.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y of nisin in combination with allyl isothiocyanat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Shigella boydii. Int. J. Food Sci. Technol. 48, 324-333. 

  23. Zubair M, Rasool N, Mansha A, Anjum F, Iqbal M, Mushtaq M, and Shahid M. 2013.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fungal activities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dagger (Yucca aloifolia) leaves extracts. J. Med. Plant Res. 7, 24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