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격력 응답신호를 이용한 비파괴 압축강도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A Pilot Study on Nondestructive Assessment of Compressive Strength Using Impact Force Response Signal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0 no.4, 2019년, pp.5 - 9  

손무락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최윤서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건설재료(암석, 콘크리트, 목재 등) 등의 압축강도를 비파괴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재료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대한 응답신호를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의 이용성 및 가능성에 관해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충격 및 측정장치를 고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측정대상물을 회전 자유낙하에 의해 초기 타격토록하고 이후 반발작용에 의한 반복타격이 소멸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목재와 암석시편에 대하여 충격력실험을 실시하고 발생신호를 측정하였다. 시편별 산정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는 직접압축강도시험을 통한 시편별 압축강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충격력 응답신호를 통해 산정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는 시편의 직접압축강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설재료의 압축강도는 재료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력 응답신호로부터 산정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results of a pilot study of the usability and possibility of impact force response signal induced from impacting an object for the assessment of compressive strength of various materials (rock, concrete, wood, etc.) nondestructively. For this study, a device was devised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본 연구에서는 충격력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료의 압축강도을 비파괴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재료별 압축강도 산정식의 제안은 향후 재료 및 시험조건 등의 다양한 경우를 고려한 많은 실험을 통한 자료축적 이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압축강도 산정을 위한 비파괴 강도측정 분야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일익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기존 직접 및 간접강도측정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소하면서 암석 및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를 보다 신뢰성 있게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에 의한 재료타격 시 초기타격 및 반발작용에 의한 연속적인 반복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력 응답신호를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의 비파괴 건설재료 압축강도 산정에 대한 이용성 및 가능성에 관해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압축강도를 가지는 목재 및 암석시편(셰일 및 화강암)을 제작하였다. 목재시편은 경북 청송이 원산지인 소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셰일 암석 시편은 경남 함안지역에서, 화강암 암석시편은 경북 영천지역에서 채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시편에 대해 충격력 신호응답으로부터 산정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의 크기와 직접 측정한 압축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고 시편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Fig.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기존 직접 및 간접강도측정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소하면서 암석 및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를 보다 신뢰성 있게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에 의한 재료타격 시 초기타격 및 반발작용에 의한 연속적인 반복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력 응답신호를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전체 충격력 신호에너지의 비파괴 건설재료 압축강도 산정에 대한 이용성 및 가능성에 관해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괴 검사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직접적인 강도측정법은 시험시편을 압축강도 시험장치 등을 통해 파괴시켜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재료의 강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장점이 있으나 현장에서의 시편 채취, 공시체 준비 및 시험과정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함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간접적인 강도측정법의 하나인 비파괴 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는 강도측정 절차가 용이하고 더욱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횟수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직접적 강도측정법과 비교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강도측정 비파괴검사법은 슈미트해머법(ASTMC805-13, 2013)이라고도 불리는 반발경도법과 초음파법으로 스위스 Proceq사와 미국 NDT James Instruments사의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강도측정 비파괴검사법은 무엇인가? 이와 비교하여 간접적인 강도측정법의 하나인 비파괴 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는 강도측정 절차가 용이하고 더욱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횟수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직접적 강도측정법과 비교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강도측정 비파괴검사법은 슈미트해머법(ASTMC805-13, 2013)이라고도 불리는 반발경도법과 초음파법으로 스위스 Proceq사와 미국 NDT James Instruments사의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발경도법은 측정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반발경도법의 단점 중 하나는 무엇인가? 반발경도법의 원리는 타격 시 해머의 타격에너지에 따라 반사되는 반발력의 크기와 측정대상물의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고 단시간에 강도측정이 가능하지만 금속재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어 복합재료인 콘크리트, 아스팔트, 암석 등에 적용 시에는 많은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은 타격에너지에 의해서 시험시편이 종종 파괴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일회성의 반발력만을 이용함으로 인해 재료의 에너지감쇠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강도 추정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산정(Naik &Malhotra, 1991; FHWA, 1997)은 측정대상물을 통과하는 초음파의 전달속도에 근거하고 있으나 재료내부의 음파 전달속도는 시험장비의 접촉상태, 재료의 온도, 습도, 비균질성, 통과길이 등의 여러 인자 및 국부적인 미소결함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ASTM C805-13 (2013), Standard test method for rebound number of hardened concret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2. Carino, N. J. and Sansalone, M. (1984), Pulse-echo method for flaw detection in concrete, NBS Technical Note 1199, U.S. Dept. of Commerce/National Bureau of Standards 34. 

  3. FHWA (1997), Guide to nondestructive testing of concret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SA-97-105 written by G.I. Crawford, pp. 1-58. 

  4. IAEA (2002), Guidebook on non-destructive testing of concrete structure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raining course series No. 17, Vienna, Austria, pp. 1-231. 

  5. Naik, T. R. and Malhotra, V. M. (1991),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Handbook on Nondestructive Testing of Concrete, CRC Press, Inc., Boca Raton, FL, pp. 169-202. 

  6. Patil, N. R. and Patil, J. R. (2008), Non-destructive testing (NDT) advantages and limitations, SRES College of Engineering, Kopargaon, Maharashtra - 423 603, pp. 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