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linical Records of Queen Inmok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2 no.2, 2019년, pp.91 - 104  

김민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하동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clinical records of Queen Inmok has been studied and the impact of historical events on her life has been analyzed. This paper has extracted her medical records during King Seonjo's and King Injo's period from the Annals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양팔과 수족에 간혹 종기가 생길 때가 있는데 금년은 무더위가 여느 해와는 달라 더욱 고통스러워하신다. 듣건대, 인경궁(仁慶宮)에 초정(椒井)이 있다고 하니, 자전을 모시고 가서 목욕하고자 한다. 이 물이 어떠한지 모르겠다.
  • 본 논문에서는 『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 인목왕후의 출산과 질병 치료에 대한 기록을 찾아 역사적 사건들과 비교하여 정리하고, 발병 후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의학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인목왕후는 선조~인조 때의 인물이기 때문에, 현존하는 『승정원일기』의 시대 이전인 선조~광해군 대의 기록은 『실록』을 통해 살펴보고, 인조 대부터는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인조반정의 명분이 되는 주요 인물임에도, 인목왕후라는 인물 자체에 대한 연구는 보이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을 분석하여 인목왕후의 질병과 사망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비록 선조와 광해군대의 기록이 『실록』에 국한되고, 인조대의 『승정원일기』는 화재로 인해 소실된 부분이 있어 온전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지만, 남아 있는 기록을 통해서 인목왕후의 출산과 질병 치료에 대해 정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승정원일기』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인목왕후의 허한한 소증을 『실록』을 통해 확인하여 서거 직전 치료 정황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당시에는 금원사대가, 특히 주단계의 학설이 유행하였는데, 단계가 양유여음 부족 이론을 세운 맥락을 알지 못한 채 화를 꺼뜨리는 치료를 남용하여 발생하는 시대적 폐단을, 인목왕후의 질병기록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 선조 때 인목왕후의 질병에 대해서는 정명공주 출산 후 복통을 앓은 일과 사산 후 열흘이 채 되지 않게 앓았던 일 외에 다른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사산 후의 치료 과정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기 때문에, 선조 때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으로서 정명공주 출산 후에 나타난 복통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표 3>은 1603년(선조36) 출산 후 사용된 처방과 치료 경과에 대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목왕후의 이미지는 어떠한가? 인목왕후(仁穆王后) 김씨는 조선 14대왕 선조(宣祖)의 계비로, 세간에 인목대비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드라마나 소설을 통해 구축된 인목왕후의 이미지는 늙은 왕에게 시집가서 광해군(光海君)에 의해 어린 아들과 부친을 잃어버린 뒤 그 자신은 별궁에 10년 가까이 유폐된 가련한 여인으로 그려지는 한편,1) 광해군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면서는 인목왕후가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는 욕심에 화를 자초한 것으로 그려지기도 하였다.2)
승정원일기를 바탕으로한 인물 연구의 한계점은? 6)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조7), 효종8), 현종9), 숙종10), 경종11), 영조12), 정조13) 등 왕의 질병이나 사인 연구와 더불어, 명성왕후14), 인현왕후15), 장희빈16), 혜경궁 홍씨17), 장렬왕후18) 등 왕비의 치병 기록이나 출산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 다만 『승정원일기』는 현재 인조 이후의 자료만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전 왕 대의 사건을 연구하는 데에는 부족하다. 『승정원일기』를 바탕으로 진료 기록이 연구된 인물들 또한 인조 이후의 왕과 왕비들에 국한된다.
계축옥사와 유폐 이후 인목왕후의 울화는 어떤 증상을 나타나게 하였는가? 계축옥사로 아버지와 아들을 잃고 인목왕후 자신도 서궁에 10년 가까이 유폐되었기에, 그 기간 쌓인 울화(鬱火)가 심상치 않을 것임은 인조반정 직후 인목왕후가 광해군에게 보인 증오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 울화는 이내 인목왕후의 몸에도 영향을 미쳐 사지의 종기나 흉격의 답답함, 구 갈등을 평소에도 앓게 하였다. 심할 때는 현훈, 두통, 발열 등 증상까지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승정원일기. 

  2. 선조실록. 

  3. 광해군일기(중초본). 

  4. 인조실록. 

  5. 노중례. 태산요록. 

  6. 손일규. 의지서여. 

  7. 잠은. 식의심감. 

  8. 허준. 동의보감. 

  9. 강도현, 고대현, 나향미, 송재민, 차웅석. 승정원일기의 의안(醫案)을 통해 살펴본 효종의 질병과 사인. 2014;27(4):55-72. 

  10. 계승범. 계해정변(인조반정)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 남명학연구. 2008;26:439-478. 

  11. 고대원, 김동율, 김태우, 차웅석. 숙종의 痘瘡에 관한承政院日記의 醫案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43-51. 

  12. 곽영롱. 혜경궁 홍씨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醫史學적 연구 - 承政院日記 내 用藥기록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3. 김동율, 김태우, 차웅석. 景宗의 病歷에 대한 연구I - 承政院日記 藥房 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11-22. 

  14. 김동율, 정지훈. 경종독살설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1):15-31. 

  15. 김선형, 김달래. 정조의 사망원인에 대한 연구(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42-161. 

  16. 김선형, 김달래. 영조의 질병력과 사망원인: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의사학. 2010;19(2):299-342. 

  17. 김인숙. 인조대의 궁중저주사건과 그 정치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2004;31:79-111. 

  18. 김정경. 계축일기에 나타난 선악관 고찰. 한국고전연구. 2007;16:161-195. 

  19. 김혁규, 김남일, 강도현, 차웅석. 조선 仁祖의 질병기록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 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23-41. 

  20. 박주영, 국수호, 김남일, 차웅석. 현종 비 명성왕후의 복약 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한국의사학회지. 2019;32(1):11-20. 

  21. 박주영, 차웅석, 김남일. 조선 장렬왕후의 경련에 대한 치병기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79-87. 

  22. 방성혜, 차웅석. 인현왕후의 발병에서 사망까지 승정원일기의 기록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12;18(1):1-11. 

  23. 방성혜, 김남일, 안상우, 차웅석.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장희빈 의안 관련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53-62. 

  24. 이상원, 김동율, 차웅석. 조선 현종대왕의 침구치료기록에 대한 연구. 경락경혈학회지. 2011;28(2):77-86. 

  25. 이순구. 癸丑日記에 나타난 궁중생활상. 사학연구. 1998;55(56):443-458. 

  26. 이영호. 서술자의 측면에서 본 계축일기의 표현 전략 연구. 고전문학과교육. 2006;11(11):41-69. 

  27. 홍세영, 차웅석, 김남일. 承政院日記의 진료기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8;21(1):1-11. 

  28.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한의학통사. 서울:대성의학사. 2006. 

  29.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URL: http://sjw.history.go.kr/). 

  30.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URL: http://sillok.history.go.kr/). 

  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URL: http://encykorea.aks.ac.kr/). 

  32. 한의고전명저총서. 한국한의학연구원(URL: http://jisik.kiom.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