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인식도 및 구매 행동에 따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ceutical Cosmetics and Medical Cosme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1, 2019년, pp.73 - 83  

이호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유선희 (연성대학교) ,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각 구매 행동 차이 및 만족도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20대~50대까지의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총 86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총 44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에 대한 용어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각 구매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품질, 가격, 용기 디자인, 서비스가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5, p<0.01, p<0.001), 특히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메디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브랜드 이미지, 가격, 용기 디자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1, p<0.001),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 가장 큰 만족도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특징을 세분화 하여, 각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따른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atisfaction of each purchase behavior by classifying cosmeceutical and medical cosmetics. A total of 86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s in their 20s to 50s (from 1 march 2017). A total of 446 respondents with experi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 화장품 회사의 제품을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피부과에서 출시된 제품을 메디컬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사용자의 구매 인식 및 기대 효과와 구매 행동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구매 선호도(하위요인)가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하여 점점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차별화된 비교 분석을 통하여 향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방법으로써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 화장품 회사의 제품을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피부과에서 출시된 제품을 메디컬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사용자의 구매 인식 및 기대 효과와 구매 행동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구매 선호도(하위요인)가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하여 점점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차별화된 비교 분석을 통하여 향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방법으로써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화장품을 각각 분류하여 소비자들의 인지도와 각 화장품별 구매 행동 및 재구매,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디컬 화장품의 특징은 무엇인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일종인 메디컬 화장품은 현재까지 완벽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선행 연구에 의하면 주로 피부과 전문의들이 개발 단계부터 실제 임상까지 직접 참여하고, 개발한 화장품이라고 의미하고 있으며[4], 병·의원에서 메디컬 시술 전과 후에 사용하여 피부 개선과 문제성 피부 질환의 시술 보조적인 역할을 통해 피부에 도움을 주는 피부 관리 화장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5]. 때문에 메디컬 화장품은 제품의 유효성을 중시하고, 피부 건강에 대한 욕구 충족을 위하여 구매하며, 구매한 제품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나 품질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 으로 알려져 있다[6]. 현재까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에 관련한 선행 연구로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 결정요인[7], 기능성 화장품 구매성향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8], 메디컬 화장품의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인식도 조사[9],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복합적 인식 및 만족도[10], 메디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구매 요인[11], 메디컬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행태, 사용 및 만족 정도[12]에 관한 연구들이 대표적이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선행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에 관련한 선행 연구로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 결정요인[7], 기능성 화장품 구매성향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8], 메디컬 화장품의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인식도 조사[9],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복합적 인식 및 만족도[10], 메디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구매 요인[11], 메디컬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행태, 사용 및 만족 정도[12]에 관한 연구들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선행 연구는 주로, 제조 과정에 따른 피부과 제품이나 전문 화장품 회사의 제품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꾸준히 성장하며 확대되어 지고 있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시장을 세분화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메디컬 화장품의 정의는 무엇인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일종인 메디컬 화장품은 현재까지 완벽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선행 연구에 의하면 주로 피부과 전문의들이 개발 단계부터 실제 임상까지 직접 참여하고, 개발한 화장품이라고 의미하고 있으며[4], 병·의원에서 메디컬 시술 전과 후에 사용하여 피부 개선과 문제성 피부 질환의 시술 보조적인 역할을 통해 피부에 도움을 주는 피부 관리 화장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5]. 때문에 메디컬 화장품은 제품의 유효성을 중시하고, 피부 건강에 대한 욕구 충족을 위하여 구매하며, 구매한 제품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나 품질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 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Z. D. Draelos, "Cosmeceuticals. Elsevier Health Sciences", United Kingdom, (2005). 

  2. H. S. Lim, J. W. Shin, "A study of logotypes on packages of cosmeceutical products", Society Of Kor. Illusart, Vol.19, No.3 pp. 313-320, (2016). 

  3. H. J. Park, J. P. Hahn, J. H. Pakr, "A Study on Korean Cosmeceutical Firm's MarketPenetration Strategy for Southeast Asia - Focused on Indonesia and Malaysia-", Kor. Trade Review, Vol.40, No.5 pp. 75-101, (2015). 

  4. J. H. Park, Y. S. Song, K. K. Lee.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usage and satisfaction of medical skin care cosmetics", J.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Vol.3, No.2 pp. 23-37, (2014). 

  5. Y. S. Jung, "A Study concerning Consumers Behavior for Medical Cosmetic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0). 

  6. Y. H. Hwang, "Factors of Purchasing Decisions for the Consumers buying Clinics-supplied Cosmetics", Chung Ang University, (2009). 

  7. E. K. Sim, K. R. Kim, "Consumer's Preference and Determinants of Purchase of Cosmeceutical Products", J. of The Kor. Society of cosmetology, Vol.14, No.4 pp. 1264-1279, (2008). 

  8. M. H. Kim, C. S. Hwang,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ceuticals", Asian J. Beauty Cosmetol, Vol.9, No.4 pp. 153-166, (2011). 

  9. K. J. Kim,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recognition of medical cosmetics", Chung Ang University, (2011). 

  10. S. H. Park, H. J. Kwon, "Customers' Converg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Cosmeceuticals", J.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2 pp. 459-464, (2017). 

  11. S. H. Kim, "Consumer awareness and purchase factors regarding m edical cosmetics", Dongduk Women's University, (2013). 

  12. J. H. Park, Y. S. Song, K. K. Lee, "(A)study on purchasing behavior, usage and satisfaction of medical skin care cosmetics", J. Kor. Soc. Beauty Cultural Arts, Vol.3, No.2 pp. 23-37, (2014). 

  13. M. S. Lee, S. H. Le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fermented cosmetic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Medicine Herb", Asian J. Beauty Cosmetol, Vol.8, No.3 pp. 285-292, (2010). 

  14. J. C. Nunnally, "Psychometrc Theory", New York. Mc Graw Hil, (1967). 

  15. S. H. Jang, M. J. LEE, K. H. Lee, H. J. Do, J. A. Kim, E. S. Kwon, M. H. Kim, J. H. Jang, K. L. Kim, "A Study about Satisfaction Level of Ordinary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for Adult Women", J. of the Kor. Beauty Art Society, Vol.5, No.3 pp. 89-9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