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NN을 이용한 레이다 신호 자동 분류
Automatic Classification of Radar Signals Using CNN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30 no.2, 2019년, pp.132 - 140  

홍석준 (충북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연규 (충북대학교 전자공학과) ,  조제일 (국방과학연구소) ,  이상길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예술융합학부) ,  서보석 (충북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수신된 레이다 신호의 특징 파라미터 데이터에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위협 형태에 따라 레이다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군에서는 위협 신호를 파악하기 위해 특징 파라미터값들과 위협 형태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한다.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방법은 새로운 위협이나 기존 라이브러리에 존재하지 않는 위협 형태에 대해서 레이다 신호를 분류하기 어렵고 위협 형태를 파악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라이브러리 없이 특징 파라미터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위협 형태에 따라 레이다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류기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며,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훈련시킨다. 제안 방법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새로운 위협 신호나 기존의 라이브러리에 존재하지 않는 위협 신호도 적응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assification method for radar signals depending on the type of threat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parameter data of radar signals. Currently, the army uses a library of mapping relations between the parameters and the types of threat to recognize threat signals. Th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방법 중 CNN을 적용하여 레이다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펄스 레이다 신호를 특징짓는 특징변수로 RF와 PRI를 사용하여 CNN 입력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참고문헌 [7]의 문제점을 개선한 CNN 기반의 레이다 신호 분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징변수의 절대값을 영상에 반영하기 위해 전체 신호에 대한 특징변수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이용한다.

가설 설정

  • 이 논문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레이다 신호는 현대전에서 주로 사용하는 펄스 레이다의 수신 신호라고 가정한다.
  • 제안한 레이다 신호 분류기는 그림 4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레이다 신호를 분류하기 위해서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징변수 데이터를 이용하며, 특징 변수는 특정의 레이다에 대한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되었다고 가정한다. 또한 여러 가지 특징변수 중에서 가장 중요한 RF와 PRI만을 고려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레이다는 무엇인가? 레이다는 목표물을 향해 전파를 발사한 후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그 목표물의 거리, 방향, 형상, 속도 등을 파악하는 전자장치를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펄스 레이다의 경우, 그림 1과 같이 반송파로 변조된 짧은 펄스를 연속적으로 방사하여 목표물을 탐색하고, 추적 및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
레이다의 특징변수인 RF와 PRI 데이터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CNN을 학습시키기 위한 학습 데이터 입출력쌍은 특정 레이다 신호의 RF 및 PRI 데이터와 해당 레이다에 대응하기 위한 재밍 기법이 된다. 레이다의 특징변수 RF와 PRI 데이터는 레이다 모의기에서 생성된 펄스레이다 신호로부터 취득한 신호의 특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된다. PRI는 Ⅱ장에서 예를 든 8가지 형태로 발생시키며, RF는고정(stable), 고속변화(agile), 도약(hopping), 정현파, -톱니파, +톱니파, 삼각파 등 7가지의 변화 형태를 고려한다.
CNN을 사용한 레이터 신호 분류기의 장점은? 분류기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며,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훈련시킨다. 제안 방법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새로운 위협 신호나 기존의 라이브러리에 존재하지 않는 위협 신호도 적응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 A. Vakin, R. H. Dunwell, and L. N. Shustov, Fundamentals of Electronic Warfare, Boston/London, Artech House, 2001. 

  2. 장재원, 안태남, 이광일, "전자보호 및 사이버 방어와 함께 진화하는 전자전 기술의 발전방향," 전자파기술, 24(6), pp. 3-13, 2013년 11월. 

  3. R. G. Wiley, ELINT: The Interception and Analysis of Radar Signals, Artech House, Boston/London, 2006. 

  4. 한연희, "기계학습 기반 네트워크 지능화,"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8(5), pp. 17-22, 2017년 9월. 

  5. Y. LeCun, Y. Bengio, and G. Hinton, "Deep learning," Nature, vol. 521, pp. 436-444, May 2015. 

  6. S. H. Kong, M. Kim, L. M. Koang, and E. Kim, "Automatic LPI radar waveform recognition using CNN," IEEE Access, vol. 6, pp. 4207-4219, 2018. 

  7. S. J. Hong, Y. G. Yi, J. Jo, and B. S. Seo, "Classification of radar signals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2018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tworks(ICUFN), Prague, Jul. 2018, pp. 894-896. 

  8. I. S. Kim, S. Y. Hwang, "An effective online training algorithm by partitioning bounding box for visual object tracking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6, pp. 1117-1128, Jun. 2017. 

  9. S. M. Yang, W. J. Song, I. S. Choi, and S. J Yoo, "Implementation of deep learning-based mo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in ultrasonic sound environm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9, pp. 1796-1805, Sep.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