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3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Rural and Urban Adolescent : Analysis of 2013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1, 2019년, pp.73 - 84  

이재연 (종촌초등학교) ,  강순남 (인하대학교) ,  김선아 (인하대학교) ,  손동민 (안산대학교) ,  이보경 (대구가톨릭대학교) ,  함옥경 (인하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fferenti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MI group of adolescent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and provide baseline data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ir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thods: Secondary data 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결과를 토대로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Sallis et al, 2008)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비만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개인간, 조직 수준의 특성을 탐색하고 청소년들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의 차이를 고려한 비만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결과를 토대로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Sallis et al, 2008)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비만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개인간, 조직 수준의 특성을 탐색하고 청소년들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의 차이를 고려한 비만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농촌과 도시 청소년의 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을 비교하고,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개인간, 조직 수준 특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2002) 도시, 농촌 지역의 차이에 따른 청소년 비만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이라는 동일한 특성을 가진 청소년 집단을 같은 기간에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과체중/비만과 관련한 위험인자에 노출되는 그룹은 취약집단에 해당하는 것을알 수 있으며(Alwang, Paul.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llis 등(2008)의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비만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행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 농촌간의 비만율의 격차를 낮추는 방안에 대한 논의 제공은 물론 청소년들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건교육자료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영향은? 3%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3). 비만은 성장기 청소년에게 있어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Kim, Jeng, & Kim, 2001) 소아비만의 1/3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Lee, 2009). 또한 성인의 높은 체질량 지수는 사망률, 심혈관질환의 발생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청소년 기부터 비만에 대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Jee et al.
비만 유병률의 지역별 차이는? 11세 (SD=1.74)이며 비만 유병률의 지역별 차이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농촌과 도시 청소년에서 공통으로 과체중/비만에 관여하는 인자는 주관적 건강인지, 자살 생각, 불건강한 식습관이었다. 또한 과체중/비만에 관여하는 요인은 농촌에서는 모의 학력이 낮은 경우, 중학생인 경우, 도시에서는 남학생인 경우, 부의 학력이 낮은 경우로 밝혀졌다.
연도별 초·중·고등 학생의 전체 비만율은? 2013년 2월 교육부는 2012년 우리나라 초·중·고등 학생의 전체 비만율이 14.7%라고 발표하였고 이는 2008년 11.2%, 2009년 13.2%, 2010년 14.3%, 2011년 14.3%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13). 비만은 성장기 청소년에게 있어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Kim, Jeng, & Kim, 2001) 소아비만의 1/3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wang, J., Paul B,S.,& Steen, L. J. (2001). Vulnerability : a view from different disciplines (no. SP 0115). Social Protection discussion paper series ; . Washington, D.C. : The World Bank. 

  2. Befort, C. A., Nazir, N., & Perri, M. G. (2012). Prevalence of obesity among adults from rural and urban areas of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NHANES (2005-2008). The Journal of Rural Health, 28(4), 392-397. http://dx.doi.org/10.1111/j.1748-0361.2012.00411.x 

  3. Burt, J., Dube, L., Thibault, L., & Gruber, R. (2014). Sleep and eating in childhood: A potential behavioral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or sleep and obesity. Sleep Medicine, 15(1), 71-75. http://dx.doi.org/10.1016/j.sleep.2013.07.015 

  4. Hart, C. N., LaRose, J. G., Fava, J. L., James, B. L., & Wing, R. R.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time in bed and obesity risk in young adults. Behavioral Sleep Medicine, 11(5), 321-327. http://dx.doi.org/10.1080/15402002.2012.700289 

  5. Jang, J. H., & Kwon, M. S. (2017). Influencing the factors on obesity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162-177.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1.162 

  6. Jang, J., Cho, Y. G., Kang, J. H., Park, H. A., Kim, K. W., Hur, Y. I., & Park, K. B. (2018). The distribution of weight status according to familial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n adolescents: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23-31. http;//dx.doi.org/10.15384/kjhp.2018.18.1.23 

  7. Jee, S. H., Sull, J. W., Park, J., Lee, S. Y., Ohrr, H., Guallar, E., & Samet, J. M. (2006).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5(8), 779-787. http://dx.doi.org/10.1056/NEJMoa054017 

  8. Jee, Y. J., & Kim, Y. H. (2013).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2(1), 39-49. 

  9. Just, D. R., & Wansink, B. (2015). Fast food, soft drink and candy intake is unrelated to body mass index for 95% of American adults. Obesity Science & Practice, 1(2), 126-130. http://dx.doi.org/10.1002/osp4.14 

  10. Kim, C. G. (2011).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obesity indices on blood pressure in 20s Ma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8), 231-238. http://dx.doi.org/10.5392/JKCA.2011.11.8.231 

  11. Kim, H. K., Kim, J. H., & Jung, H. K.(2012).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4), 336-346. 

  12. Kim, H. S.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51-162. 

  13. Kim, K. O., Jeon, Y. H, & Kim, Y. S. (2014).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obesity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467-476.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467 

  14. Kim, M. W. (2013). The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influencing of obesity r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5. Kim, M. Y., Oh, J. K., Lim, M. K., Yun, E. H., & Kang, Y. H. (2012).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factors with obesity in a rural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1(1), 18-28. 

  16. Kim, N. Y., Jeng, I. S., & Kim, J. S.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obese and normal 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3), 828-837. 

  17. Kim, S.H.,& Kim,G. S. (2019).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obes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School Health, 89(3), 181-190. http://doi.org.ssl.openlink.inha.ac.kr:8080/10.1111/josh.12727 

  18. Kim,Y.K.,& Sin,W.S. (2008).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3(2), 153-163.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questionnaire. Seoul: Retrieve February 25, 2019. from https://www.cdc.go.kr/yhs/home.jsp 

  20. Lee, D. H. (2011). A study on the educational bipolarizatio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1(2), 121-148. 

  21. Lee, J. H., & Yi, K. H. (2015).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A view from the students’ self-rated health condition and obesity.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1(2), 217-243. 

  22. Lee, N. Y. (2009. October 8). Adolescent obesity childhood obesity 3 hits in 1 patient, 20 years later. The Dong A. com. Retrieve February 25, 2019. from http://news.donga.com/3//20060428/8301147/1 

  23. Marmot, M. (2005).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equalities. The Lancet, 365 (March 19), 1099-1104.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tudent's health examination result. (2013. February. 28). Retrieved February 28, 2019,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42289&lev0&searchTypeS&statusYNC&page3&smoe&m020402&opTypeN 

  25. Oh, H. Y. (2006).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mother's job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6. Park, E. O. (2010). A comparative study of youth health risk behaviors by region: Focused on metropolitan areas, medium sized and small city areas,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14-23. https://dx.doi.org/10.4040/jkan.2010.40.1.14 

  27. Ra, J. S., & Cho,Y. H. (2014).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41-257.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2.241 

  28. Sallis, J. F., Owen, N., & Fisher, E. B.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n Francisco: Jossry-Bass. 

  29. Suter, P. M.,&Tremblay.A. (2005). Is alcohol consumption a risk factor for weight gain and obesity? Critical Reviews in Clinical Laboratory Sciences, 42(3), 197-228. http://dx.doi.org/10.1080/10408360590913542 

  30. Wang, Y., Monteiro, C., & Popkin, B. M. (2002). Trends of obesity and underweight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Brazil, China, and Russia.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5(6), 971-977. http://dx.doi.org/10.1093/ajcn/75.6.9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