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역량과 분노 표현과의 관계: 자녀에 대한 염려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oncer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Anger Expression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2, 2019년, pp.37 - 57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차지량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  김미나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ether concern for children mediates the impact of parenting competence on the anger expressio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219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6 years old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mo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이 양육과정에서 자녀에게 나타내는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에 대한 염려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건강한 양육과 부모역할 수행 및 이를 통한 자녀의 심리적 건강성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양육 상황에서의 적절한 분노 표현에 개인차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양육행동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부모의 양육역량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세 개 요인 간의 관계를 두고 볼 때, 양육 역량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염려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역량과 분노표현과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염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기 쉬운 분노 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방향과 내용 선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의의를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 자녀에 대한 부모의 분노 표출은 반드시 조절되어야 하는 까닭은? 특히, 어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잦은 분노표출은 과잉반응적이고 강압적이며 적대적인 훈육을 포함하는 양육 방식과 연관성이 있다(Ateah & Durrant 2005; Leung &Slep, 2006). 강압적, 적대적 양육은 대인 관계의 원형이라 일컬어지는 부모-자녀관계를 악화시켜(차지량, 2017) 초기 발달과정에 있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을 저해한다(박혜정, 정계숙, 2018; 손민정, 김광웅, 2005; Crockenberg, 1987; Garner & Estep, 2001). 뿐만 아니라, 분노 표출이 임상 수준에 가까울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아동학대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도 한다(한지숙, 2014; Baydar, Reid, & Webster‐Stratton, 2003; Denham et al., 2000).
분노란? 분노는 매일의 생활 속에서 누구나 경험하는 기본적인 정서로, 대인이나 대물에 대한 불쾌반응을 유발하는 정서 경험으로 미미한 짜증 혹은 곤혹감으로부터 강한 격분이나 격노까지 여러 강도를 가진다(Spielberger, Krasner, & Solomon, 1988). 이는 단순히 화가 났다는 상태만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신체, 사고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주는 다차원적인 정서 특질이다(송지은, 황순택,전미주, 2009).
적절한 분노와 분노 표현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분노는 여러 처하는 상황에 따라 분노를 경험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일시적인 현상으로서의 상태분노와 개인의 성격 특질로서 안정성을 갖는 분노의 경향성을 의미하는 특성분노로 나누어지는데(Spielberger, Jacobs, Russell, & Crane, 1983), 전자는 주로 개인이 처한 상황의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면 후자는 안정적인 성격 특질이다. 적절한 분노와 분노 표현은 행동의 동기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며(Novaco, 1976), 분노를 적절히 표현할 경우 상대에게 심리적, 신체적 상해를 주지 않고도 분노로 인한 심리적 불균형 상태로부터 평온을 되찾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Marwan & Larissa, 2006). 그러나 분노가지나치거나 억제될 경우 난폭한 말씨나 행동으로 표출되기 쉬우므로 인간관계가 악화(김용섭,1984)되는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강영순, 김종남 (2012). 자기이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분노조절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연구, 10, 106-128. 

  2. 김길숙 (2017).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내용분석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9(4), 273-292. 

  3. 김민정 (2011).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지능 간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6(3), 155-170. 

  4. 김민정 (2013). 양육신념과 자녀기대감 및 부모역할지능에 대한 부-모 간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8(3), 311-332. doi:10.13049/jofw.2013.18.3.311 

  5. 김용섭 (1984). 대인관계론. 학생생활연구, 2, 5-16. 

  6. 김우경, 방희정 (2015).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아동 애착안정성의 조절효과. 인간발달연구, 22(4), 67-81. doi:10.15284/kjhd.2015.22.4.67 

  7. 김은경, 고진강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분노,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4(3), 151-160. doi:10.17547/kjsr.2016.24.3.151 

  8. 김현주, 이정윤 (2011).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12(3), 965-981. doi:10.15703/kjc.12.3.201106.965 

  9. 김현주, 최해림 (2012).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어머니 분노수준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9(1), 53-73. 

  10. 김혜순 (2011). 어머니의 자녀성숙행동기대와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 만족지연능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159-181. 

  11. 김화정, 고선아 (2015). 부모교육 TV 프로그램 내용 분석- EBS '부모'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1), 229-251. 

  12. 노도현 (2018. 1. 7). 매년 늘어나는 아동학대, 가해자 10명 중 7명은 부모.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1071449001&code940601에서 2019년 4월 10일 인출. 

  13. 노진형 (2005). 부모교육을 위한 반성적 사고의 적용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11, 85-104. 

  14. 문소현, 박영주 (2008). 청소년기 여성의 애착유형에 따른 기질분노와 분노표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4(2), 143-149. 

  15. 박동영 (2012).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표현 유형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3), 1170-1177. doi:10.5762/KAIS.2012.13.3.1170 

  16. 박애경 (2015).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상관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9(5), 375-392. 

  17.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02). IMF 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1), 103-139. 

  18. 박영아, 이미나 (2014). 한국과 중국 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성격강점 비교 분석. 유아교육연구, 34(6), 327-346. doi:10.18023/kjece.2014.34.6.014 

  19. 박은희 (2003). 어머니의 자녀 기대감 척도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은희, 이소희 (2004). 어머니의 자녀 기대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9(1), 35-56. 

  21. 박혜정, 정계숙 (2018). 아버지와 어머니의 분노가 유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2), 147-168. doi:10.20437/KOAECE23-2-07 

  22. 부성숙, 윤은정 (2018). 어머니의 자녀기대감이 일상생활 규칙 및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8(1), 115-136. doi :10.18023/kjece.2018.38.1.005 

  23. 설경옥, 경예나, 박지은 (2015).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109-131. 

  24. 손민정, 김광웅 (2005). 부모와 아동의 분노 표현 방식이 자기주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2(1), 89-103. 

  25. 송지은, 황순택, 전미주 (2009).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2), 213-227. doi:10.16983/kjsp.2009.6.2.213 

  26. 위지희 (2014).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위지희, 채규만 (2015).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945-970. doi:10.15842/kjcp.2015.34.4.005 

  28. 유윤영 (2011). 어머니와 교사의 유아기의 발달에 대한 기대와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133-158. 

  29. 이명순, 고여훈 (2016). 영아부모 양육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부모역량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435-456. 

  30. 이방실, 김민정, 정미라 (2016). Q 방법론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형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1), 265-288. 

  31. 이영미, 한재희 (2013). 모가 지각한 부모기대로 인한 부모-자녀 간 갈등극복경험. 상담학연구, 14(2), 1401-1422. doi:10.15703/kjc.14.2.201304.1401 

  32. 정계숙, 박희경, 차지량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6(2), 535-560. doi:10.18023/kjece.2016.36.2.023 

  33. 정계숙, 손환희, 류수민, 차지량 (2016). 유아와 학령아동의 어머니를 위한 부모 분노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515-539. doi:10.20437/koaece21-1-22 

  34.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35. 정미조 (1990). 아버지 직업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발달적 기대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미현 (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 척도개발. 부모교육연구, 8(1), 69-85. 

  37. 정정란 (2007). 유아발달과 부모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제 변인들의 관계분석. 아동보육연구, 3(2), 43-78. 

  38. 조형숙,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271-293. 

  39. 차지량 (2017).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분노조절 능력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1(3), 315-343. 

  40. 최금미, 류정희 (2018).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부모연구, 5(1), 23-37. 

  41. 최은아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에 대한 의미 구성 과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한지숙 (2014). 학대부모를 위한 분노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아동복지연구, 12(2), 83-105. 

  43. Ateah, C. A., & Durrant, J. E. (2005). Maternal use of physical punishment in response to child misbehavior: Implications of child abuse prevention. Child Abuse & Neglect, 29(2), 169-185. doi:10.1016/j.chiabu.2004.10.01 

  44. Azar, S. T., & Cote, L. R. (2002). Sociocultural issues in the evaluation of the needs of children in custody decision making: what do our current framework for evaluation parenting practices have to offer?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25(3), 193-217. doi:10.1016/S0160-2527(02)00102-4 

  4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6. Baydar, N., Reid, M. J., & Webster-Stratton, C. (2003). The role of mental health factors and program engagement in the effectiveness of a preventive parenting program for Head Start mothers. Child Development, 74(5), 1433-1453. doi:10.1111/1467-8624.00616 

  47. Belsky, J., & Barends, N. (2002). Personality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Vol.3. Being and becoming a parent (2nd ed., pp. 415-438). Mahwah, NJ: Erlbaum. 

  48. Brookman-Frazee, L., & Koegel, R. L. (2004). Using parent/clinician partnership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6(4), 195-213. doi:10.1177/10983007040060040201 

  49. Crockenberg, S. (1987).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anger toward and punitive control of toddlers by adolescent mothers. Child Development, 58(4), 964-975. doi:10.2307/1130537 

  50. Demick, J. (2002). Stages of parental development.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3. Being and becoming a parent (2nd ed., pp. 243-270). Mahwah, NJ: Erlbaum. 

  51. Denham, S. A., Workman, E., Cole, P. M., Weissbrod, C., Kendziora, K. T., & Zahn-Waxler, C. (2000). Prediction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rom early to middle childhood: The role of parental socialization and emotion ex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1), 23-45. doi:10.1017/S0954579400001024 

  52. DiGiuseppe, R. (1999). End piece: Reflections on the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3), 365-379. doi:10.1002/(SICI)1097-4679(199903)55:3 3.0.CO;2-3 

  53. Dix, T., Ruble, D. N., & Zambarano, R. J. (1989). Mothers' implicit theories of discipline: Child effects, parent effects, and the attribution process. Child Development, 60(6), 1373-1391. doi:10.2307/1130928 

  54. Edgington, C. R. (2007). Relation between parenting goal and parenting strategy in positive and negative child behavior contexts: An experimental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Oklahoma, USA. 

  55. Englund, M. M., Luckner, A. E., Whaley, G. J. L., & Egeland, B. (2004). Children's achievement in early elementary school: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expectations, and quality of assis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4), 723-730. doi:10.1037/0022-0663.96.4.723 

  56. Galinsky, E. (1997). The six stages of parenthood, 아이의 성장, 부모의 발달. (권영례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87). 

  57. Garner, P. W., & Estep, K. M. (2001). Emotional competence, emotion socialization, and young children’s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2(1), 29-48. doi:10.1207/s15566935eed1201_3 

  58. Gavita, O. A., David, D., Digiuseppe, R., & DelVecchio, T. (2011).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parent anger scal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30, 505-511. doi:10.1016/j.sbspro.2011.10.099 

  59. Goldstein, J., Freud, A. (1973). Beyond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New York: Free Press. 

  60. Hawk, C. K., & Holden, G. W. (2006). Meta-parenting: An initial investigation into a new parental social cognition construct.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6(4), 321-342. doi:10.1207/s15327922par0604_3 

  61. Herman, S. P. (1990). Special issues in child custody evalu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9(6), 969-974. doi:10.1097/00004583-199011000-00024 

  62. Holden, G. W. (2015). Parenting: A dynamic perspective. Los Angeles, CA: Sage. 

  63. Holden, G. W., & Hawk, C. K. (2003). Meta-parenting in the journey of child rearing: A cognitive mechanism for change. In L. Kuczynski (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pp.189-210). Thousand Oaks, CA: Sage. 

  64. Holton, R. (2009). Parental cognitive antecedents of child prosocial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Nebraska, USA. 

  65. Kuczynski, L., & Kochanska, G. (1995). Function and content of maternal demands: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early demands for competent action. Child Development, 66(3), 616-628. doi:10.1111/j.1467-8624.1995.tb00893.x 

  66. Leung, D. W., & Slep, A. M. S. (2006). Predicting inept discipline: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524-534. doi:10.1037/0022-006X.74.3.524 

  67. Loker, T., Tan, T. X., Mendez, L. R., & Dedrick, R. (2012). Adopted chinese girls' character strengths from preschool to school age: A longitudinal exploratory study. Michigan Family Review, 16(1), 38-55. doi:10.3998/mfr.4919087.0016.103 

  68. Sinaceur, M., & Tiedens, L. Z. (2006). Get mad and get more than even: When and why anger expression is effective in negoti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3), 314-322. doi:10.1016/j.jesp.2005.05.002 

  69. McDermott, D. (2007). Developing caring relationships among parents, children, schools, and communities. Los Angeles, CA: Sage. 

  70. McKay, M., Fanning, P., Paleg, K., & Landis, D. (1996). When anger hurts your kids: A parent's guide.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71. Moller, E. L., Majdandzic, M., & Bogels, S. M. (2015). Parental anxiety,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anxiety: Differential associations for fathers and mothers.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24(9), 2626-2637. doi:10.1007/s10826-014-0065-7 

  72. Notti, J. A.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 anger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 John's University, New York, USA. 

  73. Novaco, R. W. (1976). The functions and regulation of arousal of ang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3(10), 1124-1128. doi:10.1176/ajp.133.10.1124 

  74. Park, N.,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3), 323-341. doi:10.1007/s10902-005-3648-6 

  75. Pereira, A. I., Barros, L., Mendonca, D., & Muris, P.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nxiety, parenting, and children's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vulnerabilities.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23(2), 399-409. doi:10.1007/s10826-013-9767-5 

  76. Rebecca, C. C. (2002). Parent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emotion: Implications for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ennsylvania, USA. 

  77. Reijneveld, S. A., Meer, G. de, Weifferink, C. H., & Crone, M. R. (2008). Parents' concerns about children are highly prevalent but often not confirmed by child doctors and nurses. BMC Public Health, 8(1), 124-133. doi:10.1186/1471-2458-8-124 

  78. Sanders, 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1(1), 65-73. doi:10.1111/j.1365-2214.2005.00487.x 

  79.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35. doi:10.1037/h0041114 

  80. Seng, A. C., & Printz, R. J. (2008). Parents who abuse: What are they thinking?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1(4), 163-175. doi:10.1007/s10567-008-0035-y 

  81.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ed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2. Sigel, I. E., & McGillicuddy-De Lisi, A. V. (2002). Parental beliefs and cognitions: The dynamic belief systems model.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2nd ed., Vol. 3, pp. 485-508). Mahwah, NJ: Erlbaum. 

  83. Spielberger, C. D., Jacobs, G. A.,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In C. D. Spielberger & J. N. Butch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 3 (pp. 119-187). Hillsdale, NJ: LEA. 

  84.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pp. 89-108). New York: Springer/Verlag Publishers. 

  85. Unell, B. C., & Wyckoff, J. L. (2000). The eight seasons of parenthood: How the stage of parenting constantly reshape our adult identities. New York: Random House. 

  86. West, A. E., & Newman, D. L. (2003). Worried and blue: Mild parental anxiety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cience & Practice, 3(2), 133-154. doi:10.1207/S15327922PAR0302_02 

  87. Woods, K. (2011). Examining the effect of medical risk. parental stress, and self-efficacy on parent behaviors and home environment of prematur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Nebrask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