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치조골이 심하게 위축된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made with closed-mouth impression technique on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jaw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2, 2019년, pp.195 - 202  

이석환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이성복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이석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보철과에는 장기간 총의치를 사용해 온 고령 환자 중에서 발치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로 환자들이 종종 내원하게 된다. 통상 하악 총의치는 하악 협붕 부위의 1차 지지를 기반으로 한 개구인상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악 총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단에서부터 의치 주위 조직의 기능 및 의치상의 경계, 교합평면, 악궁의 대합관계, 인공치아의 배열, 저작습관, 그리고 환자에 대한 교육과 장착 후 주의 사항 등을 충분히 고려해두어야 한다. 그러나 치조골 위축이 심하게 발생된 무치악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는 간혹 실제 저작과정에서 유지와 안정에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제작 방법을 선호하는 임상가들에 의해 개구인상법과 폐구인상법을 비롯한 다양한 인상채득 방법을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폐구인상법을 토대로 한 기능인상으로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동일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보다 나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확인했고,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의 구강조건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와 폐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내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the elderly patients with severely atrophied alveolar ridge who have been wearing complete dentures for a long period frequently visit the clinic. In general, the open-mouth impression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 mandibular complete denture to secure primary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에서는 심한 치조골 위축을 가진 무치악 환자에서 폐 구인상법을 토대로 한 기능인상으로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동 일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보다 나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 의 구강조건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와 폐구인상법으 로 제작한 의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내용에 대해 보고하고 자 한다.
  • 문제목록으로 상악 전치부의 가동조직(flabby tissue), 수직고 경 상실, 불안정한 하악위, 저작기능의 저하 문제가 있었고, 이 를 해결하기 위해 점막 안정화, 정상 수직고경 회복, 하악의 안정 위 유도, 심미적 안모 회복 그리고 저작기능의 회복을 치료 목표 로 하였다. 치료옵션으로 고정성 보철수록 치료의 경우, 골이식 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 및 수복, 가철성 보철수복 치료의 경우, 상하악 총의치 제작 또는 상악 4개, 하악 2개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 치료에 대해 설명하였다.
  • 본 증례에서는 심한 치조골 위축을 가진 무치악 환자에서 폐 구인상법을 토대로 한 기능인상으로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동 일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보다 나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 의 구강조건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와 폐구인상법으 로 제작한 의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내용에 대해 보고하고 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조골 위축이 심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4 특히, 하악 의치의 최종인상법에 관해서는 후악 설골근와 부위를 비롯한 하악 의치의 설측면을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 최종인상법이 하악 의치의 유지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이러한 방법은 특히 치조골 위축이 심한 경우 이결절에 대한 압박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5 하지만 치조골 위축이 심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는 간혹 실제 저작기능시의 유지력 및 안정에 한계를 보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의치 적합의 불안정함, 근육 움직임에 의한 의치 변위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6
하악 의치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보통 상악의 경우 구치부 치조제와 경구개부위에서 지지를 얻고, 하악의 경우 협붕 부위의 1차 지지를 기반으로 총의치를 제작하게 되고 개인트레이 역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고려한 디자인 으로 제작한다. 1,2 특히 하악 의치 제작 시 유지력은 응착력, 계면 간 장력, 조직친화력, 중력 등과 관련이 있고 의치의 안정을 위해 혀의 위치, 협근의 운동, 중립대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3
하악 총의치 유지력 향상을 위해 개선된 제작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총의치 유지력 향상을 위한 폐구인상법, 동적인상법(dynamic impression method)등을 이용한 여러 총의치 제작 방법이 등장하였고 특히 하악에서 치조골 위축이 심한 증례에서 사용될 수 있다. 3 그리고 이러한 여러 인상법들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들의 유지력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폐구 인상법을 이용한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가 여러인상법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은 유지력을 나타낸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rithviraj DR, Singh V, Kumar S, Shruti DP. Conservative prosthodontic procedures to improve mandibular denture stability in an atrophic mandibular ridge. J Indian Prosthodont Soc 2008;8:178-84. 

  2. Cho IH, Kwon KR, Kwon HB, Kim MH, Lee CH, Jeong CM, Park CJ, Park SW, Lee JH, Cho HW, Kim HJ, Moon HS, Chung MK, Chung CH, Lim YJ, Lee JS, Song KW, Han CH.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2nd ed. Seoul; Dental Wisdom; 2014. p. 98-145. 

  3. Reddy SM, Mohan CA, Vijitha D, Balasubramanian R, Satish A, Kumar M. Pressure produced on the residual maxillary alveolar ridge by different impression materials and tray design: an in vivo study. J Indian Prosthodont Soc 2013;13:509-12. 

  4. Halperin AR, Graser GN, Rogoff GS, Plekavich EJ. Philosophy of impression making, in Winkler S (ed): Mastering the art of complete dentures. Quintessence, 1988, p. 31-4. 

  5. Tyson KW, McCord JF. Chairside options for the treatment of complete dentur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trophic (flat) mandibular ridge. Br Dent J 2000;188:10-4. 

  6. Yadav B, Jayna M, Yadav H, Suri S, Phogat S, Madan R. Comparison of different final impression techniques for management of resorbed mandibular ridge: a case report. Case Rep Dent 2014;2014:253731. 

  7. Critchlow SB, Ellis JS. Prognostic indicators for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therap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2010;38:2-9. 

  8. Jo A, Kanazawa M, Sato Y, Iwaki M, Akiba N, Minakuchi 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different impression methods for the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Patient reported outcomes. J Dent 2015;43:989-96. 

  9. Hyde TP, Craddock HL, Gray JC, Pavitt SH, Hulme C, Godfrey M, Fernandez C, Navarro-Coy N, Dillon S, Wright J, Brown S, Dukanovic G, Brunton P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omplete denture impression materials. J Dent 2014;42:895-901. 

  10. Pauna MR, Babiuc I, Farcasiu AT. Prosthodontic management of an extreme atrophy of the mandible correlated with a prominent genial tubercle - a clinical report. Rom J Morphol Embryol 2015;56:867-70. 

  11. Collett HA. Final impressions for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70;23:250-64. 

  12. Tallgren A. The continuing reduction of the residual alveolar ridges in complete denture wearers: a mixed-longitudinal study covering 25 years. J Prosthet Dent 1972;27:120-32. 

  13. Kanazawa M, Tanoue M, Miyayasu A, Takeshita S, Sato D, Asami M, Lam TV, Thu KM, Oda K, Komagamine Y, Minakuchi S, Feine J. The patient general satisfaction of mandibular single-implant overdentures and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Medicine (Baltimore) 2018;97:e10721. 

  14. Stellingsma K, Slagter AP, Stegenga B, Raghoebar GM, Meijer HJ. Mastic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an extremely resorbed mandible restored with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comparison of three types of treatment protocols. J Oral Rehabil 2005;32:40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