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 수업을 위한 세부역량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ying Detailed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3 no.2, 2019년, pp.131 - 139  

서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과교육학과) ,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과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9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은 모든 초등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필수과목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 어떤 식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낯설어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이 되는 컴퓨팅 사고력 중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각각의 의미,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예시수업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논문의 전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데이터 관련 역량의 의미, 세부역량 및 성취기준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FGI와 폐쇄형 질문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문가들의 검토의견을 반영한 본 조사의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둘째, 위의 결과로 만들어진 설문문항을 컴퓨터교육 전공 박사, 박사과정, 소프트웨어교육 담당 교사 및 소프트웨어교육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 안정도, 신뢰도를 검증받았다. 셋째, 그 결과 개발된 세부역량과 성취기준 중 '수집방법 선택-문제 상황에 따라 수집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의 의미 탐색-분석된 데이터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안다.', '다양한 표현방법 활용-다양한 표현 도구를 사용한다.'를 수업목표로 하여 다섯 차시의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이 때 교육,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위해 백워드 2.0 설계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의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데이터 관련 수업을 계획함에 있어 어떠한 방향으로 수업을 하면 좋을 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세울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2019, software education has become a required subject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many teachers are still unfamiliar with how the classes should be instructed. So this paper presented the meaning, detailed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 in order to help in the colle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직접 수업함으로써 실제로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후의 시간은 각자가 조사해온 원데이터에 관한 분석을 간단히 진행하고 발표하여 각 모둠의 데이터 분석이 잘되었는지, 잘 되지 않았다면 어떠한 점을 보충하면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그리고 다음 차시까지 학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본인들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오는 과제를 수행해 올 수 있도록 한다.
  •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의 필요성이 점차 커짐에도 불구하고 김용민(2018)에 의하면 데이터 과학에 대해 현재까지 논의가 이루어져 온 국내․외의 관련 연구들 중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과 관련된 연구들 중에서도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가 없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의 교육을 위한 기초로서 각각의 세부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 중 데이터수집, 데이터 분석, 데이터 표현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에서 세부역량을 개발하며 그 세부역량마다의 성취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된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육내용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직접 수업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 논문은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 중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각각 어떠 한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것이 적용 가능한지 예시 수업을 개발하여 확인했다는 것 에 의미가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 중 데이터수집, 데이터 분석, 데이터 표현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에서 세부역량을 개발하며 그 세부역량마다의 성취기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된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육내용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직접 수업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워드 설계를 통한 수업은 어떤 교육 활동에 적합한 수업형태인가? 백워드 설계를 통한 수업은 경기도 교육연구원(2015)에서 추구하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하나의 연속된 교육 활동으로 바라보고, 이를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세 요소의 불일치 요소를 최소화하고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키는 교육활동’에 적합한 수업형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수업 개발 방법은 이에 적합한백워드 설계(2.
디자인 제작 도구인 망고보드를 데이터 표현활동에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번 수업의 데이터 표현활동을 통해서는 디자인 제작 도구인 망고보드를 활용하였다. 그 이유로는 다양한템플릿이 이미 만들어져 있어서 컴퓨터를 활용한 데이터 표현에 익숙하진 않은 학생들도 몇 가지 글과 그림,도표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효과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었다.
데이터 과학이란?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대중적인 키워드로서 데이터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면, 학술적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현상은 데이터 과학의 대두(이재윤,2015)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과학이란 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하는 학문 분야 중 하나이다.(Shi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ongil Kim(2016). "Data Science for Smart Manufacturing - Techniques, applications and issues", ie Magazine, 23(3). 

  2. Google for education(2015). Exploring Computational Thinking, https://edu.google.com/resources/programs/exploring-computational-thinking/#!ct-overview/. 

  3. ISTE, CSTA(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4.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15).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Operation Guideline", p. 63. 

  5. Kyung Ja Kim, Jung Deok Ohn (2014), "Transfer of Learning Understanding Creativity", Education academy. 

  6.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pp. 563-575. 

  7. Lunt, P., & Livingston, S.(1996.). Rethinking focus groups in media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46, 79-98. 

  8.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5). Information Culture Forum, 2015 Research Report, p.13. 

  9. Oh-Kyung Sun(2016). "A study on the Cont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Programming Education",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57 pages. 

  10. Jae Yun Lee(2015). "Data science and data literacy",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 pp. 11-15. 

  11. Seongjin Ahn, Kyusung Noh, Oh-Kyung Sun, (2018). Thinking Like a Computer, Ehanmedia. 

  12. Seungyong Noh(2006). "Delphi Technique: Expert insight into the futur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299(2006-09), pp.53-62. 

  13. Shi, Y., P. S. Yu., Y. Zhu., & Y. Tian. (2014). Explore New Field of DataScience Under Big Data Era: Preface for ICDS 2014. Procedia ComputerScience, 30, 1-3. 

  14. Sook Young Choi(2016). A Study on Teaching-learning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 in terms of Problem Solv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9 No. 1 (2016) pg. 53, p. 10. 

  15. Woong Suh(2019). "Development of Data-related Competency for Computational Think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71pages. 

  16. Yongmin Kim(2018).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08 pages. 

  17. YunSik Choi(2012), "Futurist Insight Act", Gimmyou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