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Color and Form -Focusing on Eye Tracking Experi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2019년, pp.102 - 110  

황미경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권만우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박민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트렌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visual sensibility studies, many studies of color or movement have been done, but not much have been done about whether it can evoke sensibility in static form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visual attention by AOIs(Area of Interests) combined with color based on three basic forms was 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색상과 형태의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는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실험 연구로서 색상과 형태를 실험 자극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주의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색상과 형태의 디자인 기본요소를 분석하고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위해서 아이트래커을 활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 연구문제. 색상과 형태에 따라 시각적 주의가 다르게 나타나는가? 색상(빨간색(R), 초록색(G), 파란색(B), 흰 색(W), 검정색(K))과 형태(원형, 삼각형, 사각형)에 따 라 시각적 주의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색상과 형태의 종류에 따른 시각적 주의의 차 이를 2개의 가설로 검증하고자 한다.
  • 아이트래킹을 통해 색상과 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해석함으로서 디자인 기초연구에 있어 주관적으로 해석되어지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정량적 방법으로 객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무채색의 형태보다 유채색 형태의 시각적 주의가 더 클 것이다
  • 연구가설 2. 한색의 형태보다 난색 형태의 시각적 주의가 더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목성(visual attention)이란? 심리학자 제임스(James, 1981)에 의하면 주목성(visual attention)이란 ‘what’ 혹은 ‘의미’, ‘인간이 관심을 가지고 기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목이란 뇌가 관심 있는 자극을 처리할 수 있게 선택하여 정신을 한곳으로 집중하는 것이다.
아이트래킹의 장점은? 아이트래킹은 시간이나 비용, 분석 방법에 있어서 많은 투자를 요구하나 이용자의 시각적 주의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객관적 수치로 정량화함으로써 기존 연구방법의 한계가 다소 극복되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객관화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아이트래커에서 시점 조정이 중요한 이유는? 시점 조정은 피험자마다 다른 응시 패턴을 교정하여 정확한 결과가 나오도록 돕는 과정이다. 이는 저울의 영점과 같이 기준점을 잡는 것으로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과정으로써 데이터의 신뢰도나 정확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덕용, 이은경, 이정아, "색상과 형태의 이미지연상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3권, 제1호, pp.81-96, 2009. 

  2. 홍정인, 최경실, "형태의 추상화에 따른 색상(Hue)별 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4권, 제2호, pp.79-88, 2010. 

  3. 박선명, 김종하, 이정호, "시지각 주의집중에 대한 시선추적 조사방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31권, 제6호, pp.121-129, 2015. 

  4. 박혜경,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지하철 공공환경시설물의 시지각 주목성 평가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3권, 제1호, pp.238-247, 2010. 

  5. 신현신, 신경아, 선일기, "옥외광고(sign)의 레이아웃 구성 형태와 색상조화에 따른 차이가 수용자 기억과 상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옥외광고학연구, 제6권, 제4호, pp.127-149, 2009. 

  6. 조열, 김지현, 형태지각과 구성원리, 창지사, p.137, 1999. 

  7. 강미영, 강승묵, "케이블방송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주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4-75, 2014. 

  8. http://en.wikipedia.org/wiki/Eye_tracking, 2019.1.5. 

  9. J. Hyona, "The use of eye in the study of multi media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Vol.20, No.2, 2009. 

  10. 황선정, 김일, "패션 잡지 광고의 시각정보처리 과정 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pp.239-258, 2014. 

  11. 이윤정, "이미지의 시지각 반응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3호, pp.263-271, 2012. 

  12. 김지호, "광고의 시지각적 연구를 위한 아이트래킹 방법론의 이해, 현황 및 제언,"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9권, 제2호, pp.41-84, 2017. 

  13. 황선정, 김일,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패션 브랜드 광고의 소비자 반응 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pp.203-220, 2013. 

  14. 김하림,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모니터 글자색상에 따른 가독성에 대한 연구,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5. 장필훈, CATV Station ID에 나타난 모션그래픽의 시각적 반응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장호현, "시각적 개념의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3호, pp.333-343, 2011. 

  17.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제22권, 제5호, pp.99-125, 2011. 

  18. 최양현, 소비자 암묵기억을 이용한 정보 표시 기능 활용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