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소주광고 포스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cautions of Soju Advertising Posters Using Eye Tracking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3 no.2, 2020년, pp.368 - 375  

황미경 (Game Lab, DONG-EUI University) ,  권만우 (Dept. of Digital Media, College of Arts, Kyungsung University) ,  박민희 (Dept. of Digital Media, College of Arts, Kyungsung University) ,  김치용 (Dept. of Game Animation, College of ICT Eng., DONG-EU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rea of interest(AOI) of Soju ad poster was tracked for analysis the time to frist fixation, the average of fixation duration and count by the study index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sual attention was higher the face than the body shape of the ad model. This means "when w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쇄 광고물에 있어 그림요소인 이미지(광고모델, 제품)와 언어요소인 카피(헤드라인)의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실험 연구이다. 광고 이미지와 광고 카피를 실험자극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많은 정보 속에서 과학적이고 즉각적인 심리적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안구운동, 뇌 측정, 심장 혈관계, 근육활동, 피부측정지표 등 다양한 정신생리학적 방법들이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정신생리학적 방법 중 안구운동 지표에 해당하는 아이트래킹을 살펴보고자 한다.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시선의 위치를 추적하는 아이트래커(eyeᐨtracker)는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응시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비의식적인 피측정자의 시선움직임에 대한 심리적 반응 정보[11]를 능동적, 자동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피측정자가 광고의 어디를 보는지 어떤 순서로 보는지를 측정해 해당 자극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연구문제 3 : 소주광고 포스터에서 성별에 따른시각적 주의의 차이가 있는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측정방법의 보완수단으로서 광고효과에 대한 심리반응을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과학적 측정기술에 기반을 둔 심리생리학적(psychophysiological) 접근방법 중 하나인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시장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인쇄 광고 중 소주광고 포스터의 이미지(광고모델+제품)와 카피(헤드라인)의 시각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광고모델의 몸매는 얼굴보다 시각적주의가 더 클 것이다.
  • 연구가설 2 : 광고모델(이미지)은 헤드라인(카피)보다 시각적 주의가 더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주 업계의 광고전략이 청순함으로 바뀐 이유는? 현재 소주 업계에서 가장 흔하게 쓰는 광고 전략으로 대부분 정상급 여성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고 있다. 광고 컨셉도 노출을 통한 섹시한 이미지에서 깨끗하고 청순함으로 바뀐 것은 저도수화에 대한 여성 고객 확보의 한 이유가 됐지만, 소주 원료의 깨끗함을 강조하기 위한 광고 모델의 청순한 이미지가 요구되어졌기 때문이다[2]. 또한 알코올 도수 17도 이상 주류는 TV 광고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신문, 인터넷, 극장에 등장하는 광고모델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고 소비자들이 광고 포스터만 보고도 호감을 느껴야 제품이 잘 팔리기 때문에 소주 모델은 대체적으로 호감도가 높고, 깨끗하고 청순하면서도 섹시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주광고의 특징은?  이에 따라 많은 정보들은 광고로 이어지고 구매로 연결된다. 소주광고는 시각을 통한 미각의 자극이라는 점에서 표현방식에 따라 제품 자체의 신뢰성이나 효용성이 발휘된다. 실제 TV-CF보다 인쇄매체 광고를 통해 카피나 제품의 성분을 부각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광고모델을 여성으로 한정하여 여성의 노출이나 신체 일부를 주요수단으로 활용해 오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소비자가 제품의 성분보다는 제품이 주는 이미지를 사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특정 장면을 각인시키는 설득효과를 가진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이후 회식 문화가 사라지거나 변하면서 소주에 일어난 변화는? 과거 소주시장은 지역 내 특정 제품을 중심으로한 경쟁구도가 이어져 왔으나, 2010년대 들어서는 지방 소주 업체들의 수도권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전국적인 경쟁으로 변화하였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이후 회식 문화가 사라지거나 변하면서 '서민 술', 소주가 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순한' 변신을 통해 젊은 고객 유치를 위한 16.9도까지 순해진 소주들의 뜨거운 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한국의 음주 문화는 마시고 취하는 것 보다는 음주를 즐기는 문화로 변화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 Gim, "The Effect of Pictorial Presentation- Style on Memory in Print Advertisements,"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6 No. 2, pp. 103-124, 2005. 

  2. Y. Lee and K. Lee, "A Study of the Consumer's Attitude for Poster Image of Soju Liquor Advertis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Trend, Vol. 35, No. 54, pp. 174, 2012. 

  3. J. Yu and H. Kim, "A Study of Makgeolli Container and Label Design Elements Utilized Eye Tracker for Promotion of 2030 Generat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22, No. 4, pp. 471-482, 2016. 

  4. Friedman, H. Hershey, and Linda Friedman,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15, No. 5, pp. 63-71, 1979. 

  5. A. Berney-Reddish and S. Reni, "Sex Differences in Responses to Probability Markers in Advertising Claims," Journal of Advertising, Vol. 35, No. 2, pp. 30-31, 2006. 

  6. H. Chun and D. Lyi, "How Affects Language Power on Persuasion and Argument Strength in Print Advertis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8, No. 1, pp. 7-27, 2006. 

  7. M. Yu and P. Park,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by Product Involvement and Endorser," Advertising Research, Vol. 104, pp. 30-31, 2015. 

  8. S. Shin, "A Study on the TV the Advertising Effect Measurement: Based on the Emotional Response Model," Advertising Research, Vol. 11, pp. 241, 1991. 

  9. R.N. Shepard, "Recognition Menory for Works, Sentences and Picture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ol. 6, pp. 156-163, 1967. 

  10. D. Starch, "How Does the Shape of Ads Affect Readerships?," Media/Scope, Vol. 10, pp. 83-85, 1966. 

  11. N. Ravaja, "Contributions of Psychophysiology to Media Research: Review and Recommendations," Media Psychology, Vol. 6 No. 2, pp. 193-235, 2004. 

  12. D. Kahneman and A. Tversky, "On the Psychology of Prediction," Psychological Review, Vol. 80, pp. 237-251, 1973. 

  13. H. Kwon and S. Lee, "Tendency of Immersion and Recognition on Application of Visual Cue in Graphic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5, No. 9, pp. 1174-118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