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Distress in Premenopausal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Endocrine Therap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1, 2019년, pp.15 - 24  

김지영 (서울아산병원)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menopausal symptoms, functional status, and distres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istress in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on endocrine therapy.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후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 및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와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갱년기 증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 및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와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 및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와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에는 총 140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후 내분비요법 중인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 및 디스트레스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내의 유방암 환자는 서구에 비하여 호발 연령이 낮은 특성과 선행연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갱년기 증상이 심하고, 디스트레스가 높았다는 점을 고려하면[2,8,17], 폐경기 전 젊은 연령층 환자의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와 디스트레스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분비요법을 받는 폐경 전 유방암 환자들이 경험하는 갱년기 증상, 기능 상태와 디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그 관계 및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분비요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유방암의 치료 중 내분비요법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유방암 환자의 재발 예방 및 재발된 암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3], 유방암 환자의 전체 생존률과 무병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유방암 특이 사망률, 재발의 위험성 및 반대편 유방의 암 발생 률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치료이다[4]. 하지만 내분비요법은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한 갱년기 증상을 발생시켜[4], 내분비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은 신체생리적 증상들과 사회 심리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경험하게 되고[5-7], 특히 폐경 전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더 중증의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8].
내분비요법이란 무엇인가? 유방암의 치료 중 내분비요법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유방암 환자의 재발 예방 및 재발된 암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3], 유방암 환자의 전체 생존률과 무병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유방암 특이 사망률, 재발의 위험성 및 반대편 유방의 암 발생 률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치료이다[4]. 하지만 내분비요법은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한 갱년기 증상을 발생시켜[4], 내분비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은 신체생리적 증상들과 사회 심리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경험하게 되고[5-7], 특히 폐경 전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더 중증의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8].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해 비호르몬 약물 요법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난소기능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항암화학요법이나 난소억제주사치료 등의 보조요법을 시행한 대상자의 월경 상태 변화 및 갱년기 증상을 주의 깊게 사정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호르몬대체요법이지만 유방암 환자의 재발이나 새로운 유방암 발생의 위험성으로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에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28]. 따라서 비호르몬 약물 요법, 운동, 생활양식 변화, 상담 및 인지 행동 치료와 같은 심리사회적 중재 등[22]을통해 대상자의 증상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중재 연구와 반복적인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tatistics 2017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cited 2018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s://www. cancer.go.kr/lay1/S1T639C641/contents.do.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7 [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7 [cited 2018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s://www.kbcs.or.kr/journal/file/2017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pdf. 

  3.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The breast. 4rd ed.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7. 

  4. Burstein HJ, Temin S, Anderson H, Buchholz TA, Davidson NE, Gelmon KE, et al. Adjuvant endocrine therapy for women with hormone receptor-positive breast cancer: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cused updat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4;32(21):2255-2269. https://doi.org/10.1200/JCO.2013.54.2258 

  5. Kim Y, Min YH. Menopausal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hormone therap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1):120-129.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1.120 

  6. Hwang E, Yi 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hormone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108-117. https://doi.org/10.4040/jkan.2014.44.1.108 

  7. Rosenberg SM, Stanton AL, Petrie KJ, Partridge AH. Symptoms and symptom attribution among women on endocrine therapy for breast cancer. The Oncologist. 2015;20(6):598-604. https://doi.org/10.1634/theoncologist.2015-0007 

  8. Dorjgochoo T, Gu K, Kallianpur A, Zheng Y, Zheng W, Chen Z, et al. Menopausal symptom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6 months after diagnosis; a report from the Shanghai breast cancer survival study. Menopause. 2009;16(6):1205-1212. https://doi.org/10.1097/gme.0b013e3181aac32b 

  9. Tulman L, Fawcett J, McEvoy MD. Development of the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cancer. Cancer Nursing. 1991;14(5):254-260. 

  10. Ozkan S, Ogce F.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cancer(IFS-CA) in Turkish wome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9;20(2):187-193. https://doi.org/10.1177/1043659608330061 

  11. Kimmick GG, Lovato J, McQuellon R, Robinson E, Muss HB.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of sertraline(Zoloft) for the treatment of hot flushes in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taking tamoxifen. The Breast Journal. 2006;12(2):114-122. 

  12. Boehm DU, Lebrecht A, Eckhardt T, Albrich S, Schmidt M, Siggelkow W, et al. Quality of life and adjuvant tamoxifen treat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09;18(5):500-506. https://doi.org/10.1111/j.1365-2354.2008.01015.x 

  13.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Guidelines & Clinical Resources: NCCN Guidelines for Supportive Care: Distress management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7 [cited 2017 June 15]. Available from: https://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default.aspx#supportive. 

  14. Ho SS, So WK, Leung DY, Lai ET, Chan CW.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hinese women with breast cancer during and after treatment: A comparative evaluation.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3;17(6):877-882. https://doi.org/10.1016/j.ejon.2013.04.005 

  15. Jo HC, Kim ET, Min JW.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during follow- up periods in Korea. Journal of Breast Disease. 2016;4(2):58-63. https://doi.org/10.14449/jbd.2016.4.2.58 

  16. Jorgensen L, Laursen BS, Garne JP, Sherman KA, Sogaard M.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istress in women taking part in surgical continuity of care for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6;22:30-36. https://doi.org/10.1016/j.ejon.2016.01.004 

  17. Mertz BG, Bistrup PE, Johansen C, Dalton SO, Deltour I, Kehlet H,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women with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4):439-443. https://doi.org/10.1016/j.ejon.2011.10.001 

  18. Kwon EJ, Yi 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289-296. https://doi.org/10.5388/aon.2012.12.4.289 

  19. Seo JY, Yi 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1): 18-27. https://doi.org/10.5388/aon.2015.15.1.18 

  20. Ganz PA, Petersen L, Bower JE, Crespi CM. Impact of adjuvant endocrine therapy on quality of life and symptoms: observational data over 12 months from the mind body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6;34(8):816-824. https://doi.org/10.1200/JCO.2015.64.3866 

  21. Sousa MS, Peate M, Jarvis S, Hickey M, Friedlander M. A clinical guide to the management of genitourinary symptoms in breast cancer survivors on endocrine therapy. Therapeutic Advances in Medical Oncology. 2017;9(4):269-285. https://doi.org/10.1177/1758834016687260 

  22. Marsden J. The menopause specialist and breast cancer survivorship. Post Reproductive Health. 2016;22(4):147-154. https://doi.org/10.1177/2053369116668738 

  23. Mao JJ, Stricker C, Bruner D, Xie S, Bowman MA, Farrar JT, et al. Pattern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romatase inhibitor-related arthralgia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2009;115(16):3631-3639. https://doi.org/10.1002/cncr.24419 

  24. Yun YH, Mendoza TR, Heo DS, Yoo T, Heo BY, Park HA, et al.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tool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Oncology. 2004;66(6):439-444. https://doi.org/10.1159/000079497 

  25. Heinemann LA, Potthoff P, Schneider HP. International versions of the Menopause Rating Scale(M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3;1:28. 

  26. Suh EY, Lee EO. The effects of rhythmic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strength,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adjuvant chemoht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7;9(3):422-437. 

  27. Park HJ, Yoon HG. Menopausal symptoms, sexual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3;21(9):2499-2507. https://doi.org/10.1007/s00520-013-1815-6 

  28. Cohen PA, Brennan A, Marino JL, Saunders CM, Hickey M. Managing menopausal symptoms after breast cance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Maturitas. 2017;105:4-7.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7.04.013 

  29. Seo MH, Lim KH. The effects of fatigue and distress on self-efficac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4):378-387. https://doi.org/10.7475/kjan.2016.28.4.378 

  30. Park JH, Bae SH, Chun M, Jung YS, Jung YM. Factors influencing elevated distress scores at the end of primary treatment of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3):132-139. https://doi.org/10.5388/aon.2015.15.3.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