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uiding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2 no.1, 2019년, pp.47 - 61  

유기종 (효명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6개 시 도 36명의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수업 요인 중 학생 지도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학생 평가, 교수 학습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집단별 평균 차이 검증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교과 내용학과 교육학이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는 선행연구와 달리 두 가지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while guiding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difficulties varied by gender,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This study randomly chose 36 mathematics teachers as participants and the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이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기 위하여 온라인(모바일) 설문조사 도구를 이용한 설문지법으로 분류된 교사들의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 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이용한 측정도구를 제작한 후 각 지역별 1명의 수학 교사를 섭외하여 주변 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자료 수집은 유료 온라인 설문조사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한 측정도구 제작은 2019년 1월, 자료 수집은 2월 중순에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참여한 교사는 총 36명이었다.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이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교사들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 중 5년 미만의 교사가 없어 초임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고, 일반계 고등학교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수가 충분하지 않고, 교사 집단별 인원수의 비가 동등하지 않아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는데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이 수학 교과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학 교사들이 교과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교사가 학생들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 내용 지식은 무엇인가? 교수 내용 지식(PCK)은 수학적 지식과 학습자, 학습, 교육적 지식을 결합한 특별한 형태의 지식이다. 즉, 그들이 가르치는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을 맞이함에 따라, 교사들은 내용, 학생들, 학습, 교육학에 대한 고려를 해야한다.
교사가 겪는 이중단절은 언제 겪는 것인가? 그런데 예비교사가 대학에 진학하면 중등학교에서 배운 수학과 차원이 다른 추상적인 순수 수학을 배우면서 첫 번째 단절을 경험하고, 이후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대학에서 배운 순수 수학은 대부분 망각한 채 자신이 중등학교에서 배운 수학을 재인식하며 가르치는 두 번째 단절을 경험한다. Felix Klein(1849-1925)은 이와 같은 교사의 경험을 지적하고 이를 ‘이중단절(double discontinuity)’이라고 했다(박경미, 2009).
내용 지식과 교육학 지식이 학생 지도의 도움 여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배운 수학 교과 내용학(순수수학)과 교육학(수학교육론, 수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등)이 학생들 교과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두 가지 모두 5점 만점에서 3점 이하로 나타났다. 즉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배운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과 교육학 지식 (pedagogical knowledge) 두 가지 모두 학교 현장에서 학생 지도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교사들의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사들이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수업의 실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박만구 외, 2005)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은정, 박진원, 이경언 (2015). 예비 수학 교사들의 진로 인식 변화. 교사교육연구, 54(4), 538-548. 

  2. 교육부(2015a).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3. 교육부(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2015년 3월16일 보도자료). 

  4. 교육부(2017).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발전 계획 발표(2017년 11월 6일 보도자료). 

  5. 교육부(2018). 대학입시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 발표(2018년 4월 11일 보도자료). 

  6. 김경윤 (2018). 말없이 가르치고 배우라. 우리교육, 96-103. 

  7. 김수선, 고상숙 (2015). 과목변경수학 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29(3), 373-389. 

  8. 김인경 (2017). 예비수학 교사가 학교현장실습에 참여 후 자신의 수업실습에 관한 반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4(4), 213-234. 

  9. 박경미 (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PCK) 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수학교육, 48(1), 93-105. 

  10. 박만구, 안희진, 남미선 (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291-314. 

  11. 송재환, 고호경 (2018). 수학과 성취평가제에 관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인식. 교육문화연구, 24(1), 213-231. 

  12. 심상길, 이강섭 (2013). 예비수학 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A-수학교육, 52(4), 517-529. 

  13. 신혜원 (2013).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1), 55-66. 

  14. 유기종 (2015). 좋은 수학 수업 요인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기도, 대한민국. 

  15. 이봉주 (2008).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1-18. 

  16. 전수경, 조정수 (2014). 기하 수업에서 중등 수학 교사가 경험한 공학도구 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근거 이론적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4(3), 387-407. 

  17. 한혜숙 (2016). 예비수학 교사의 MKT 에 관한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30(1), 101-120. 

  18. Artzt, A. F., Armour-Thomas, E., Curcio, F. R., & Gurl, T. J. (2015). Becoming a reflective mathematics teacher: A guide for observations and self-assessment. Routledge. 

  19. Ball, D. L., & Bass, H. (2000). Interweaving content and pedagogy in teaching and learning to teach: Knowing and using mathematics. Multiple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83-104. 

  20. Graham, K. J. (2001).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nd teacher education: Preparing and empowering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6), 319-327. 

  21.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22. Kaplan, R. G. (1991). Teacher beliefs and practices: A square peg in a square hole. DOCUMENT RESUME ED 352 274 SE 053 421, 100, 425. 

  23.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Ma, L. (2010).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Routledge. 

  25. Metz, P. K. (2003). 배움의 도 (이현주 역). 서울: 도서출판 민들레. (원저 1994년 출판). 

  26. National Council for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National Council for Teachers of Mathematics. 

  27. Peterman, F. P. (1993). Staff 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A teacher's emerging constructivist belief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227-245. 

  28.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 102-119. 

  2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