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1, 2017년, pp.93 - 113  

김유경 (수원상촌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서 수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수학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역량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평가 결과의 환류가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의 평가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역량 간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수업과 연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행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사용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 주지만 평가 결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ses of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integrating assessment and instruction, which had been conducted in an elementary school whose assessment system involves frequent tests from a formative perspective on assessment. The research outcome is as follows: Firs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업의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만큼 평가 방법 또한 개별평가, 모둠평가, 동료평가, 구술평가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의 평가는 학생들의 성적처리를 겸하는 평가이며 평가 문항, 채점 결과, 첨삭의 결과가 모두 가정으로 통보되어야 하기에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공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평가에서 학생들의 역량에 대해 평가가 이루어진 사례, 즉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량에 대한 증거를 찾고 이를 다음 수업이나 평가에 반영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의 평가 체제와 연계하여 수업과 통합한 평가를 실행함으로써 실행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1일 권장 열량이 2200kcal이기 때문에 간식으로 먹은 열량 585kcal를 빼면, 1615kcal가 되고 자신은 키가 작고 몸이 마르기 때문에 아침 500kcal, 점심 515kcal, 저녁 600kcal을 모두 먹겠다고 적었다. 물론 글을 쓰기 보다는 앞서 문제해결과정을 기술하듯 기록한 부분이 있으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 과정 중심의 평가 등 수업과 통합한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평가 사례를 제안하고, 특히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다음 교수·학습 및 평가에 환류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외형적으로는 형성적인 관점에서 평가가 행해지고 있지만 질적인 부분에서는 수학 내용 위주의 평가, 지필 평가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 역량 중심의 평가를 실행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실행된 사례 또한 수업과 통합하여 실시된 역량 평가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는 없다.
  • 특히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과 통합한 평가의 실제를 제안하는 것은 평가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는 수업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사례를 통해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평가에서 학생들의 역량에 대해 평가가 이루어진 사례, 즉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량에 대한 증거를 찾고 이를 다음 수업이나 평가에 반영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의 평가 체제와 연계하여 수업과 통합한 평가를 실행함으로써 실행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평가를 처음 계획할 때에는 단순히 재미를 위한 놀이가 아니라, 놀이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을 세우고 실제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수학적 사고를 키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을 평가하는 것이 1∼2명의 학생은 가능하지만 전체 학생의 경우에는 무리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학습형태는 변화를 주었지만 부족했던 부분인 창의·융․합적 역량을 함양하는 수업을 지속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이 나타났는가? 또한 수시로 행하는 평가로 인해 채점, 평가 결과 분석, 평가 결과의 통보와 같은 업무가 가중되고, 평가 시간의 확보나 평가 문항 개발의 어려움을 발생시켰다. 이 밖에도 교육과정에 끼워 맞추는 식으로 평가를 계획하고 단순히 총괄평가 문항을 분할하여 상시로 실시하거나 학생들에게 과제물을 부과하는 형태로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등 실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었다(김영기, 양승욱, 2000). 이처럼 수행평가가 일선 학교에 도입되어 운영된 지 20년이 지난 현재,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 따라 외형적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지만, 평가의 목적을 구현하며 다양한 형태의 평가를 실시하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수학 평가가 지향하는 것은? 최근의 수학 평가는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이나 성취 수준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상대적인 위치를 매기는 전통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교수의 질적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토대로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를 지향하고 있다. 특히 수업과 연계된 평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학습에 대한 정보를 수집, 해석, 활용하여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Swaffield, 2011).
기말고사가 사라지는 변화에도 수학 평가를 학습에 대한 평가로 인식하는 이유는?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외형적인 변화일 뿐, 평가의 대상을 학습의 결과로 보는 평가의 전통적인 관점인 ‘학습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의 인식이 아직도 팽배해있다(김수동, 2011). 총괄평가로 행해지던 평가가 단원평가나 상시평가로 바뀌면서 횟수가 늘고 평가의 시기가 자유로워졌으나, 지필 위주의 평가 방법, 수학 내용 중심의 평가, 학습한 결과에 대한 평가 등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예전의 평가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경기도교육청 (2016). 2016 초등 수행평가 예시자료 : 3-6학년 2학기. 

  2. 고은성, 박민선, 이은정 (2016).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학교수학, 18(1), 61-83. 

  3. 교육부 (2015a). 학생 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교육부 훈령 169. 2016. 04. 05. 

  4.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5. 김도한 외 18명 (2009). 2009년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김민경, 조미경, 조유리 (2012).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소재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63-95. 

  7. 김수동 (2011). 한국과 일본의 수업과 평가의 연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3), 293-318. 

  8. 김영기, 양승욱 (2000).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 현황. 학교수학, 2(2), 509-543. 

  9. 박종서, 박해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초등수학교육, 4(2), 151-163. 

  10. 성태제, 권오남 (1999).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의 과제와 전망. 학교수학, 1(1), 217-234. 

  11.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화,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 (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2. 임시연, 안병곤 (2014). 수학과 과정과 이해 수준을 중심으로 단원 평가 문제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13. 장수진, 김수미 (2014). 수학과 서술형평가 문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기도 교육청 창의서술형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97-318. 

  14.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박미미, 한수연 (2012a).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2(3), 401-427. 

  15.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김구연 (2012b). 과정 중심의 수학교과 평가방안 연구. 한국창의재단 정책연구 2012-1. 

  16.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17.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67-83. 

  18. Morgan, C., & Watson, A. (2002). The interpretative nature of teachers' assessment of students' mathematics: Issues for equ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2), 78-110. 

  19.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20. Watson, A. (2000). Mathematics teachers acting as informal assessors: Practices,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 69-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