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신라 앵무배
A Study on the Nautilus Cup from the Silla Period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in Gyeongju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2, 2019년, pp.1 - 14  

김종우 (국립중앙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 패각류 중 용도가 불명확한 금동제패각장식구(金銅製貝殼裝飾具)에 대한 연구조사이다. 금동제패각장식구로 조사 보고된 이 유물은 조사결과, 이전 발굴유물부터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앵무조개로 만든 잔으로 확인되었다. 암모나이트와 가장 유사한 종으로 알려진 앵무조개는 껍질 표면에 등갈색 방사대와 껍질 안쪽의 격벽, 격벽 중앙에 체관을 가지고 있다. 앵무조개잔[이하 앵무배(鸚鵡杯)로 표기]은 중국에서 제작되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존하는 유물로는 중국 서진 및 동진시기의 무덤에서 발견된 금속으로 장식된 앵무배 3점 뿐이다. 일본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한국에서는 이번 조사를 통해 황남대 총 남분 출토품에서 앵무배를 확인하였다. 본 논고는 연구 조사된 앵무조개의 생물학적 특성 및 국외 발굴 출토사례 및 기초자료를 위한 분석조사를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cavation of the south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in Gyeongju has yielded diverse types of shell artifacts. Among the them, this paper investigated fragments of shell ornaments with gilt-bronze frames, the use of which has not been identified. It was revealed that the artifacts are in fact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고는 금동제패각장식구(금동제 및 금제 앵무배)에 대한 CT, X-ray 등의 비파괴조사 및 X–선 형광분석을 사용하여 기초자료를 조사하였다.
  • 본고에서 한반도 및 중국 출토 앵무배를 비교하고, 한국의 문헌기록과 전래 앵무배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앵무배는 매우 희귀한 문화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동제패각장식구편이 출토되었으나 보고서에 기술되지 않으며 종도 확인되지 않은 이유는?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제패각장식구편은 적석부 내(積石部內)에서 출토(도2a)되었으나 보고서에 따로 장식구편에 대한 내용은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조개의 종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점들은 발굴된 앵무배가 이전 발굴까지 출토되지 않았던 조개과였으며, 파손되어 형태를 확인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경주 황남대총이란? 경주 황남대총은 신라의 왕릉급 돌무지덧널무덤이며, 2개를 연결 축조한 표형분(瓢形墳)이다. 부부합장무덤인 황남대총은 남편무덤인 남분이 선축되고 북분이 남분에 덧붙여 나중에 축조되었다.
앵무조개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표면은 성장맥을 제외하면 매끄럽고 여러 줄의 등갈색 방사상 띠가 있다. 나층(螺層)의 기부가 검어서 앵무새의 부리를 연상 시키는데서 앵무조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내부는 강한 진주광택이 나며, 안쪽으로 오목한 격벽이 30~35개 있어 여러 개의 기방(氣房)으로 나뉘어 있고, 중앙의 가장 오목한 곳에 체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3849&cid40942&categoryId32467. 

  2. e뮤지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7173&cid51293&categoryId51293. 

  3. 장순근, 고대의 해양생물, 해양생물의 세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4.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남대총 남분발굴조사보고서, p46, (1993). 

  5. 南京博物院 徐州博物? ?州市博物?, 江??州煎??西晋墓地M1?掘??, ?掘??, 彩?四, (2018). 

  6. 南京市博物館, 1965, 南京人態台山東晉王興之夫婦墓發掘報告文物 1965-6, 26-33? 

  7. 南京市博物??, http://njsbwgzg.com/en/Antique/antishow/id/99, (2019). 

  8. 이한상, '신라고분 속 외래문문의 조사와 연구', 중앙고고연구 제6호, 중앙문화재연구원, (2010). 

  9. 江 介也. 西寧市 靑海省 ?瓦廠墓の基礎的考察-東晋十六國期における ?域文化動態-, 中國 靑海省 におけるシルクロ?ドの硏究. シルクロ?ド學硏究 Vol. 14. (2002). 

  10. google earth pro 

  11. 한국수산자원공단, https://blog.naver.com/fira_sea/221076626239, (2019). 

  1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