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 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 대한 EEG 신호와 주관적 향기감성 및 선호도
EEG Signal, Subjective Fragrance Sensation, and Preference of Citrus Oil Microcapsule-Loaded Fabric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3 no.2, 2019년, pp.297 - 309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김춘정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 ,  이은주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EEG signal, subjective fragrance sensation, and the preference of differently colored cotton knit treated with Citrus unshiu oil containing microcapsules as well as examined their relationships for providing regression models on subjective fragrance preference. Color varia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초적인 연구결과를 심화 분석하여 감귤 오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 대하여 색상과 색조의 색채 변인을 설정하고 가공 직물의 향기와 색채에 대한 한국 20대 여대생의 EEG 신호의 반응과 주관적 향기감성 평가를 기반으로, 감귤 향기가 부여된 섬유패션소재에 대한 생리적ㆍ심리적 감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색채 특성이 EEG 신호의 생리적 반응과 주관적 향기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생리적 EEG 신호반응과 주관적 향기반응 간의 관계를 토대로 주관적 선호도를 설명하는 회귀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 2012; Lee & Yi, 2013). 또한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로 가공한 편성물의 심리적 쾌적성을 도모하고자. 인간의 향기감성과 전자코로 측정한 향기의 강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Noh et al.
  • , 2018)에 대한 기초 분석결과들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적인 연구결과를 심화 분석하여 감귤 오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에 대하여 색상과 색조의 색채 변인을 설정하고 가공 직물의 향기와 색채에 대한 한국 20대 여대생의 EEG 신호의 반응과 주관적 향기감성 평가를 기반으로, 감귤 향기가 부여된 섬유패션소재에 대한 생리적ㆍ심리적 감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색채 특성이 EEG 신호의 생리적 반응과 주관적 향기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생리적 EEG 신호반응과 주관적 향기반응 간의 관계를 토대로 주관적 선호도를 설명하는 회귀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생리활성 기능성이 확인된 국내 자생감귤의 오일을 담지한 마이크로캡슐로 가공한 면 편성물을 대상으로 생리적 감성 지표인 EEG 신호와 주관적 향기감성을 평가하여, 직물의 색채 특성에 따른 EEG 신호와 주관적 향기감성의 차이 및 EEG 신호와 주관적 향기감성, 향기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나아가 향기선호도를 설명할 수 있는 회귀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파티클에 아로마 오일 등을 봉입하여 섬유에 혼입 방사하거나 직물 표면에 후가공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사례는 무엇인가? 그러나 좀 더 지속성이 있도록 섬유패션소재에 향기를 결합시키는 대표적인 기술은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파티클에 아로마 오일 등을 봉입하여 섬유에 혼입 방사하거나 직물 표면에 후가공하는 방법이다. 이는 코스메틱 텍스타일(Cosmetic Textile),또는 아로마 힐링 텍스타일(Aroma Healing Textile)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는 섬유패션과 코스메틱의 융합 제품에 적용되는 사례가 대표적인데(Cheng et al., 2008),화장품의 생리적 기능성인 보습과 항균, 탄력성 등과 감성ㆍ심리적 요소인 향기, 아로마테라피 등을 섬유패션이라는 입는 형태인 제품에 적용해 오고 있다. 이들 제품들은 주로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활용하므로,천연 염색에 의해 발현되는 색채와 아로마 오일에 의한 향기, 피부 접촉감을 포함한 다양한 감성적 요소가 존재하는 고감성 제품이다.
후각 신경이 다른 뇌 신경과 다른점은? 이는 신경세포들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형성된 전류를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신호로, 정신활동, 지각자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특히, 후각 신경은 다른 뇌 신경과는 달리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시상핵을 거치지 않고 바로 피질로 투사되기 때문에 강력한 자극력을 가져 향의 흡입에 의해서 크게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penter, 1991). 섬유패션소재와 의류 분야에서도 뇌파 측정을 도입하여 소비자의 섬세한 감성을 뇌 신경의 반응으로 정량화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져왔다(Bang & Kim, 2012; Choi et al.
EEG 신호란? , 2018). 뇌파, 즉 EEG 신호는 뇌전도라고도 불리우며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이다. 이는 신경세포들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형성된 전류를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신호로, 정신활동, 지각자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dmaanyambuu, S., & Yi, E. (2016). 직물 색상과 톤이 감귤오일 마이크로캡슐 가공 직물의 향기에 대한 EEG 신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ue and tone on electroencephalogram (EEG) signal of microcapsule-loaded fabrics containing citrus oil].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Spring Conference, Korea, 102. 

  2. Badmaanyambuu, S., Wu, Y., & Yi, E. (2017).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hysiological emotion by EEG signal for fragrant fabrics treated by Citrus unshiu oil microcapsule. Proceeding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otion and Sensibility, China, 60. 

  3. Badmaanyambuu, S., Wu, Y., & Yi, E. (2018).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EEG signals and subjective olfactory sensation by fragrant fabrics treated by Citrus-unshiu oil microcapsule. Paper presented at the 20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IEA 2018), Florence. 

  4. Bang, H. Y., & Kim. H. E. (2012). Assessment of the wearing comfort of clothing for the elderly women by EEG and ECG analy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4(6), 1010-1017. doi:10.5805/KSCI.2012.14.6.1010 

  5. Carpenter, M. B. (1991). Core text of neuroanatomy (4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6. Cheng, S. Y., Yuen, C. W. M., Kan, C. W., & Cheuk, K. K. L. (2008). Development of cosmetic textiles using microencapsulation technology. Research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12(4), 41-51. doi:10.1108/RJTA-12-04-2008-B005 

  7. Choi, D., & Park, Y. (2014). Flavor sensibility study according to liquid color and dens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8(2), 27-35. doi:10.17289/jkscs.28.2.201405.27 

  8. Choi, J., Kim, N., Wu, Y., & Hong, K. (2014). Effects of 3D compression suits on EEG analysis during and after walk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4), 440-454. doi:10.5850/JKSCT.2014.38.4.440 

  9. Dematte, M. L., Sanabria, D., Sugarman, R., & Spence, C. (2006). Cross-modal interactions between olfaction and touch. Chemical Senses, 31(4), 291-300. doi:10.1093/chemse/bjj031 

  10. Green, B. G., Dalton, P., Cowart, B., Shaffer, G., Rankin, K., & Higgins, J. (1996). Evaluating the ‘Labeled Magnitude Scale’ for measuring sensations of taste and smell. Chemical Senses, 21(3), 323-334. doi:10.1093/chemse/21.3.323 

  11. Green, B. G., Shaffer, G. S., & Gilmore, M. M. (1993).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a semantic scale of oral sensation magnitude with apparent ratio properties. Chemical Senses, 18(6), 683-702. doi:10.1093/chemse/18.6.683 

  12. Hyon, J.-S., Kang, S.-M., Senevirathne, M., Koh, W.-J., Yang, T.-S., Oh, M.-C., & Kim, S.-H.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 unshiu pe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 1-7. doi:10.3746/jkfn.2010.39.1.001 

  13. Jo, C., Park, B. J., Chung, S. H., Kim, C. B., Cha, B. S., & Byun, M. W. (2004).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citrus (Citrus unshiu)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peel by-product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3(3), 384-386. 

  14. Kemp, S. E., & Gilbert, A. N. (1997). Odor intensity and color lightness are correlated sensory dimens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10(1), 35-46. doi:10.2307/1423699 

  15. Kim, D. H., Kim, T. Y., Seo, G., Lee, S. H., & Chung, I. H. (2015).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 and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4), 529-544. doi:10.5850/JKSCT.2015.39.4.529 

  16. Kim, J., Seo, J., Kim, H. D., & Lee, J. S. (2006). Quantitative assessment of perfumed finishing textiles: A sensory engineering approach.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3(6), 334-338. 

  1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June 30). KS A 0011 Names of non - luminous object colours.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s. Retrieved from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oKSA0011&tmprKsNoKSA0011&reformNo13 

  18. Kweon, S.-A., Lee, E.-K., & Choi, J. M. (2005). Assessment of subjective preference and sensibility structure of fabric softner odor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8(2), 129-135. 

  19. Laparra-Hernandez, J., Belda-Lois, J. M., Medina, E., Campos, N., & Poveda, R. (2009). EMG and GSR signals for evaluating user's perception of different types of ceramic floo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9(2), 326-332. doi:10.1016/j.ergon.2008.02.011 

  20. Lee, A. R., Han, C. H., & Yi, E. (201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lamine-formaldehyde microcapsules containing Citrus unshiu essential oil. Fibers and Polymers, 15(1), 35-40. doi:10.1007/s12221-014-0035-0 

  21. Lee, A. R., Sarmandakh, B., & Yi, E. (2012). Mechanical properties, comfort, and bio-function of PLA knits treated with microcapsules of Citrus Unshiu's essential oil.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9(3), 181-188. 

  22. Lee, A. R., & Yi, E. (2013). Investigating performance of cotton and lyocell knit treated with microcapsules containing Citrus unshiu oil. Fibers and Polymers, 14(12), 2088-2096. doi:10.1007/s12221-013-2088-x 

  23. Lee, H., Kim, S., Kim, K., & Hong, K. (2017). Brain waves evoked by the changes of background pastel colors with a pattern of achromatic col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5), 653-660. doi:10.5805/SFTI.2017.19.5.653 

  24. Lee, M., Kim, C., Sarmandakh, B., Cho, G., & Yi, E. (2018). Electroencephalogram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fragrance and color of Citrus unshiu scent-infused fabrics. Fibers and Polymers, 19(7), 1548-1555. doi:10.1007/s12221-018-8228-6 

  25. Lee, S.-J., & Lee, T.-I.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electroencephalogram of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 materials by useing the Nano Sil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6), 810-814. 

  26. Liu, Y., Tovia, F., Balasubramian, K., Pierce Jr, J. D., & Dugan, J. (2008). Scent infused textiles to enhance consumer experiences. Journal of Industrial Textiles, 37(3), 263-274. doi:10.1177/1528083707083791 

  27. Miura, K., & Saito, M. (2012). Harmonious color model with fragrance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7(3), 219-232. doi:10.1002/col.20678 

  28. Noh, B., Badmaanyambuu, S., & Yi, E. (2016). Fragrance characteristics of cotton knits treated with microcapsule containing Citrus unshiu oil-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subjective sensation-.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53(3), 143-150. doi:10.12772/TSE.2016.53.143 

  29. Park, H.-L., & Cho, G.-S. (2015). Healing effect assessment by the autonomic nervous responses using the aromatreated fabric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8(2), 19-30. doi:10.14695/KJSOS.2015.18.2.19 

  30. Schifferstein, H. N. J., & Tanudjaja, I. (2004). Visualising fragrances through colour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s. Perception, 33(10), 1249-1266. doi:10.1068/p5132 

  31. Silva, C. A. P., & Mazzilli, C. S. (2014). The colors of the smells: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society in the visual design of packaging of perfume. Proceedings of 9th International Committee od Design History and Design Studies, Aveiro, 1(5), 373-378. doi:10.5151/despro-icdhs2014-0051 

  32. Wang, C. X., & Chen, Sh. L. (2005). Fragrance-release property of ${\beta}$ -cyclodextrin inclusion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 in aromatherapy. Journal of Industrial Textiles, 34(3), 157-166. doi:10.1177/1528083705049050 

  33. Woo, S., & Cho, G. (2003).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6(2), 37-47. 

  34. Yoh, E., & Lee, K.-H. (2010). The effect of clothing interest and fashion innovativeness on olfaction of apparel produ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1033-1041. doi:10.5850/JKSCT.2010.34.6.1033 

  35. Zellner, D. A. (2013). Color-odor interactions: A review and model. Chemosensory Perception, 6(4), 155-169. doi:10.1007/s12078-013-9154-z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