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정산(대구)의 관속식물상 연구
Flora of Mt. Choejeong (Daegu)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2, 2019년, pp.170 - 200  

전민지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은미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선미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배종우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나명우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황유진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수미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창면 최정산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조사가 수행되었고,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04과, 297속, 495종, 4아종, 51변종, 11품종을 포함하여 560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특산식물 15분류군, 희귀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 4분류군, 적색목록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3분류군, 미평가종(Not Evaluated)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4분류군; V등급종 1분류군, IV등급종 5분류군, III등급종 10분류군, II등급종 12분류군, I등급종 26분류군,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최정산 총 출현 종 수 대비 각 특이종의 비율은 앞의 표로 나타내었다(Table 3). 용도별 구성은 식용식물 246분류군(29.2%), 약용식물이 228분류군(27.1%), 관상용물 164분류군(19.5%), 목재용식물 61분류군(7.2%), 목초용식물 28분류군(3.3%), 공업용식물 13분류군(1.5%), 그리고 섬유용식물 8분류군(0.9%)으로 나타났다. Oh (1971)의 선행연구와 귀화식물 목록 비교 결과 28분류군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산악자전거 도로 등으로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으로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더 잦아진 결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현재 자생하고 있는 식물들의 서식지에 위협이 될 우려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Choejeong in Gachang-myeon, Daegu. From March 2017 to October 2018, a total of 22 studies were conducted.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grouped into 560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7 genera, 495 species, 4 subspecies, 51 v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창면 최정산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조사가 수행되었고,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04과, 297속, 495종, 4아종, 51변종, 11품종을 포함하여 560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 최정산의 식물상 조사는 Oh (1971)가 639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후 47년 동안 추가적인 조사가 없었으며 차량을 이용하는 탐방객의 방문이 늘어나 식물상의 변화가 있을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에 최정산의 관속식물 현황과 주요 식물들의 자생지 분포를 파악하여, 유용성에 따른 분류를 통한 자생식물 자원 및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조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정산은 무엇인가? 최정산은 행정구역상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속하며, 북위 35° 48’ 9.737’’, 동경 128° 37’ 22.165’’에 위치하고, 해발고도 915m의 태백산맥을 구성하는 산으로 대구광역시와 청도군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Park and Choi, 1997). 최정산의 정상부에는 군사보호시설이 있어 임도가 건설되어 있으며, 차량을 이용해 정상부까지 쉽게 오를 수 있어 탐방객의 방문이 빈번한 지역이다.
세뿔투구꽃은 어떠한 장소에 분포하고 있는가? 세뿔투구꽃은 청량산과 지리산을 중심으로 경북 봉화, 구미, 대구, 경남 창원, 전북 장수, 전남 순천, 광양에 분포하는 식물로 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운흥사 입구에서 정상부로 가는 길목과 대구미술광장에서 운흥사 입구로 가는 도로변에서 각각 군락지를 발견하였다. 
최정산의 식물상 조사를 하게 된 이유는? 최정산의 식물상 조사는 Oh (1971)가 639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후 47년 동안 추가적인 조사가 없었으며 차량을 이용하는 탐방객의 방문이 늘어나 식물상의 변화가 있을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에 최정산의 관속식물 현황과 주요 식물들의 자생지 분포를 파악하여, 유용성에 따른 분류를 통한 자생식물 자원 및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조사를 수행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B.S., D.Y. Song, C.G. Kim, B.H. Song, S.H. Woo and C.W. Lee. 2010.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in Kor. J. Weed Sci. 30(1):34-42 (in Korean). 

  2. Choung, Y.S., W.T. Lee, K.H. Cho, K.Y. Joo, B.M. Min, J.O. Hyun, K.S. Lee, K.E. Lee and A. Seo. 2015.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J. Ecol. Environ. 38(4):541-544 (in Korean). 

  3. Cronquist, A. and A Takhtadzhian.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4. Han, D.W. and H.R. Na,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rataxonomists and J.H. Hyun. 2018.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Korean J. Plant Res. 31(2):162-194 (in Korean). 

  5. Kim. B.H. and K.J. Lee. 2000. Change of plant community after road construction - case study on seongsamjae road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2):127-138. 

  6. Kim, H.J., D.S. Kim, K.S. Oh, Y.D. Lee, S.Y. Lee, H.J. Lee. and D.E. Kim. 2017. The Distribution of the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Applica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L. on Jeju Island.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35(4):437-445 (in Korean). 

  7.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2012. Endemic plants list. from http://species.nibr.go.kr. 

  9. Korea Forest Service. 2015. Rare Plants list. from http://www.forest.go.kr.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1-2010. Meteorological information. from http://www.kma.go.kr.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20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guide ; Naturalized Plants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n, Korea (in Korean). 

  13.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Roh, J.A. Lim, J.E. Han. and J.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in Korean). 

  1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16. Lee, W.T. 1996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567 (in Korean). 

  17.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mdemy Press, Seoul, Korea. p. 1688 (in Korean). 

  18.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19.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I). Gyohaksa, Seoul, Korea. p. 975 (in Korean). 

  20.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II). Gyohaksa, Seoul, Korea. p. 885 (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A Criteria of Endangered Species Appointed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Red Data Book.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214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ment Research, Incheon, Korea. pp. 173-226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a. Endemic Species of Korea. Geobook, Incheon, Korea. pp. 318-415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b. Useful plants information. from https://species.nibr.go.kr/index.do 

  25. Oh, S.Y. 1971. Report on the Vegetation of Mt. Choe - Jeong - An Investigation of Kyeong - Buk Flora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ny 3(1):42-56 (in Korean). 

  26. Park, J.H. and K. Choi. 1997. Flora of Mt. Biseulsan (Deagu Dalseong) and nearby mountains. The Korean Journal of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27.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5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