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 의식의 결정 요인으로서 핵심 안전 성향
Core Safety Disposition as a Cause of Safety Consciousnes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6, 2019년, pp.58 - 64  

박영석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정지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decades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es that examines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to safety outcomes. After briefly revie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dispositions and safety outcomes, we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2 samples of 1,102 par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안전 관련 연구들에서 안전성과로 논의되었던 안전행동, 불안전행동, 사고 및 상해와 같은 세부적 수준의 측정변인들을 ‘안전의식’ 이라는 하나의 잠재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안전의 식을 잘 예측할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성향 변인들을 탐구하여 ‘핵심 안전성향’이라는 하나의 잠재변인으로 상정한다. 구조모형의 분석을 통해 두 잠재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세부적인 측정변인 보다 잠재변인간의 관계로 안전성향과 안전성과의 관계를 더 강력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를 보완하여 모델의 재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핵심 안전 성향으로 채택된 성향이 대상을 달리한 경우에도 일반화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산업장면에서 보다 충분한 자료가 수집되면 업종별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관찰된 네 가지 성향이 여전히 핵심 안전 성향으로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개인 성향과 안전성과의 관계를 측정변인 수준에서 검토하는 것보다 잠재변인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보다 포괄적이고 단순하며 예측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특히 여러 안전성향 중에서 가장 유효한 것들의 집합인 핵심 안전성향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안전성과를 예측한다고 밝혀진 여러 개인 성향 변인 중, 성실성, 숙달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우울의 네 가지로 구성되는 핵심 안전성향이 안전성과를 가장 적합하게 예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인지적 특성인 인지실패가 일어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인지실패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으로, 과제에서 나타 나는 인지 기능과 관련된 실수를 말한다20). 인지실패는 보통 선택적 주의 부족, 정신적 실수, 주의 산만과 같은 잘못된 인지 및 주의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인지실패의 결함은 안전사고로 이어진다1-2,21).
성취목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접근목표와 회피목표는 인간의 행동이 성공을 추구하는 방향 혹은 실패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고 본다.이러한 2×2 구조에 따라 성취목표는 숙달접근, 수행접근, 숙달회피, 수행회피 목표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안전행동과의 관련성을 다룬 연구에서 숙달접근 및 수행접근 지향성이 높으면 안전행동을 많이 하고,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 지향성이 높으면 불안전 행동을 많이 한다.
성취목표지향성은 무엇인가?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동기 특성 으로 다루어져 왔다. 성취목표지향성은 성취와 관련된 행동의 이유와 목적으로 정의 된다14). 개인이 어떤 목표를 추구하느냐에 따라 특정 사건에 반응하고 행동하는 방식이 달라지며15), 성취와 관련된 과정과 결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 Y. Lee, "The Interacting Effects of Cognitive Failure, Consciousness and Job Stress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9, No. 3, pp. 475-497, 2006. 

  2. J. C. Wallace and S. J. Vodanovich, "Workplace Safety Performance: Conscientiousness, Cognitive Failure, and Their Interac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8, No. 4, pp. 316-327, 2003. 

  3. M. S. Christian, J. C. Bradley, J. C. Wallace and M. J. Burke, "Workplace Safety: A Meta-Analysis of the Roles of Person and Situation Fact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4, No. 5, pp. 1103-1127, 2009. 

  4. J. B. Henning, C. J. Stufft, S. C. Payne and M. E. Bergma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Organizational Safety Attitudes", Safety Science, Vol. 47, No. 3, pp. 337-345, 2009. 

  5. J. M. Beus, L. Y Dhanani and M. A. McCord,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and Workplace Safety: Addressing Unanswered Ques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100, No. 2, pp. 481-498, 2015. 

  6. Arthur and W. G. Graziano, “The Five-factor Model, Conscientiousness and Driving Accident Invol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Vol. 63, No. 3, pp. 593-618, 1996. 

  7. L. Seilbokaite and A. Endriulaitiene, "The Role of Personality Traits, Work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in Risky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rofessional Driver", Baltic Journal of Management, Vol. 7, No. 1, pp. 103-118, 2012. 

  8. S. Clarke and I. T. Robertson,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cident Involvement in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Setting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8, pp. 355-376, 2005. 

  9. D. F. Cellar, Z. C. Nelson, C. M. Yorke and C. Bauer, "The Five-factor Model and Safety in the Workplac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Accident Involvement",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Vol. 22, No. 1, pp. 43-52, 2001. 

  10. D. A. Harrison, D. A. Newman and P. L. Roth, "How Important are Job Attitudes? Meta-analytic Comparisons of Integrative Behavioral Outcomes and Time Sequence",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9, No. 2, pp. 305-325, 2006. 

  11. J. B. Rotter,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54. 

  12. R. E Mayer and J. R. Treat, "Psychological, Soci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igh Risk Drivers: A Pilot Study",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9, No. 1, pp. 1-8, 1997. 

  13. J. W. Ju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Predicting Safety Performance: The Case of Railroad Officials Accident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3, No. 1, pp. 41-60, 2000. 

  14. M. L. Maehr, "Thoughts about Motivation. In. C. Ames & R. Ames(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Goals and Cognition, Vol. 3, pp. 299-315. New York: Academic Press, 1989. 

  15. A. J. Elliot and C. S. Dweck,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4, No. 1, pp. 5-12, 1988. 

  16. J. H. Jung and Y. S. Park ,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7, No. 2, pp. 367-388, 2014. 

  1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18. S. Y. Lim, K. M. Kwon, Y. K. Jeong and K.S. Han, "Comparison to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between Nursing Student and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Korea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18, No. 2, pp. 119-124, 2010. 

  19. C. H. Ro, T. H. Shin, M. K. Park and S. H. Ku,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ailure, Mistakes, and Accidents of the Train Driver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5, No. 4, pp. 81-88, 2013. 

  20. J. Wallace, S. Kass and C. Stanny, "The Cognitive Failure Questionnaire Revisited: Dimensions and Correlates",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 12, No. 3, pp. 238-256, 2002. 

  21. C. P. Hansen, "A Causal Model of the Relationship among Accidents, Biodata, Personality and Cognitive Failure Fact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4, No. 1, pp. 81-90, 1989. 

  22. A. P. Brief and H.M. Weiss, "Organizational Behavior: Affect in the Workpla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3, pp. 279-307, 2002. 

  23. M. J. Kwon and Y. T. O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the Driver's Negative Emotion and Driving Behavior Based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3, pp. 207-217, 2014. 

  24. W. W. Heinrich,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ill, New York, 1931. 

  25. F. Bird, "Management Guide to Loss Control", Atlanta, GA: Institute Press, 1974. 

  26. J. T. Reason, "Human Erro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7. S. J. Park, S. C. Lee and J. S. Um, "The Effects of Aberrant and Positive Driving Behaviors on Crashes: Path Models Analysi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0, pp. 21-41, 2007. 

  28. Y. S. Park, "The Development of Safety Psychology Coaching Program", KOSAH, Research Report, 2011. 

  29. J. Barling, C. Loughlin and E. K. Kelloway, "Development and Test a Model Linking Safety-specif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cupational Safe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pp. 488-496, 2002. 

  30. L. R. Goldberg, "A Broad-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In. I. Mervielde, I. Deary, F. De Fruyt, & F. Ostendorf(Ed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Tilburg, The Netherlands: Tilbug University Press, Vol. 7, pp. 7-28, 1999. 

  31. J. H. Cha, J. J. Kong and C. S. Kim, "Creating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 Research note, Vol. 2, pp. 263-271, 1973. 

  32. M. S. Sung and Y. S. Park, "Validity of 2x2 Achievement Goal Structure in Corporate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8, No. 1, pp. 97-117, 2005. 

  33. D. E. Broadbent, P. E. Cooper, P. FitzGerald and K. R. Parkes, "The Cognitive Failure Questionnaire(CFQ) and its Correlat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1, pp. 1-16, 1982. 

  34. I. J. Park and K. H . Min, "Making a List of Korean Emotion Terms and Exploring Dimensions Underlying Them",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9, No. 1, pp. 109-129, 2005. 

  35. W. J. Yang, "A Study on the Fatigue Investigation Program for Marine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4, No. 1, pp. 77-82, 2008. 

  36. J. H. You, S. J. Lee and H. K. Lee, "The Influence of an Individual's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Work-related Burnout Experience : The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or to Experience Burnout Feeling",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1, No. 1, pp. 23-52, 19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