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의 안전행동에 따른 연구원의 안전의식 수준 및 안전문화 향상정도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Researcher's Safety Ethnic Level and Improvement Extent of Safety Culture, Based on Organizational Safety Effort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3, 2015년, pp.123 - 134  

이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박창복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윤여송 (한국기술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study objectives. First, effects of safety awareness level of lab researchers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in the organization Second, effects of organizational safety behaviors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Third, test of mediating 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실 안전은 인도주의적 차원뿐만 아니라 연구 및 기술 개발전략과 국가적 인재 보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안전 사고를 막는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적 차원의 안전행동 노력이 안전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개인적 차원의 안전의식 수준 향상이 안전문화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적 차원의 안전행동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여 이것을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 환경의 안전을 위한 기업 내 화학업종 실험실 연구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 수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연구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연구실 안전은 인도주의적 차원뿐만 아니라 연구 및 기술 개발전략과 국가적 인재 보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안전 사고를 막는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업종에 종사하는 연구원의 안전의식 수준이 조직 내 안전문화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안전의식수준과 안전문화 향상과의 관계에서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원의 안전의식 수준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 내 안전문화의 향상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동시에 안전행동이 안전문화 향상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연구원의 안전의식 수준과 조직 내 안전문화 향상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모형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얼마인가? 최근 화학사고로 인한 인적, 사회적 손실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2013년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9조 2000억원에 달한다1). 고용노동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3년 기준으로 근로자 1만명당 산재 사망자 수가 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WIN을 활용한 분석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통해 주요 변수들에 대한 응답자의 의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용된 척도 질문지의 타당성을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안전문화의 개념은 어떻게 확립되었는가? 인적요인에 의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원인분석 연구로 재해율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요인과 조직적 차원에서의 요인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안전문화의 개념은 1991년의INSAG-4에서 ‘안전문화(Safety Culture)’라는 책자가 IAEA에 의해 발간되면서 공식적으로 안전문화의 개념이 확립되었다2). 안전문화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의 필요성에 관한 선행연구인 Clarke3)에서 조직 내 내재되어 있는 안전에 관한 기본 가치, 신념, 전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Compensation Policy Station, "Industrial Accident Tracking Analysi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2. International Relations Team, "Internationa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s", KOSHA, 2011. 

  3. S. G. Clarke, "Safety Culture: Underspecified and Operate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 Vol.9, No.1, pp. 65-90, 2000. 

  4. E. D. Gang, "Study on the Employer's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6. 

  5. K. H. Park,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fety Culture :Focused on Industrial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1. 

  6. J. M. Bae,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Hannarae, pp. 38-40, 2012. 

  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nal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 No. 3, pp. 6-13, 1986. 

  8. C. H. Ro, T. H. Shin, Y. M. Lee, S. H. Gu and S. T. Kim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afety Climates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Focused on the Metro Train Driver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27, No. 4, pp. 5-7, 2014. 

  9. H. S. Ahn, S. S. Go and C. S.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2, No. 12, pp. 7-12, 1996. 

  10. S. H. An and Z. Zhang "Improving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4, No. 5, pp. 454-455, 2014. 

  11. H. C. Lee, S. K. Yeo and S. S. Go "A Study on the Improving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Lab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9, No. 3, pp 57-5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