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향상을 위한 융합형 미숫가루 음용 섭취 프로그램 개발 예비 조사
The Effects of Misutkaru Water Drink on Relieving Constipation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Misutkaru Water Drink Intake Program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40 - 47  

신나연 (분당차병원 간호국) ,  박효선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정도를 파악하고, 미숫가루가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S시 소재 종합 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에게 미숫가루 30g을 복용하게 하고 변비 사정 척도 점수와 혈청 Potassium, Phosphorus을 측정하였다. 변비 사정 척도 점수는 실험군이 4.5점, 대조군이 6.5점으로 두 집단 모두 점수가 낮아졌다(z=-2.66, p=.002). Potassium은 실험군이 4.9mmol/l, 대조군이 4.7mmol/l 이었고(z=0.91, p=.960). 혈청 Phosphorus점수는 실험군이 5.3mg/dl, 대조군이 4.7mg/dl 이었으나 (z=0.45, p=.540)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미숫가루 음용은 혈액 투석환자의 변비 완화를 위한 적절한 간호 중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미숫가루 음용 섭취를 통해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간호 중재의 적극인 활용이 임상 실무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misutkaru water drink intake program tha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effects of misutkaru drink on relieving constipation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on relieving constipation of the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미숫가루 음용은 약물적 치료 없이 간호 중재로 용이하게 이행할 수 있고,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재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가 개선되도록 영양 관리와 간호 중재를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조사를 시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미숫가루 음용 섭취가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의 변비,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숫가루 음용 섭취에 따른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미숫가루 음용 섭취는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에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검증되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개선을 위한 융합형 미숫가루 섭취 음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숫가루 음용 섭취 후 변비, 혈청 Potassium 및 혈청 Phosphorus 미치는 효과를 관찰함으로써 혈액 투석 환자의 간호 중재 효과를 모색하고 임상 실무 및 간호 교육과 관련된 전략을 탐색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NKF-DOQI 가이드라인[19]에서 제시한 생리적 지표 중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한 칼륨, 인의 수치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개선을 위한 융합형 미숫가루 섭취 음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숫가루 음용 섭취 후 변비, 혈청 Potassium 및 혈청 Phosphorus 미치는 효과를 관찰함으로써 혈액 투석 환자의 간호 중재 효과를 모색하고 임상 실무 및 간호 교육과 관련된 전략을 탐색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숫가루 음용 섭취가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의 변비,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숫가루 30g을 물 200cc와 함께 아침 공복에 복용하게 하여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향상을 위한 미숫가루 음용 섭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숫가루 음용 섭취에 대한 생리적 지표인 혈청 Potassium 및 혈청 Phosphorus을 측정하였지만, 효과를 확인하는 가설 2는 기각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 환자의 수는?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 환자는 인구 백만 명당 2,000명 정도로 10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났으며 신 대체요법 중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의 비율은 74%이다[1]. 의료 및 과학기술의 발달로 개개인의 삶의 질은 크게 향상되고 생활양식이 급속히 편리해진 반면, 만성질환이 급증하면서 쉽게 치유되지 않는 많은 합병증이 유발되고 있다.
의료 및 과학기술의 발달이 개개인의 삶이 미친 영향은?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 환자는 인구 백만 명당 2,000명 정도로 10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났으며 신 대체요법 중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의 비율은 74%이다[1]. 의료 및 과학기술의 발달로 개개인의 삶의 질은 크게 향상되고 생활양식이 급속히 편리해진 반면, 만성질환이 급증하면서 쉽게 치유되지 않는 많은 합병증이 유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만성 질환은 일생동안 지속적인 관리를 요한다[2].
신부전 관련 만성질환이 급증하면서 쉽게 치유되지 않는 많은 합병증 중 대표적인 것은? 신대체 요법으로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있는데, 이 중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의 주요 치료법 중 다빈도로 적용되는 치료법으로, 염분 배설의 조절 및 전해질의 평형을 유지하는 조절 기능과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는 배설 기능과 수분을 대체하는 요법으로 장기간의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안전한 대체요법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혈액투석 치료는 평생 받아야 하는 대증요법으 로, 고칼륨혈증에 대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엄격한 수분 제한과 투석을 통한 체내 노폐물 및 체액의 제거 등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배변의 불편감과 변비를 경험하게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SRD Registry Committe (2018).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1-24. 

  2. S. M. Lim, K. M. Lee & N. Y. Shin.(2018). A study on the self management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according to their ag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3), 363-370. 

  3. N. H. Lee & K. H. Lim. (2018). Factors affecting hyperphosphat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6), 599-610. 

  4. M. H. Sung, S. J. Park & O. B. Eum. (2008). Th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on relieving constipation of the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3), 37-46. 

  5. I. K. Sung. (2008). Review: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1(1), 4-10. 

  6. J. E. Shin. (2018).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Focused on oral laxativ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1(1), 57-61. 

  7. E. Acar, H. S. Cicek, S. Kilic & N. Tosun. (2016).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requirements of the intensive care nurses in end-stage renal failure patients' care. Balkan Military Medical Review, 19(1). 

  8. A. Lee, K. Lambert, P. Byrne & M. Lonergan. (2016). Prevalence of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kidney disease. Journal of Renal Care, 42(3), 144-149. 

  9. C. I. Ramos, A. F. de Lima, D. G. Grilli & L. Cuppari. (2015). The short-term effects of olive oil and flaxseed oil for the treatment of constip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Renal Nutrition, 25(1), 50-56. 

  10. R. Dong, Z. Y. Guo, J. R. Ding, Y. Y. Zhou & H. Wu. (2014). Gastrointestinal symptoms: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and hemodialysi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WJG, 20(32), 11370. 

  11. R. Ikee, T. Toyoyama, T. Endo, T. Tsunoda & N. Hashimoto. (2016).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nstip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48(10), 1741-1742. 

  12. M. Bossola, G. Luciani, F. Rosa & L. Tazza. (2011). Appetit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Renal Nutrition, 21(6), 448-454. 

  13. G. Castledine, M. Grainger, N. Wood & C. Dilley. (2007). Researching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long-term care: Part 1. British Journal of Nursing, 16(18), 1128-1131. 

  14. E. K. Kim. (2010). Effects of lees from brown rice on waist circumference and metabolic parameters in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Masters'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16. M. H. Kim & J. H. Surh. (2018).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preferences of US resident-Friendly Sunsik.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34(5), 484-492. 

  17. J. J. Lee, J. M. Kim & Y. R. Kim. (2013). Association of diet-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hemodialysi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6(2), 137-146. 

  18. S. C. Mc Millan & F. A. Williams. (198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Cancer Nursing, 12(3), 183-188. 

  19. KDOQI. (2007).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9(2 Suppl 2), S12-S154. 

  20. Y. S. Bang, E. H. Jang & H. J. Chung. (2017).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sunsik products with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9(5), 513-518. 

  21. J. S. Lee, A. R. Kim, H. K. Nam, M. O. Kyung, S. E. Jo & M. J. Chang. (2017). Effect of xylobiose-sugar mixture on defecation frequency and symptoms in young women with constipation. Journal of Nutrition of Heath, 50(1), 41-52. 

  22. S. H. Park & K. O. Cha. (2016). Oriental and western food effects analysis of misutgaru for fusion remedy on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7(1), 137-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