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 차이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86 - 94  

오윤정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김향동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358명의 자료를 SPSS 18로 기술통계, ${\chi}^2$ test, t-test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군은 97명(27.0%), 일반 사용자군은 261명(72.9%) 이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군이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모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학업스트레스 정도는 더욱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예측요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인 경우에는 매일 스마트폰 사용시간(${\beta}=.29.4$)이, 일반 사용자군은 학업스트레스(${\beta}=.298$)가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 이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맞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358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ive mi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스마프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맞는 예방과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파 하고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적합한 예방 및 관리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파악하고 대상자를 중독 위험자군(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으로 구별하여 일반적 특성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예측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맞는 중독 예방및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6-10]들의 대부분은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과 상관없이 청소년 모든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를 분석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스마 트폰에 대한 집착과 갈망을 보이고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채우기 위해 사용시간이 점점 늘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온라인상의 관계를 추구하며 그로 인해 일상생활이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2].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 정체감 확립에 장애요인이 될 수있고,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거북목 증후군과 손목터널 증후군으로 인한 통증 등과 같은 신체적 손상과 수면의 질과 집중력 저하, 불안, 우울 및 공격성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3,4]. 또한 학업에 집중할 수가 없고,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료로 인해 경제적 문제를 유발하여 부모와의 갈등과 교사와의 충돌 및 친구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3].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스마 트폰에 대한 집착과 갈망을 보이고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채우기 위해 사용시간이 점점 늘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온라인상의 관계를 추구하며 그로 인해 일상생활이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2].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 정체감 확립에 장애요인이 될 수있고,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거북목 증후군과 손목터널 증후군으로 인한 통증 등과 같은 신체적 손상과 수면의 질과 집중력 저하, 불안, 우울 및 공격성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3,4].
부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 적이거나 부정적일 때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7,13].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스트 레스로 작용하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위안을 얻기 위해 인터넷과 같은 가상공간에 있는 시간이 증가되며 결국 에는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7,13].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가 제재적이거나 거부적이고, 방임적인 경우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높아진다[6,7,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W. Ju, G. N. Lee, Y. J. Choi & E. J. Yoon. (2018). Internet usage survey in 2017. Naju: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 K. W. Shin, D. I. Kim & Y. J. Jeong.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Report No: NIAIV-RER-11051. 

  3. S. J. Lee & H. J. Moon. (2013). Effects of delf contro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6), 587-598. 

  4. H. J. Park & E. S. Choi. (2017).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8(3), 280-290. DOI : 10.12799/jkachn.2017.28.3.280 

  5. K. A. Jung & B. W. Kim. (2015).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299-308. DOI : 10.14400/JDC.2015.13.2.299 

  6. D. S. Mun & E. S. Choi. (2015).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delf- 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0), 213-236. 

  7. C. R. Nho & S. Y. Kim. (2016).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aggression. Studies on Korean Youth, 27(4), 87-114. DOI : 10.14816/sky.2016.27.4.87 

  8. K. H. Kim & S. Y. Roh. (2016). Th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adolesc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582-590. DOI : 10.5762/KAIS.2016.17.3.582 

  9. D. H. Kim, Y. J. Park, & J. W. Jang. (2017). The study on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related to academic stres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7, 67-89. 

  10. I. O. Kim & S. H. Shin. (2016). Effects of academic str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5(3), 262-271. DOI : 10.12934/jkpmhn.2016.25.3.262 

  11. I. K. Jung & J. H. Kim. (2017).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n smartphone addiction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8(2), 289-300. DOI : 10.7856/kjcls.2017.28.2.289 

  12. E. M. Park & K. H. Park. (2014).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impul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ther and mother 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3), 529-547. DOI : 10.13049/kfwa.2014.19.3.529 

  13. K. S. Kim, K. S. Shin, & H. M. Lee. (2017).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time of converg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or attachment.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7(4), 139-149. DOI : 10.22156/CS4SMB.2017.7.4.139 

  14. J. A. Lim & M. S. Kim. (2018).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impul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395-405. DOI : 10.14400/JDC.2018.16.3.395 

  15. M. H. Oh & S. M. Chun. (1994). Analysis of academic stressors and symptoms of juveniles and effects of medication training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15, 63-95. 

  16. M. Y. Huh. (2004).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2(2), 170-189. 

  17. J. K. Kim, H. J. Bae, H. J. Lim, & G. O. Lee. (2010).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8. E. J.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era of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177-183. DOI : 10.15207/JKCS.2017.8.8.177 

  19. E. J. Lee, Y. K. Kim & S. J. Lim. (2017).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4), 525-533. DOI : 10.4094/chnr.2017.23.4.525 

  20. H .M. Kim & S. H. Shin. (2015). Comparison of gender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4(3), 145-155. DOI : 10.12934/jkpmhn.2015.24.3.145 

  21. S. J. Ju & S. S. Cho. (2015).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youth'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 mother's authoritarianism-rearing attitudes. Journal of Youth Welfare, 17(1), 97-118. 

  22. G. Y. Park. (2018). Analysis of dispersion state and incident characteristics during walking. Samsung Traffic Research Institute. http://sts.samsungfire.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