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와 부모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 불안의 매개효과
A Convergence of Effects in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l Relationship on Suicidal Ide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137 - 146  

장인자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박경남 (한세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문제 중 하나는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파괴하는 자살이다. 특히 자살생각은 자살로 이어지고 연령도 낮어져 초등학생도 자살생각을 생각하고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부모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있어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273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부모관계, 불안 및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불안은 또래관계와 자살생각 간에 있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들의 불안은 부모관계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 하고 있다. 즉,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해 불안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al relationships on suicidal ide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273 students in grades 4-6 of elementary school are examined for path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살생각과 관련한 개인 내적인 심리적 특성으로는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사회적지지 등의 선행연구가 있으나[1-3], 본 연구에서는 불안이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한다는 여러 연구를 볼 때[6-8], 아동의 불안도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불안을 매개변인으로 탐색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라 이에 대해 밝히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환경 변인의 부모자녀 관계 및 학교 환경변인의 친구관계와 심리적 특성인 불안과의 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불안의 관련변인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모형은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와 부모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은 Baron & Kenny[32]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부모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래관계와 부모관계,자살생각 사이에서 불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해보는 것이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Model 2는 Model 1에 통제하고 또래관계와 부모관계 변수를 투입하여 자살생각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Model 3에서는 Model 2를 통제하고 불안 변수를 투입하여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영향력을 살펴보기에 앞서 독립변수 간에 유발될 수 있는 다중공선성이 발생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공차한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공차한계값은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부모관계 및 또래관계는 자살생각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며, 또한 부모관계 및 또래관계와자살생각 간의불안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환경 변인의 부모자녀 관계 및 학교 환경변인의 친구관계와 심리적 특성인 불안과의 관계를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불안의 관련변인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관계 및 또래관계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이란? 오늘날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문제 중 하나는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파괴하는 자살이다. 자살은 아동 및 청소년, 성인과 노인 등 전 연령층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지만, 이러한 자살이 연령적으로 점점 더 낮아지는 추세에 있다.
초등학생의 자살생각과 불안의 매개효과와의 관계는? 위에서 살펴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직·간접경로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전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초등학생들의 자살생각은 부모관계, 불안이 개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부모관계 및 또래관계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인 불안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도 의미 있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의 자살의 주요 원인은? 이렇게 불안한 아동은 또래 아이들보다 친구를 원활하게 많이 사귀지 못하며, 한정된 소수의 친구만을 사귀므로 다른 아이들처럼 친구들과 원활히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한 불안은 여러 가지 신체증상, 즉 피로 및 권태감이나 극심한 무력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가출 및 자살과 비행 등의 문제행동이나 부적응을 유발하게 된다[24]. 조사에 의하면 학교생활 부적응에 원인이 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불안은 많은 청소년들이 가장 흔히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로 이러한 불안은 그 자체가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청소년들에게 자살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15]. 또한 고등학생들의 불안 및 부적응과 자살생각과의 연구에서도 불안이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25], 대학생들의 불안과 자살생각과의 연구에서도 불안이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결과를 밝히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 S. Lim, B. S. Gu & O. S. Cho. (2018) The Effect of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35-143. 

  2. S. Park & S. B. Moon. (2014). A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aged Children's Suicide Ideat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2), 75-86. 

  3. S. S. Kim & J. H. Jeong. (2015). The Effects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Children' Suicidal Idea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2), 257-267. 

  4. Y. H. Jang & J. H. Song. (2011).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Childhood abuse on the Self-esteem and Suicidal thought in the Adolescence Period. Institute Policy Science, 20(2), 80-102. 

  5. J. H. Hur & J. O. Lee. (2003). Family Risk Factors for Child Suicidal Ideatio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1(2), 85-95. 

  6. M. S. Choi.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llying and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Mediators of Depression, Anxiety, Dysfunctional Impulsivity, and Self-Estee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7. M. Jeong.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7(5), 519-541. 

  8. H. N. Kim & Y. S. Choi. (2013). Study on the Control Effect of Christianity in Relation to Adolescents' Depression/Anxiety and Suicidal Idea. Journal of Church Social Work, 24, 149-177. 

  9. E. Seo. (2009).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Intimacy with Parents and Friends and Media Message on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 Y. J. Hong & M. K. Lee. (2014). Effect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1(10), 445-474. 

  11. H. J. Sin, I. J. Chung, S. A. Lee, H. Y. Lee & J. Y. Park. (2014).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s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ce.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7(1), 25-50. 

  12. S. N. Seo, S. G. Lee & S. H. Lim. (2012).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8), 327-333. 

  13. M. Y. Nam & O. H. Kweon. (2017). The Convergence over Effect of Adolesc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Bullyingon Victim on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Children Communi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29-138. 

  14. M. Y. Lee. (2012). The Effects of Perceived Peer-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on Suicide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5. S. A. Kim. (2009). Effects of Childhoo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iddle School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 (3), 5-27. 

  16. O. J. Lim.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Depression and Friendship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7. O. H. Sin & S.Y. Park. (2016). Effects of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n Suicidal Ideation: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Self-Esteem. Journal of Youth Welfare, 18(1), 235-259. 

  18. L. H. Lee & Y. Z. Yang. (2018).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37-44.. 

  19. S. Y. Kim & S. H. Hong. (2012). Identifying and Predicting Trajectories of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23(1), 251-275. 

  20. Y. Z. Kim & C. S. Lee.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 (6), 539-547. 

  21. O. K. Kim & J. S. Lee. (2008). Effects of Abusive Experiences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Friendships.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6), 123-134. 

  22. H. S. Song & Y. M. Baek. (2013). Effects of Depression-Anxiety on School Maladjustment in Economically Poor Adolesc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 23-42. 

  23. M. K. Choi.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Anxiety.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3(5), 163-180. 

  24. J. S. Jung & K. S. Kim. (2008). A Case of Art Therapy on a Group of Children Maladaptive at School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to Treat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4(1), 125-150. 

  25. M. S. Choi.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llying and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Mediators of Depression, Anxiety, Dysfunctional Impulsivity, and Self-Estee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26. H. N. Kim & Y. S. Choi. (2013). Study on the Control Effect of Christianity in Relation to Adolescents' Depression/Anxiety and Suicidal Idea. Journal of Church Social Work. 24, 149-177. 

  27. W. M. Reynolds. (1988). SIQ,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7-30. 

  28. B. K. Park.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6(3), 505-522. 

  29. J. Y. Koh.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Concept Scales. A Dissertation for the Doctor of Education. 

  30. A. T. Beck, G Emery & R. L. Greenberg. (1985). Anxiety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Basic Books. 

  31. S. G. Seo. (1996).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or Anxiety with Consideration of Self-Focused Attention, Actual Self-Concept, and Self-Guides Preference. A Study on the Master's Degr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32.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tator-Mek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