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시장발전과 공적개발원조의 효과성: 양자간·다자간 원조를 중심으로
Recipient Countries' Financial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ODA 원문보기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 산경연구논집, v.10 no.1, 2019년, pp.69 - 76  

안현미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  박단비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ff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recipient countries' economy. ODA is designed to mitigate poverty and stimulate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countries. We classify total ODA into bilateral ODA and mu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를 양자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구분하여 수원국의 금융시장 발전 정도에 따른 원조의 효과를 경제적인 측면과 인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를 양자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세분화하고 금융시장의 발전에 따른 원조의 효과를 경제 성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의 정책적 방향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조의 효과가 공적개발원조 공여형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수원국의 원조의 효과성의 측면에서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전반적인 제도(Kang, 2014)의 측면에서, 구속성원조와 비구속성원조(Eom, Hwang, & Chung, 2014)의 측면에서, 결정요인 (Koo & Kim, 2011)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분석되었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ODA를 위한 필요조건으로 수원국의 금융시장 발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이렇게 다른 특성을 가진 공적개발원조를 크게 다자간 원조와 양자간 원조로 세분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 1: 공적개발원조는 수원국의 경제성장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H 2: 양자간 원조에 비해 다자간 원조가 경제성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 H 3: 수원국의 금융시장이 발달한 경우 원조의 효과가 더 크다.
  • 따라서 양자간 원조가 가난한 국가의 경제성장이나 삶의 질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한 다음 가설을 수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자간 원조란 무엇입니까? 먼저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OECD에서 제공하는 국제개발통계(OECD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를 활용하여 양자가 원조와 다자간 원조의 현황을 소개한다. 양자간 원조는 개별 국가가 직접적으로 수원국에게 개발원조를 수행하는 것이고, 다자간 원조는 개별 국가들이 세계은행, UN과 같은 국제기구를 통해 개발원조를 수행하는 것이다. Milner (2004)는 개별 국가들은 수원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원조의 결과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공적개발원조의 감독 비용과 대리인 비용을 줄이기 위해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원조를 확대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공여국 보고 통계(CRS)의 투자 부문별 세분화 항목은? OECD 국제 개발 통계에서는 공여국 보고 통계(Creditor Reporting System, CRS)를 투자 부문별로 세분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투자 부문은 사회 인프라. 경제 인프라, 생산, 다부문, 일반프로그램지원, 부채경감, 인도주의 지원 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세분화된 투자 부문에 따른 원조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적개발원조가 시작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 ODA)는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가입 선진 국가들과 세계은행, 유엔,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국적 기구의 공여를 통해 수원국의 빈곤퇴치와 경제개발을 목표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작되었다. 1960년 OECD DAC가 설립되며 DAC 가입국을 중심으로 더욱 체계적으로 공적개발원조를 지속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H., & Park, D. (2018). Donor Country’s Fiscal Status and ODA Decisions before and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9(1), 25-38. 

  2. Alfaro, L., Chanda, A., Kalemli-Ozcan, S., & Sayek, S. (2004). FDI and economic growth: the role of local financial market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64(1), 89-112. 

  3. Ang, J. B. (2010). Does foreign aid promote growth? Exploring the role of financial liberalization.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14(2), 197-212. 

  4. Arestis, P., & Demetriades, P. (1997).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assessing the evidence. The Economic Journal, 107(442), 783-799. 

  5. Baek, S. (2015). Financial and Economic Cooperation in ASEAN+3 and Institutional Quality: Evaluation and Prospect. Review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5(1), 5-43. 

  6. Bourguignon, F., & Sundberg, M. (2007). Aid Effectiveness? Opening the Black Box. American Economic Review, 97(2), 316-321. 

  7. Burnside, C., & Dollar, D. (2000). Aid, Policies, and Growth. American Economic Review, 90(4), 847-868. 

  8. Calderon, C., & Liu, L. (2003).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72(1), 321-334. 

  9. Chenery, H. B., & Strout, A. M. (1966). Foreign assist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6(4), 679-733. 

  10. Choi, G. (2016). Cases for a Paradigm Shift toward a Open Platform Economy in Asia. Review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6(2), 5-24. 

  11. Chung, T. (2014). Effectiveness of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0(4), 211-229. 

  12. Dalgaard, C.J., Hansen, H., & Tarp, F. (2004). On the empirics of foreign aid and growth. The Economic Journal, 114(496), 191-216. 

  13. Dang, H. A., Knack, S., & Rogers, F. H. (2013). International aid and financial crises in donor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32, 232-250. 

  14. Eom, Y. H., Hwang, J. Y., & Jung, H. J. (2014).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ied South Korean Aid.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2(1), 123-144. 

  15. Easterly, W. (2003). Can Foreign Aid Buy Growth?,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7(3), 23-48. 

  16. Ferrarini, B., Hinojales, M., & Scaramozzino, P. (2017). Chinese Corporate Leverage Determinants.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4(1), 5-18. 

  17. Frot, E. (2009). Aid and the financial crisis: Shall we expect development aid to fall?.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1402788 or http://dx.doi.org/10.2139/ssrn.1402788 

  18. Hwang, J., Park, H., Lee, S., & Lim, H. (2016). An Empirical Study on the Aid Effectivenes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Its Implications t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5), 177-197. 

  19. Kang, Y. (2014).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Institution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6(3), 601-630. 

  20. Koo, J., & Kim, D. (2011). World Society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laining Determinants of Korean ODA, 1989-2007.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5(1), 153-190. 

  21. Kosack, S. (2003). Effective aid: How democracy allows development ai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orld development, 31(1), 1-22. 

  22. Lee, C. (2011). New Trends of Internation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Korea's ODA Polic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4(2), 777-808. 

  23. Lee, M. (2018). Do Firm and Bank Level Characteristics Matter for Lending to Firm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9(5), 37-46. 

  24. Levine, R. (1997).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Views and agenda.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2), 688-726. 

  25. Levine, R. (2002). Bank-based or market-based financial systems: Which is better? Journal of financial intermediation, 11(4), 398-428. 

  26. Maizels, A., & Nissanke, M. K. (1984). Motivations for aid to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12(9), 879-900. 

  27. Milner, H. V. (2004). Why Multilateralism? Foreign Aid and Domestic Principal-Agent Problems. Delegation and agency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107. 

  28. Minoiu, C., & Reddy, S. G. (2010). Development aid and economic growth: A positive long-run relation. The Quarterly Review of Economics and Finance, 50(1), 27-39. 

  29. Mishra, P., & Newhouse, D.L.. (2007). Health aid and infant mortalit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No. 2007-2100). 

  30. Neumayer, E. (2003a). The determinants of aid allocation by regional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nd United Nations agencie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7(1), 101-122. 

  31. Neumayer, E. (2003b). Is respect for human rights rewarded? An analysis of tot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aid flows. Human Rights Quarterly, 25(2), 510-527. 

  32. Ram, R. (2003). Roles of bilateral and multilateral aid in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Kyklos, 56(1), 95-110. 

  33. Williamson, C. R. (2008). Foreign aid and human development: The impact of foreign aid to the health sector. Southern Economic Journal, 75(1), 188-2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