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기능장애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455 - 463  

오나래 (포항대학교 치위생과) ,  윤성욱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교육하여 저작기능을 향상 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 및 실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프로그램 효과분석은 프로그램 전-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사후 $9.57{\pm}1.4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8.68{\pm}1.46$점으로 실험군의 OHBI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p<0.05)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QHI 점수는 평균 사후 $1.00{\pm}.1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1.03{\pm}.23$점으로 실험군의 QHI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험군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점수는 $4.13{\pm}.17$점 이었고 대조군은 $3.94{\pm}.2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는 집단 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저작기능의 향상과 구강위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pon motivating them using oral facial program in 56 subjects including 29 member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6 in the test group. With the collected data, Wilcoxon signed rank tes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실행한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은 저작기능장애 대상자들의 구강보건지식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구강보건행동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이로 인해 개개인의 구강위생관리능력을 향상시켜 저작장애로 인한 구강위생상태가 악화되고자 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유사실험 설계이다. 연구 대상자의 표본수가 미흡하여 정규분포를 만족하지 못하였으므로 모수적 통계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나타내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사료되며, K지역 대학의 치위생과에 임상치위생과정에 참여한 대상자만으로 연구가 실행되었으므로 연구결과의 모든 부분을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의 순효과로 얻어진 교육의 효과로 단언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저작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게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환자의 구강안면기능을 증진시켜 저작기능을 향상시켜 구강위생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작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높은 구강건강행위의 실천율은 구강 내 구강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으므로[20], 대상자들의 구강건강행위의 개선에 따른 구강위생상태의 변화인 QHI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본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은 연구기간과 프로그램의 교육기간과 재 내원 교육 기간이 짧음으로 인해 대상자의 인식과 행위가 숙련되기 까지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은 저작기능장애 대상자들의 구강보건지식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구강보건행동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이로 인해 개개인의 구강위생관리능력을 향상시켜 저작장애로 인한 구강위생상태가 악화되고자 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있다.
  • 또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치위생 교육과정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치위생관리과정의 저작장애 질환자들의 구강안면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구강위생정도를 파악하여 저작장애 질환자의 안면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검정: ‘구강안면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1-1검정: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OHBI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작기능장애가 올시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이 과정에서 음식물을 연하하기 위해 크기는 작게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저작하는 과정 중 장애가 생길 경우 인간의 가장 기본 욕구인 식욕을 해결하는 행위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를 회복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2]. 또한 저작능력이 저하되게 되면 인간의 삶의 질 또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해서 선행연구들이 많이 있어 왔지만 노인 및 무치악 환자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3-5].
식욕을 위한 행위인 저작은? 인간의 가장 기복 욕구인 식욕을 위한 행위를 하는 저작은 가장 원초적 구를 해결하고자하는 것 중 첫 번째 행위이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을 연하하기 위해 크기는 작게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저작하는 과정 중 장애가 생길 경우 인간의 가장 기본 욕구인 식욕을 해결하는 행위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를 회복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2].
현대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구강건강관리의 개념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구강건강관리의 개념은 구강병의 치료뿐만이 아니라 구강병의 예방 및 구강증진과 유지에 중심이 맞춰가고 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방안 및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 구강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만큼 구강건강의 가장 기본인 저작에 대한 욕구 또한 높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 H. Choi, "A survey research on industrial workers oral examination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al request level," J Korean Acad Dent Hyg Edu, Vol.10, No.1, pp.185-195, 2010. 

  2. 이용승,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 김다혜, 황수정, "일부 노인의 저작강도별 음식섭취능력과 잔존치아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6권, 제1호, pp.53-61, 2016. 

  4. 김경원, 이경수, 강복수, 김우식, 이희경,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시술 전.후의 저작능력과 삶의 질 비교,"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47권, pp.215-221, 2009. 

  5. 이용승, 변영섭, 최종훈, 안형준,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35-147, 2010. 

  6. G. D. Slade and A. J. Spencer, "Development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Vol.11, No.1, pp.3-11, 1994. 

  7. 박정란, 이연경, 손화경, 홍민희, "임상치위생관리과정수행 전후에 따른 구강위생상태 비교," 제14권, 제1호, pp.25-32, 2014. 

  8. 김지현, 김혜영, "구강자가관리프로그램이 노인의 구강건조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382-393, 2018. 

  9. Y. A. B. Buunk-Werkhoven, A. Dijkstra, and C. P. van der Schans, "Determinants of oral hygiene behavior: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mmunity Dent Oral Epi, Vol.39, No.3, pp.250-259, 2011. 

  10. K. H. Bea, H. D. Kim, S. H. Jung, D. Y. Park, J. B. Kim, D. I. Paik, and S. C. Chun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the oralhealth impactprofile among the Korean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35, pp.73-79, 2007. 

  11. G. A. Quigley and J. W. Hein, "Comparative cleansing efficiency of manual and power brushing," J Amer Dent Ass, Vol.65, No.1, pp.26-29, 1962. 

  12. S. Turesky, N. D. Gilmore, and I. Glickman, "Reduced plaque formation by the chloromethyl analogue of victamine C," J Periodontol, Vol.41, No.1, pp.41-43, 1970. 

  13. N. P. Solomon, H. M. Clark, M. J. Makashay, and L. A. Newman, "Assessment of orofacial strength in patients with dysarthria.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Vol.16, No.4, pp.251-258, 2008. 

  14. 송영진, 이한석, 정원미, 박성종, 박은정, 양경희, 홍재란, 삼킴장애,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2007. 

  15. 원영식, 이순현, 김계호, 문종훈, "PNF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제16권, 제3호, pp.475-484, 2018. 

  16. S. H. Choi, J. S. Kim, J. Y. Cha, K. J. Lee, H. S. Yu, and C. J. Hwang,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related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J Oral Rehabil, Vol.43, No.9, pp.670-677, 2016. 

  17. 박수철, 정명희, 최성미, "대구소재 한 노인병원 입원환자들의 구강상태와 저작능력에 관한연구," 대한치과기공학회지, 제33권, 제3호, pp.237-246, 2011. 

  18. 최마이, 노희진, 한선영, 문소정, "노인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상태가 저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5-79, 2019. 

  19. H. R. Kim, D. Y. Kim, and D. H. Moon, "Comparison of Knowledge, 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n Oral Health Care of The Clients Visiting Dental Clinic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2, No.4, pp.647-654, 2012. 

  20. 김진, 정문희, 우희선, "s대학 치위생과 실습실에 내원한 환자의 치아우식상태와 구강위생관리능력 구강건강행위 실태,"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145-15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