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Hospice Institution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1, 2019년, pp.50 - 59  

김애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최은정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hospitalized in hospice institutions. Method: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42 familie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from 7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영적안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안녕, 소진 및 삶의 질 정도와 요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안녕 정도는 4점 만점에 2.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안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논의를 통해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제를 도입한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역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간호에서 중요한 부분을차지하고 있는 가족보호자에 대한 돌봄이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소진을 완화시키고 건강상태와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영적안녕, 소진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 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는 무엇인가? 호스피스는 죽음을 앞둔 말기암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2], 사별 후 유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사람의 돌봄이다[3].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에서 말기암환자에게 체계적인 관리 및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6년 10월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 지정기준 고시를 신설하여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제를 도입하였고[4], 암 사망자 중 호스피스 이용률은 2016년 17.
삶의 질을 평가하는 요인은? 삶의 질은 정신적 안녕, 신체적 안녕, 신체상에 대한 관심, 사회적 관심,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들을 평가하는 것으로[7], 말기암환자 가족은 일반인에 비해 삶의 질이 낮으며, 암환자의 보호자에 비해서도 삶의 질이 현저히 낮다[8].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 제공자는 돌봄 부담감을 가지고 생활하며, 이러한 부담감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축적되면 신체적인 불건강은 물론 생에 대한 의욕상실, 생활에 대한 만족감의 상실감과 같은 삶의 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9].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 저하 원인은 무엇인가? 삶의 질은 정신적 안녕, 신체적 안녕, 신체상에 대한 관심, 사회적 관심,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들을 평가하는 것으로[7], 말기암환자 가족은 일반인에 비해 삶의 질이 낮으며, 암환자의 보호자에 비해서도 삶의 질이 현저히 낮다[8].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 제공자는 돌봄 부담감을 가지고 생활하며, 이러한 부담감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축적되면 신체적인 불건강은 물론 생에 대한 의욕상실, 생활에 대한 만족감의 상실감과 같은 삶의 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9]. 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이 낮을수록,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Cancer death rat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9 March 15]. Available from:http://kosis.kr/ statisticsList/ 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parentIdD.1;D1.2;D11.3;#SelectStatsBoxDiv. 

  2. Korean Catholic University Hospice Education Institut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ju: Koonja publisher; 2012. pp. 1-651. 

  3. Korean Hospice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Hospice palliative nursing. Seoul: Hyunmoonsa; 2015. pp. 1-527. 

  4.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management business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2016[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main.ncc? urimanage01_8 

  5. National Cancer Center; Hospice available rate [Internet]. Seoul: National Cancer Center; 2019 [cited 2019 May].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prBoard View1. ncc? nwsId4457&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3 

  6. Kim SY, Kim JM, Kim SW, Kang HJ, Lee JY, Shin IS,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14;20:227-37. 

  7. Padilla G, Grant M. Quality of life as a cancer nursing outcome variabl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5;8(1):45-60. http://dx.doi.org/10.1097/00012272-198510000-00007 

  8. Weitzner M, McMillan S, Jacobsen P. Family caregiver quality of life: Differences between curative and palliative cancer treatment settings. Journal Pain Symptom Manage. 1999;17(6):418-28. https://doi.org/10.1016/S0885-3924(99)00014-7 

  9. Han YR. Relationship among family primary caregiver characteristics, burden with hospice care and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Daej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0. pp. 1-53. 

  10. Park MY.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 of terminal cancer inpatients in Korea hospic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15. pp. 1-63. 

  11. Pines A, Aronson E, Kafry D.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The Free; 1981. pp. 1-229. 

  12. Teschendorf B, Schwartz C, Ferrans C, O'Mara A, Novotny P, Sloan J. Caregiver role stress: When families become providers. Cancer Control. 2007;14(2):183-9. https://doi.org/10.1177/107327480701400212 

  13. McMillan S, Mahon M. A study of quality of life of hospice patients on admission and at week 3. Cancer Nursing. 1994;17(1):52-60. https://doi.org/10.1097/00002820-199402000-0 0006 

  14. Ahn EJ, Lee YS. Burnout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caring of terminal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5;5(1):40-51. 

  15. Fish S, Shelly J.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Illinois: Intervarsity Press: 1988. pp. 1-251. 

  16. Kang YU, Kwon YS, Ko SJ, Kim KS, Kim S, Kim SJ, et al. Hospice introduction. Daegu: Korea Hospice Association; 2010. pp. 1-423. 

  17. Kim CG.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the families of cancer patients and those of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97;9(3):545-57. 

  18. Lee EJ, Kim HD.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family burden of home-based hospice patient family. Journal of Korean Hospice Care. 2006;6(2):69-78. 

  19. Yang EY, Kim YA.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in the area of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6):3954-62.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54 

  20. Thomson J. The place of spiritual well-being in hospice patient's overall quality of life. Hospital Journal. 2000;15(2):13-27. https://doi.org/10.1080/0742-969X.2000.11882950 

  21. Tang W. Hospice family caergivers'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8):2563-7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753.x 

  22. Delgado-Guay M, Parsons H, Hui D, De la Cruz M, Therney S, Bruera E. Spiritually, religiosity, and spiritual pain among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2012;30(5):455-61. https://doi.org/10.1177/1049909112458030 

  23. Connell T, Fernandez R, Tran D, Griffiths R, Harlum J, Agar M. Quality of life of community-based palliative care clients and their caregivers. Palliative & Supportive Care. 2013;11(4):323-30. https://doi.org/10.1017/S1478951512000260 

  24. Gotze H, Brahler E, Gansera L, Schnabel A, Kohler N. Exhaustion and overload of family caregivers of palliative cancer patients. Psychotherapie, Psychosomatik, medizinische Psychologie. 2015;65(2): 66-72. https://doi.org/10.1055/s-0034-1385933 

  25. Ro YJ. Quality of life among renal transplantation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93;5(2):142-56. 

  26. Paloutzian R, Ellison C.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a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1982. pp. 224-237. 

  27. Kang JH. A investigat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Busan University; 1996. pp. 1-67. 

  28. Shin MH, Shin SR. Predictors of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3;3(1):75-84. 

  29. Kim KJ, Young JS.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s among nurses working in a cancer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4):264-73. http://dx.doi.org/10.14475/kjhpc.2013.16.4.264 

  30. Joo KB, Kim KB. A study of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4(14):278-89. https://doi.org/10.4069/kjwhn.2008.14.4.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