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Focused on Sleep and Depress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2, 2019년, pp.287 - 297  

원종순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이혜련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수도권 도시거주 노인 210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수면양상(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노인은 14.3%,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노인은 23.3%, 수면의 질이 나쁜 노인은 17.6%, 우울한 노인은 33.3% 이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자살생각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우울(OR=6.889, 95%CI=2.679-17.712), 수면의 질(OR=3.770, 95%CI=1.469-9.679), 성별(OR=3.080, 95%CI=1.266-7.491)로 확인되었고, 이 세 가지가 자살생각 변인의 31.6%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경감을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한 우울 감소와 수면의 질 개선이 필수적인 전략이며 이러한 전략을 반영한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방안 마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over 60 years old living in the community centered on sleep and depression. A total of 210 elderly people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about suicidal ideation, sleep pattern (slee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모든 선행연구에서도 우울은 가장 강력하고 일관된 자살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자살을 예측하는 데 있어 우울은 당연히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하지면,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유의한 다른 변인을 찾는 것이 자살예방 목적의 연구에서는 중요한 일이며, 이는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기도 하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수면,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자살생각을 경감시키고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우울, 수면의 질, 성별로 자살생각을 31.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자살생각, 수면, 우울 양상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생각 영향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경감시키고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이란 무엇인가? 자살이란 자살을 생각한 사람이 자살을 시도하여 사망이라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자살생각은 자살시도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며, 특히 자살생각 발생 직후가 위험한 것으로 알려졌다[2].
최종적으로 노인의 자살생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이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자살생각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우울(OR=6.889, 95%CI=2.679-17.712), 수면의 질(OR=3.770, 95%CI=1.469-9.679), 성별(OR=3.080, 95%CI=1.266-7.491)로 확인되었고, 이 세 가지가 자살생각 변인의 31.6%를 설명하였다.
자살예방 방안의 모색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의 1/3이 자살계획을 하고 자살계획을 하는 사람의 2/3분 정도가 자살을 시도하지만,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의 1/4은 자살계획 없이 바로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따라서 장기적으로 자살예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교정 가능한 자살생각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Statistics Korea (2018). 2017 Cause of Death. Retrieved March 20, 2018,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 

  2. K. P. Kwak, C. J. Song, J. K. Sakong, K H. Lee,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uicide Risk," Dongguk Journal of Medicine, Vol. 11, No. 1, pp.83-94, 2004. 

  3. R. C. Kessler, G. Borges & E. E. Walters,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ifetime suicide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56, No. 7, pp.617-626, 1999. 

  4. H. S. Kim, B.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2, pp.325-343, 2008. 

  5. G. Kim, K. Jeon, H. Kim, S. Lee, L. Moon & S. Rhee, "Affection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s-used to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conducted in 2001,"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2, No. 1, pp.1-7, 2005. 

  6. S. S. Baek, "Factors affecting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2B, pp.1011-1021, 2016. 

  7. M. J. Kim,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data from the 8th Korean welfare penal stud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5B,pp. 2725-2737, 2014. 

  8. H. J. Kim, A. R. Lee, S. Y. Lee, et al.,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54, No. 4, pp.468-474, 2015. DOI: 10.4306/jknpa.2015.54.4.468 

  9. H. K. Kim, S. H. Ko & S. H. Chung, "Suicidal ideation and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82-92, 2010. 

  10. G. C. Hung, C. Kwok, P. SF yip, D. Gunnell, "Predicting suicide in older adults -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in Taipei City," Taiwa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72 No. 1, pp.165-170, 2015. DOI: 10.1016/j.jad.2014.09.037 

  11. H. S. Kim, K. J. June, Y. M. Kim, "Gender differences in factor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3, No. 2, pp.349-363, 2013. 

  12. R. A. Bernert, C. L. Turvey, Y. Conwell and E. Thomas, "Association of poor subjective sleep quality with risk for death by suicide during a 10-year period: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of late life," JAMA Psychiatry, Vol. 71 No. 10, pp.1129-1137. 2014. DOI: 10.1001/jamapsychiatry.2014.1126. 

  13. J. H. Jeong, & J. S. Kim, "The effect of abuse experience and coping styles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e, Vol. 26, No. 1, pp.42-51, 2015. DOI: 10.12799/jkachn.2015.26.1.42 

  14. M. R. Kim,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47, pp.113-136, 2010. 

  15. H. J. Na, S. H. Bae, M. J. Kim,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2, NO. 2, pp.138-147, 2015. DOI: 10.5935/JMJH.2015.22.2.138 

  16. J. N. So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Health Nursing, Vol. 21, No. 2, pp.118-126, 2012. 

  17. B. J. Kim,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27-35, 2016. DOI: 10.14400/JDC.2016.14.11.27 

  18. H. S. Kim,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2, No. 1, pp.159-172, 2002.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0. A. Porras-Segovia, M. M. Perez-Rodriguez, P Lopea-Esteban, P. Courtet, M. L. Barrigon M et al., "Contribution of Sleep Deprivation to Suicidal Behaviour: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s, Vol. 44, pp.37-47, 2019. DOI: 10.1016/j.smrv.2018.12.005 

  21. J. Ferrie, M. Shipley, F. Cappuccio, E. Brunner, M. Miller, M. Kumari,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change in sleep duration: associations with mortality in the Whitehall II cohort," Sleep, Vol. 30, No. 12, pp.1659-66. 2007. 

  22. M. R. Rosekind, K. B. Gregory, "Insomnia risks and costs: health, safety, and quality of life," Am J Manag Care, Vol. 16, pp.617-26, 2010. 

  23. S. H. Yang, J. S. Won, H. J. Baek. H. S. Cho, J. H. Kang, J. I. Lee, Y. J. Kim, J. H. Park, M. K. Shin, et al., "Fundamental Nursing." pp.104-109, 2019. Hyunmoonsa, Seoul. 

  24. H. T. Lin, C. H. Lai, H. J. Perng, C. H. Chung et al., "Insomnia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suicide attempt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Vol. 18, No. 1, 2018. DOI: 10.1186/s12888-018-1702-2 

  25. S. Malik,, A. Kanwar, L. Sim, L. Prokop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suicidal behaviors in patients with psychiatric diagno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ystematic Reviews, Vol. 3 No. 1, 2014. DOI: 10.1186/2046-4053-3-18 

  26. H. Chiu, H. Lee, P. Chen, Y. Lai, Y. Tu,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Sleep Medicine Research, Vol. 42, pp.119-26, 2018. DOI: 10.1016/j.smrv.2018.07.003 

  27. S. P. Becker, M. R. Dvorsky, A. S. Holdaway, A. M .Luebbe, "Sleep problems and suicidal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99, pp.122-128, 2018. DOI: 10.1016/j.jpsychires.2018.01.009 

  28. D. B. Kay, A. Y. Dombrovski, D. J. Buysse, C. F. Reynolds, A. Begley and K. Szanto "Insomnia is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28 No. 4, pp.613-619, 2016. DOI: 10.1017/S104161021500174X. 

  29. A. Beck, M. Kovacs,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7, No. 2, pp.343-352. 1979. 

  30. M. S. Shin, K. B. Park, K. J. Oh, Z. S. Kim,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1, pp.1-19, 1990. 

  31. J. W. Jung, S. H. Lee, J. Y. Cheon, J. E. Kim, J. W. Baek, D. W. Seo, E. J. Ka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uicide Prevention System in Medical Practise," Politic Report, pp.67. 2010. 

  32. S. I. Sohn, D. H. Kim, M. Y. Lee, and Y. W. Ch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Vol.16, No.3, pp.803-812, 2012. 

  33.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 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 No. 2, pp.298-307, 1996. 

  34. M. J. Park, "Suicidal ideation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sex in elderl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2, pp.1087-1099, 2015. 

  35. M. J. Thorpy,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Neurotherpeutics. Vol. 9, pp.687-701, 2012. 

  36. Y. H. Kang, M. Y. Kim, G. J. Lee, D. Y. Jung, R. W. Ma,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6, No. 2, pp.303-313, 2012. 

  37. J. U. Shin, S. H. Baek,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attending community seniors centers,"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 38, No. 2, pp.71-84, 2013. DOI: 10.5393/JAMCH.2013.38.2.071 

  38. M. Kim, H. Kim, A Review on the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2000-2010),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8, No. 1, pp.23-34, 2011. 

  39. E. H. Hwang, K. H. Kim, S. J. Shin, "The Effect of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on Suioidal Ide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11, No. 3, pp.239-248, 2016. DOI: 10.21097/ksw.2016.08.11..3.239 

  40. K. O. An, J. Y. Jang, J. H. Kim,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are associated with both stress symptoms and suicidal thoughts in Korean adults,"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Vol. 237, No. 4, pp.279-286, 2015. DOI: 10.1620/tjem.237.279. 

  41. J. Kohyama, "Sleep, serotonin, and suicide in Japan,"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 Vol. 30, pp.1-8, 2011. 

  42. D. Gunnell, S. Chang, M. Tsai, C. Tsao, C. Wen "Sleep and suicide: an analysis of a cohort of 394,000 Taiwanese adult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Vol. 48, No. 9, pp.1459-1496, 2013. DOI: 10.1007/s00127-013-0675-1 

  43. B. J. Kim,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27-35, 2016. DOI: 10.14400/JDC.2016.14.11.27 

  44. S. Y. Bang,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character type in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14, No. 6, pp.319, 2014. DOI: 10.5392/JKCA.2014.14.06.319 

  45. Y. Oh, H. Kim,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2, pp.1-9, 2018. DOI: 10.22156/CS4SMB.2018.8.2.001 

  46. Y. H. Choi & S. H. Kim, "Suicide ideation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7, No. 4, pp.775-78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