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2, 2019년, pp.263 - 272  

정계현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민향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Methods: From June to July, 2017, a convenience sample of 226 nursing students was recruit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대인관계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대인관계 능력이 조절변수로서의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 우울, 대인관계 능력의 정도를 알아보고,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대인관계 능력이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시행하였다. 연구자가 C도와 D광역시의 4개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간호학과에 방문하여 학과장에게 연구 목적과 진행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얻었다. 간호대학생 2학년에게 서면을 통해 연구 목적과 진행과정에 대해 설명을 하였고,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적 학대란?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란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을 모두 포함한다(Kim & Kim, 2008). 정서적 학대란 비난과 비판의 명 백한 메시지와 함께 직접 야단치고, 거절, 창피를 주는 것을 말하며, 정서적 방임은 부모와 같은 가까운 사람의 사랑, 격려, 소속감과 같은 기본적인 심리적, 정서적 요구를 못 받는 것을 말한다(Courtois & Ford, 2009).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초기 성 인기에 있는 대학생에게 불안정한 애착, 낮은 자존감이나 불 안, 대인관계의 어려움, 우울증 위험, 데이트 폭력 등의 부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다(Kapeleris & Paivio, 2011; Kim, 2010; Lee, 2006; Lee, Ha, & Chang, 2017).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대학생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나? 정서적 학대란 비난과 비판의 명 백한 메시지와 함께 직접 야단치고, 거절, 창피를 주는 것을 말하며, 정서적 방임은 부모와 같은 가까운 사람의 사랑, 격려, 소속감과 같은 기본적인 심리적, 정서적 요구를 못 받는 것을 말한다(Courtois & Ford, 2009).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초기 성 인기에 있는 대학생에게 불안정한 애착, 낮은 자존감이나 불 안, 대인관계의 어려움, 우울증 위험, 데이트 폭력 등의 부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다(Kapeleris & Paivio, 2011; Kim, 2010; Lee, 2006; Lee, Ha, & Chang, 2017).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외상 경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특히, 아동기 정서적 외상은 다른 유형의 외상보다 초기 성 인기에 접어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 중 가장 유병율이 높은 우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uh, Kim, Yu, & Chae, 2014; Powers, Ressler, & Bradley, 2009). 대 학생들은 아동기 정서적 외상에 의해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정서 표현의 억제로 대인관계를 발달시키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불안이나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폭식하거나 자살생각을 갖게 할 수 있다(Kim & Kim, 2008; Lee et al., 2017; Michopoulo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M. H., & Cho, Y. A.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childhood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5), 1849-1870. 

  2.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3.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Harcourt Brace & Company. 

  4. Briggs-Gowan, M. J., Carter, A. S., & Ford, J. D. (2012). Parsing the effects violence exposure in early childhood: Modeling developmental pathway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7(1), 11-22. http://dx.doi.org/10.1093/jpepsy/jsr063 

  5.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991-1008. 

  6. Chatterjee, S., Saha, I., Mukhopadhyay, S., Misra, R., Chakraborty, A., & Bhattacharya, A. (2014).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an indian government colleg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3(6), 316-320. http://dx.doi.org/10.12968/bjon.2014.23.6.316 

  7. Cho, O. H., & Hwang, K. H. (2017). The impacts of social isol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leep disorde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29-338. http://dx.doi.org/10.14400/JDC.2017.15.11.329 

  8. Courtois, C. A., & Ford, J. D. (2009). Treating complex traumatic stress disorders: An evidence-based guide. New York: Guilford. 

  9. Huh, H. J., Kim, S. Y., Yu, J. J., & Chae, J. H. (2014). Childhood trauma and adul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16, 13-26. http://dx.doi.org/10.1186/s12991-014-0026-y. 

  10. Jun, W. H., Lee, S. Y., & Lee, K. L. (2017).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3), 528-539.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3.528 

  11. Kapeleris, A. R., & Paivio, S. C. (2011). Identity and emotional competence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and adult love relationship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20(6), 617-365. http://dx.doi.org/10.1080/10926771.2011.595764 

  12. Kim, C. D., & Kim, S. I. (1999). A study and effects o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tudent Studies, 35(1), 83-95. 

  13. Kim, E. J., & Kim, J. S. (2008).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4), 1505-1520. 

  14. Kim, E. S., & Lee, J. Y. (2018). Childhood emotional trauma influence on relationship problem of emerging adulthood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social self-concept.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9(3), 403-42. 

  15. Kim, H., & Han, S. (2015). The effect of early traumatic experience on empathetic ability. The Kor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2), 251-274. 

  16. Kim, J. H. (2010). Relations among childhood trauma, adult attachment, and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Send Play Therapy, 6(2), 67-87. 

  17. Lee, H. I.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2), 109-118. 

  18. Lee, N. Y., Ha, S. H., & Chang, M. S. (2017).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and depression in adulthood: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in and displaced aggress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8(2), 203-222. 

  19. Lee, S. H., & Cha, E. J. (2014).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overuse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health scienc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787-2793. 

  20.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21. Lee, Y. 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psychological symptom, interpersonal problem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Michopoulos, V., Powers, A., Moore, C., Villarreal, S., Ressler, K. J., & Bradley, B. (2015).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exposure and emotional eating. Appetite, 91, 129-36. http://dx.doi.org/10.1016/j.appet.2015.03.036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hild abuse & neglect korea 2016. (MOHW Publication No. 11-1352000-000025-10). Sejong-si: Government Printing Office. 

  24. Park, E. A., Cho, H. C., & Lee, J. K. (2016). The effects of childhood-adolescence trauma on the suicidal ideation in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7(3), 223-249. 

  25. Powers, A., Ressler, K. J., & Bradley, R. G. (2009). The protective role of friendship on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and depression. Depress Anxiety, 26(1), 46-53. http://dx.doi.org/10.1002/da.20534 

  26. Sim, S. S., & Bang, M. R.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634-642.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634 

  27. Spertus, I. L., Yehuda, R., Wong, C. M., Halligan, S., & Seremetis, S. V. (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and Neglect, 27(11), 1247-1258. http://dx.doi.org/10.1016/j.chiabu.2003.05.001 

  28. Woo, Y. J., & Lee, G. M. (2017, November).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abilitie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2017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Conference. Seoul 

  29. Yoon, H. S., Kim, G. H., & Kim, J. Y. (2011). Effectivenes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6), 805-81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6.805 

  30. Yu, S. J., Song, M. R., & Kim, E. M.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71-80.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