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Happiness Choice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3, 2015년, pp.503 - 514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happiness choice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45 nursing s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택이론에 근거하여 행복은 개인의 선택임을 강조한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행복의 중요한 요인이자 간호사에게 필요한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하는 행복 중재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에게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와 운영 방법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켰고, 대인관계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인 중재방법이었다. 본 연구는 향후 간호교육현장에서 간호대학생의 행복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 수립시 활용될 수 있고,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으로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설계 모형은 다음과 같다(Figure 1).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치료를 적용한 행복선택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들의 행복을 위해 개발한 현실치료 적용 집단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정서를 향상시키고, 대인관계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추후 교육현장에서 행복 중재프로그램 운영의 근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추후 간호대학생들에게 현실치료를 활용한 행복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이론에 근거한 행복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비교한다면 간호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뿐 아니라 미래 간호사로서 요구되는 인성과 능력 함양에 도움이 되는 중재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주관적 안녕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1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2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긍정적 정서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3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부정적 정서 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2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 현실치료 적용 행복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주관적 안녕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은 어떤 시기인가? 그렇다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행복 수준은 어떠한가? 대학생은 신체적 성숙과 인지적 발달이 정점을 이루는 시기로서 고등학생보다 자유가 허용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게 되면서 심리적 안녕감에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이다(Lee, 2006).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 직전까지는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대학입학을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기대를 받으며 보호와 통제 중심의 의존적이고 타율적인 정체감 유예기의 생활을 하다가 대학생이 되면서 그동안 미루어왔던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인식, 자아실현, 정서적 독립 등과 같은 자아정체성 관련 주제들이 밀려오는 가운데 책임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대학교 시스템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Kwon, 2004).
행복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행복의 추구는 모든 인간에게 기본적인 욕구이자 권리이다. 행복이란 자신의 삶에 대해 인지적, 정서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상태로써 주관적인 안녕감이고(Diener, Emmons, Larsen, & Griffin, 1985), 더 나아가 자신의 강점을 살려 적극적이고 의미있게 살아가는 상태(Seligman, 2006)를 의미한다.
현실치료의 바탕이 되는 선택이론의 기본원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행복증진을 위한 다양한 중재법 중에서, 선택이론(choice theory)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현실치료 (reality therapy)는 사람들이 스스로 인생의 방향을 설정하고 좀 더 효율적인 행동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Glasser, 1998). 선택이론의 기본원리에는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선택의 원리, 심리적 문제에 있어서 관계가 중요하다는 관계성의 원리, 현재를 중요하게 보는 현재성의 원리, 그리고 기본 욕구와 좋은 세계 등이 포함된다(Glasser, 1998). Glasser (1998)는 행복은 개인의 선택임을 강조하면서 자신이 삶의 주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선택할 수 있을 때 행복을 느끼고, 타인의 욕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때 행복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H. & Jung, K. Y. (2013).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strength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feeling of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4(3), 113-147. 

  2. Choi, J. S. (2013).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Naju. 

  3.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dx.doi.org/10.1207/s1532 7752jpa4901_13 

  4. Glasser, W. (1998). The choice theory: A new psychology of personal freedom (Kim, I. J. & Woo, A. R. Trans). Seoul: Korea counseling center. 

  5. Jang, J. W. & Lee, Y. J. (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happiness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7(2), 121-138. 

  6. Jo, G. Y. & Park, H. S. (2011).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 160-169.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60 

  7. Jo, K. H. & Kim, Y. K. (2010).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appiness expressed by nursing students through collage art works: a conten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61-71. http://dx.doi.org/10.5977/ JKASNE.2010.16.1.061 

  8. Jo, K. H. (2011). Percep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ward happiness: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78-189. http://dx.doi.org/ 10.5977/jkasne.2011.17.2.178 

  9. Jun, W. H., Cha, K. S., & Lee, K. L. (2015).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76 -284. http://dx.doi.org/10.5977/jkasne.2015. 21.2.276 

  10. Kim, C. W. (2013). Effects of the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combined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1. Kim, G. H. & Kim, K. H. (2012).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in first year wome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1(2), 149-15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2.149 

  12. Kim, J. J. & Ko, J. J. (2010). The effects of group art treatment using reality therapy on the inter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l(17), 811-833. 

  13. Kim, K. S.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l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Pusan. 

  14. Kwon, S. M. (2004).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s. Seoul: Hakjisa. 

  15. Lee, O. H. (2006). Adolescent psychology. Seoul: Jipmoondang. 

  16. Moon, S. M.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 195-203. 

  17. Nam, S. H. (2013). International comparison of welfare index. Issue & Focus, 210, 1-8. 

  18.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November). OECD Health Statistics 2015. Retrieved December 7, 2015, from http://www.oecd.org/health/ health-data.htm 

  19. Oh, G. O. (2009). Effect of the Glasser's reality therapy based positive language training program upon the increase of the use of positive language and the increase of happiness of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Park, H. S. (2014).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471-481.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471 

  21. Park, S. K. (2002).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happiness applying reality 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2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it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http://dx.doi.org/10.1037//0022-3514.57.6. 1069 

  23. Schlein, A. & Guerney, B. G. (1971).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Jossery-Bass. 

  24. Seligman, M. E. P. (2006). Positive psychology (Kim, I. J. Trans). Anyang: Mulpure. 

  25. Song, Y. S. (2012).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71-8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71 

  26. Suh, E. K. & Koo, J. S.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6-114. 

  27.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http://dx. doi.org/10.1037/0022-3514.54.6.1063 

  28. Won, B. Y., Park, T. S., Huh, C. S., & Kim, S. B. (2013).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6), 3283-3305. http://dx.doi.org/10.15703/kjc.14.6.201312.3283 

  29. Woo, S. M. (2007). The effects of relationship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Glasser's choice theory up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30. Yoo, M. S., Park, J. W., Song, M. S., You, M. A., & Park, H. R. (2013). Effects of passive music listen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490-499.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