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Depressive Vulnerability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7 no.2, 2019년, pp.213 - 224  

한혜림 (영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이지민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pressive vulnerability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 selected 380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비사교성, 비주장성, 과배려성, 지배성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세부적인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대인 관계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다고 나타난 요인에 대해서는 조건부효과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지점과 ±1SD 지점에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Johnson-Neyman 방법에 의한 유의성 영역을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이들의 관계를 중재시킬 수 있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강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학생들의 우울취약성,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문제가 서로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조절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Berzins (2014)의 연구에서는 우울취약성 정도가 비슷한 대학생들의 대인 관계문제를 살펴보니, 이들의 대인관계문제 중에서도 비주장성과 과배려성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비주장성과 과배려성 수준이 다른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의 우울취약성 정도는 비슷했으나 자아탄력성의 정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통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다고 나타난 요인에 대해서는 조건부효과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지점과 ±1SD 지점에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Johnson-Neyman 방법에 의한 유의성 영역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구체적으로 어떤 수준과 상태일 때 효과적으로 발휘되는지에 대해 명확히 밝힘으로써 조절효과를 세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이 효과적으로 조절작용을 하기위해서 어떤 방법들이 필요한지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한다.
  • , 2015).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는 변인인 조절변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몇몇 선행연구에서는 우울취약성이 있는 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내면적인 부분이나 관계적 부분에 대해 열등감, 좌절감, 불안, 불신 등을 느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다시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회복하는 능력을 높여준다면,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음을 밝혔다(Kim & Kim, 2015;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문제란 무엇인가? 대인관계문제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대인관계를 잘 다루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Heider, 1964; Thomas et al., 2012).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발달과제는 무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중 후기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는 시기로, 자아정체감 형성과 더불어 부모로부터 심리적, 사회적으로 독립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대인관계를 통해 타인과의 친밀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한 발달과제이다(Erickson, 1995). 다시 말해 대학생 시기는 자기 자신에 대해 관심을 갖고, 탐색해나가는 동시에 이성이나 친구와의 관계를 얼마나 친밀한 사회적 관계로 만들 수 있는지가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울취약성이 높은 사람이 자아탄력성이 높아지면 어떠한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가? 즉,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것은 우울취약성이 있는 대학생임에도 대인관계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우울함을 많이 느끼는 개인일수록 대인관계에 대한 문제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나 우울이라는 감정이나 상황을 적절히 조절하고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인 자신에 관한 탄력성을 지닌 개인은 대인관계문제를 더 적게 경험할 수 있다고 나타냈다(Berzins, 2014). 이러한 자아탄력성은 개인이 어떤 문제 상황을 겪을 때, 이에 불안해하거나 좌절하고 우울해하지 않고 정서적으로 안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변인으로서, 특히나 심리적 문제나 관계적 문제를 예방하는데 기여한다(Jung & Ryu, 2013; S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rzins, A. R. (2014). Resilience as a Moderat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Violence and Affect among Ecuadorian You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 John's University, New York, US. 

  2. Blatt, S. J. (1974). Levels of object representation in anaclitic and introjective depression.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9 (10), 107-157. https://doi.org/10.1080/00797308.1974.11822616 

  3.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2), 349-361. 

  4. Cho, J. I. (1996). A Study on the Two Dimensions of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 Erickson, E. (1995).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Vintage Books. 

  6. Hayes, A. F. (2013).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7. Heider, F. (196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ew York: Harper& Row. 

  8. Heo, J. (2014). Heo June's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arae. 

  9. Horowitz, L. M. (1996).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ary le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 (2), 283-300.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602_7 

  10. Jung, S. H., & Ryu, S. J. (2013). Moder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l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4 (3), 207-237. 

  11. Kim, H. S., Kim, Y. G., & Kim, J. U. (2016).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 (5), 221-242. 

  12. Kim, J. W., Kwon, S. M., & Chung, N. W. (2000).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 : its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factor structur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2 (1), 153-175. 

  13. Kim, S. J. & Kim, S. H. (2015).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 (2), 49-70. 

  14. Kim, T. H. (2015). Effect of teenagers' stress and depres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E. J., Lee, N. R., & Lee, J. Y. (2015).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mediational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nd emotional cutof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39 (2), 207-242. 

  16. Martin, A. S., Distelberg, B., Palmer, B. W., & Jeste, D. V. (2015). Development of a new multidimensional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resilience measure for older adults. Aging and Mental Health, 19 (1), 32-45. https://doi.org/10.1080/13607863.2014.909383 

  17.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 227-238. http://dx.doi.org/10.1037/0003-066X.56.3.227 

  18. McEvoy, P. M., Burgess, M. M., Page, A. C., Nathan, P., & Fursland, A. (2013). Interpersonal problems across anxiety,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s: A transdiagnostic examination.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2 (2), 129-147. https://doi.org/10.1111/bjc.12005 

  19. Natoli, A. P., Nelson, S. M., Lengu, K. J., & Huprich, S. K. (2016). Sensitivity to criticism differen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tate and trait depression,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10 (4), 293-304. https://doi.org/10.1002/pmh.1338 

  20. Park, S. E., & Chae, K. M.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activ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2 (3), 349-368. 

  21. Park, S. J. & Kim, J. N.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 (3), 175-198. https://doi.org/10.21509/KJYS.2017.03.24.3.175 

  22. Renner, F., Jarrett, R. B., Vittengl, J. R., Barrett, M. S., Clark, L. A., & Thase, M. E. (2012). Interpersonal problems as predictors of therapeutic alliance and symptom improvement in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8 (3), 458-467. https://doi.org/10.1016/j.jad.2011.12.044 

  23. Shin, J. H., & Kim, C. D. (2015). Effect of ruminative mode o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for depressed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6 (5), 193-211. 

  24. Smith, T. W., Ruiz, J. M., Cundiff, J. M., Baron, K. G., & Nealey-Moore, J. B. (2013). Optimism and pessimism in social context: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on resilience and ris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7 (5), 553-562. https://doi.org/10.1016/j.jrp.2013.04.006 

  25. Son, K. S.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skills and the ability of abil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14 (1), 1-27. 

  26. Song, M. J. (2008).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 Hakjisa. 

  27. Song, Y. H., Kim, Y. H., & Hwang, S. S. (2011). Effects from the Interaction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 (1), 1-19. https://doi.org/10.5934/KJHE.2011.20.1.001 

  28. Stepp, S. D., Smith, T. D., Morse, J. Q., Hallquist, M. N., & Pilkonis, P. A. (2012). Prospective associations amo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interpersonal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ve, 27 (1), 103-124. https://doi.org/10.1177/0886260511416468 

  29.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 New York: W.W.Horton. 

  30. Thomas, A., Kirchmann, H., Suess, H., & Brautigam, S. (2012).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interpersonal distress: how interpersonal goals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therapy Research, 22 (5), 489-501. https://doi.org/10.1080/10503307.2012.676531 

  31. Uhmann, S., Beesdo-Baum, K., Becker, E.S., & Hoyer, J. (2010). Specificity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versus other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8 (11), 846-851. https://doi.org/10.1097/NMD.0b013e3181f98063 

  32. Yoo, S. K., & Shim, H. W. (2002).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 (4), 18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