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1학년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 분석: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Grade 7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3 no.3, 2019년, pp.196 - 208  

윤도운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최애란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의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자료분석 및 해석', '모형의 개발과 사용',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창의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문제 발견하기',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문제 해결방안 제시하기', '실행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 '증거에 근거하여 논증하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과학 기술의 사회적 문제 관심 갖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s well a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grade 7 science textbooks using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onents.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apacity was not involved in the achiev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활동과 평가를 함께 분석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활동 및 평가가 일관성 있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교사는 교수-학습 전·중·후 평가를 통해 교육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활동 전반을 점검하고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을 개선하고자 노력한다.
  • 93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 하위요소간에 유사성이 있음을 인지하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정의를 참고하여 각 하위요소를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과학 지식을 얻거나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탐구 맥락은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요소로,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맥락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하위요소로, 과학적 문제 해결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맥락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요소로 분석하였다.
  • 박나무(2016), 송신철과 심규철(2018), 최성수(2017)는 각각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통합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 대학수학능력 시험문항을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중 일부에 편중되어 있다고 보고한 반면, 과학과 핵심역량별로 어떠한 하위요소가 부족한지, 어떠한 학습 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와 각 하위요소의 정의를 제시한 윤도운 외(2018)의 분석틀을 기준으로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의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의 활동과 평가 문항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핵심역량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함양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다.1,2 이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과학과 핵심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1 이와 같은 과학과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위해서는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하는 것을 진술한 성취기준에 과학과 핵심역량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함양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있다.1,2 이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과학과 핵심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게 성취기준과 교수-학습과 평가간에 일관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는 교수-학습 전·중·후 평가를 통해 교육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활동 전반을 점검하고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을 개선하고자 노력한다.12,13 즉, 교수-학습과 평가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게 성취기준과 교수-학습과 평가간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inistry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oul, Korea, 2015. 

  2. So, K. H.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15, 33, 199. 

  3. Paik, N. J.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14, 32, 163. 

  4. Choi, J. I.;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277. 

  5. Kim, P. G.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5, 23, 91. 

  6. Choi, K. H.; Kim, S.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6, 16, 303. 

  7. Kwak, Y.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855. 

  8. Kim, S. Y.; Jeong, E. 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20, 53. 

  9. Choi, M. J.; Choi, A. R.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436. 

  10. Jeon, Y.; Choi, A. R.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59. 

  11. Kim, M. J.; Hong, J. E.; Kim, S. H.; Lim, C. 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7, 41, 318. 

  12.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49. 

  13. Cronbach, L. J.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3rd ed.; Harper and Row: New York, 1970. 

  14. Park, N. M.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Physics Part in the 7th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s : Focu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cience Core Competency. M.D. Thesis, Chosun University: Korea, 2016. 

  15. Song, S. C.; Shim, K. C. Biology Education 2018, 46, 222. 

  16. Choi, S. 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atio of Science Core Competence by Analyzing the Question of CSAT Physics I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M.D.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7. 

  17. Yun, D. U.; Ko, E. A.; Choi, A. 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18, 1301. 

  18. Park, E. M.; Kang,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7, 27, 225. 

  19. Lee, J. W.; Choi, A. 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 17, 85. 

  20. DeBoer, G. 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0, 37, 582. 

  21. Lee, J. S.; Kim, E. J.; Kim, D. H.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2017, 11, 1. 

  22. Kang, N. H.; Lee, E. 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3, 33, 132. 

  23. Kim, S. 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010, 9, 37. 

  24. Kim, H. R.; Choi, S. Y.; Lee, K. J.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4, 33, 700. 

  25. Park, Y. S. A Study for Propriety of Resonable Model of Making Decision in Social Studies. M.D.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1. 

  26. Kim, Y. S.; Seo, H. J.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11, 19, 1. 

  27. Han, C. H.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12, 19, 65. 

  28. Kim, K. M.; Kim, S. W.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2, 22, 540. 

  29. Park, H. J. Teacher Education Research 2016, 55, 389. 

  30. Yang, I. H.; Na, J. C.; Lim, S. M.; Lim, J. K.; Choi, H. 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8, 27, 221. 

  31. Paik, S. H.; Ryu, H.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593. 

  32. Park, H. J.; Jung, Y. E. Studies in Educational Research 2011, 32, 57. 

  33. Oh, H. S.; Lee, K. Y.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6, 9, 405. 

  34. Noh, T. H.; Lee, J. W.; Kang, S. J.; Kang, H.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725. 

  35. Cho, H. S.; Nam,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583. 

  36. Jo, H.; Choi, A. R.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5, 59, 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