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평가문항 분석
An Analysis of Unit Evaluation Item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교육연구논총 : 忠北大學校敎育開發硏究所 = CBNU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38 no.1, 2017년, pp.29 - 39  

조창현 (순천대학교) ,  최원호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산염기 및 산화 환원 단원의 문항을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 문항에서는 지식 영역의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순으로 그 요소는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출판사에 따라 각 문항에 나타난 인지 영역의 하위 영역이 골고루 포함되지 않았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출판사의 교과서 단원평가 문항을 참조하여 수업에 이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of acid base and redox unit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using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lements of knowledge area appeared the most in textbook items of all pu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문항 분석을 시도한 연구(허진, 2012; 오지훈, 2015)가 있지만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산염기 및 산화환원 단원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중 산염기와 산화환원 단원의 단원 평가 문항은 어떤 인지 영역으로 제시되어 있는지와 출판사별로 문항의 분포 경향성을 조사하여 교과서에 포함되는 단원 평가 문항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 평가의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은? 교육은 인간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유목적적인 행위이이기 때문에 교육평가의 목적은 교육 목표의 성취 정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을 높이는 것이어야 한다(성태제, 2002). 이러한 교육 평가의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결과에 대한 총합평가보다는 학교의 교실수업과 학습상황에서의 평가, 즉 과정중심의 형성평가로 평가목적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김성숙 외, 2013).
교과서에서 제시된 단원 평가 문항 분석에 따른 인지영역 비율은? 그리고 분석, 종합, 평가 요소를 포함한 문항은 지식, 이해영역에 비해 매우 적었다. 즉, 지식(94.9%')">) > 이해(27.6%) > 적용(13.2%) > 분석(6.8%) > 종합(3.8%) > 평가(0.2%) 순으로 교과서에 반영되는 각 인지 영역의 비율이 나타났다. 즉, 지식을 요구하는 요소는 문항에 많이 포함된 반면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능력을 요구하는 요소는 문항에서 나타나는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교육이란? 교육은 인간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유목적적인 행위이이기 때문에 교육평가의 목적은 교육 목표의 성취 정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을 높이는 것이어야 한다(성태제, 2002). 이러한 교육 평가의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결과에 대한 총합평가보다는 학교의 교실수업과 학습상황에서의 평가, 즉 과정중심의 형성평가로 평가목적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김성숙 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경희, 임성미 (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 문항의 인지적 영역 분석 - 7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2), 125-132.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3.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5.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2013). 학습지향적 평가를 위한 형성평가 실천. 2020 한국 초.중등 교육의 향방과 과제(성태제 편), 서울: 학지사. 

  6. 박재용, 이기용 (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7. 서영진, 김형수, 채희권 (2010). 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화학2 단원평가문항 분석. 대한화학회지, 54(3), 329-337. 

  8. 성태제 (2002).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9. 오지훈 (2015). 2009 개정 지구과학 I 교과서와 EBS 교재 및 교육과정 평가 문항의 비교.분석 : '위기의 지구'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윤희 (2009). 제 7차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형성평가 문항의 단원 적합성 분석-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단원을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 

  11.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8). 과학과 수업모형. 파주: 교육과학사. 

  12. 최병순 (2007).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 제2개정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13. 최소영 (2000).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생명'단원에 대한 평가문항의 비교와 활용도 조사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허진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비상교육 고등학교 생명과학 I 교과서 평가문항 분석 : I, II, III단원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Access Center (2006). Science inquiry: The link to access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hington, DC: The Access Center. 

  16. Bell, B., Cowie, B. (1997). Formative Assessment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port of the Learning in Science Project(Assessment). Hamilton: University of Waikato. 

  17. Black, P. (1995). Can Teachers Use Assessment to Improve Learning British Journal of Curriculum & Assessment, 5(2), 7-11. 

  18. Brown, F. (2000). The effect of an inquiry-oriented environmental science sourc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ttitudes about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2, 1-6. 

  19. BSCS (2005). Doing science: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CO: Colorado Springs. 

  20. Cameron, J., Pierce, D. P. (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3), 363-367. 

  21. Davila, K., Talanquer, V. (2010). Classifying End-of-Chapter Questions and Problems for Selected General Chemistr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1), 97-112. 

  22. Hammerman, E. (2006). Essentials of inquiry-based science, K-8. CA: Corwin Press. 

  23. National Academy Press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