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The Effects of National Science Leading School Program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ffecting P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2, 2019년, pp.279 - 293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  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  김희경 (강원대학교) ,  이성희 (서울강서초등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사업을 수행한 과학선도학교 중에서 2017년 2학기 말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제출한 총 117개 과학선도 학교의 학생 11,488명과, 비교군으로 50개 일반학교 학생 1,315명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 학교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긍정경험 전체 점수에서는 창의융합형 과학실 모델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과학중점학교와 사다리 프로젝트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과학긍정경험 하위 영역별로 각기 다른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보다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교수 학습 방법 및 자료 활용과 평가의 영향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에서 항목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과학선도학교 여부에 관계없이 많은 교사들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교 밖 과학 활동, 학생 중심의 과제 연구 및 탐색 활동, 자료의 활용 측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기기의 활용, 그리고 평가 방법 중 관찰 평가와 실험보고서 평가가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tional science leading school program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ffecting students' PES. For this study,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IP...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중점학교 교사들은 교사 중심 확인 실험이 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유형의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은 무엇을 보여주는가? 또한 과학중점학교 교사들은 교사 중심 확인 실험이 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유형의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 중심 확인 실험도 어떻게 구성 하고 실행하느냐에 따라 단순 보여주기 시범이 아닌 학생들의 호기심 을 자극하고 주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긍정경험의 기회로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학생참여형 과학수업학교의 교사들은 다른 유형의 교사들에 비해 강의 위주 수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 는 영향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 학습 정서란?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지는 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과학관련 진로 포부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 학습 정서’는 과학 학습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진 다양한 정서 특징을 의미하며, 긍정 학습 정서(즐거움, 만족감, 흥미)와 부정 학습 정서(지루함, 짜증, 불안) 2가지 하위 요소에 대하여 각각 3문항 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관련 자아개념’은 과학 학습과 관련하여 학생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과 자신감을 의미하며, 하위 요소로는 자아효능감(3문항)과 자아존중감(3문항)의 2가지가 있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지의 구성은? , 2017b)에서 개발한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이하 TIP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지는 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과학관련 진로 포부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 학습 정서’는 과학 학습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진 다양한 정서 특징을 의미하며, 긍정 학습 정서(즐거움, 만족감, 흥미)와 부정 학습 정서(지루함, 짜증, 불안) 2가지 하위 요소에 대하여 각각 3문항 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S. (2000). Princi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Gyoyookgyahaksa. 

  2. Cho, J., Kim, S., Kim, M., Ok, H. J., Lim, H. M., & Son, S. K. (2012). Ways of improving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PISA and TIMSS results (Research Report CRE 2012-4). Seoul: KICE. 

  3. Choe, S., Kim, J., Park, S., Og, E., Kim, J., & Baek, H. (2013).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Research Report RRE 2013-18). Seoul: KICE. 

  4. Fredericks, J. A., Blumenfeld, P. C., & Paris, A. H.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1), 59-109. 

  5. Jung, Y.-H., Shin, S., & Lee, J.-K. (2015). The qualitative case study on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reflective practice.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2), 315-351. 

  6. Kim, H., Kwak, Y., Kang, H., Shin, Y., Lee, S., & Lee, S-Y.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mponent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507-521. 

  7. Kim, J., Na, J., & Song, J. (2018).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65-574. 

  8. Kim, Y. (2009). Effects of project program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attitude or interesting for scienc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Korea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15). Development research of draft of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II - Science curriculum (Research Report BD15110002). Seoul: KOFAC. 

  10. Ku, J., Cho, S., Lee, So., Park, H., & Ku, N. W. (2017).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in-depth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7-9). Seoul: KICE. 

  11. Kwak, Y., & Park., S. (2018). Effect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8th grade science achievement among top-performing countries in TIMSS 2015.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1), 66-79. 

  12. Kwon, C., Hur, M., Yang, I., & Kim, Y. (2004). A caus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of change in science attitude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256-1271. 

  13. Lee, J.-R., & Lee, H.-S. (2017).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cience core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16(3), 37-50. 

  14. Lee, M., & Kim, G. (2004).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2), 399-407. 

  15. Ministry of Education (2016a). General plans for science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2.). 

  16. Ministry of Education (2016b). Result announcement of PISA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2. 6.). 

  17. Ministry of Education (2016c). Result announcement of TIMSS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1. 29.). 

  18. Oh, H.-R., & Kim, H.-B. (2011). A study on the extra curricula science-related hands-on experience programs implemented in science-focused high schools. School Science Journal, 5(2), 73-83. 

  19. Park, Y., Jeong, H., & Lee K. Y. (2011). Exploring students' ability of 'Doing' scientific inquiry: The cas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2), 225-238. 

  20. Pekrun, R., Goetz, T., Frenzel, A. C., Barchfeld, P., & Perry, R. P.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1), 36-48. 

  21. Sang, K., Kwak, Y., Park, J. H., & Park, S. (2016).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Research Report RRE 2012-4-3). Seoul: KICE. 

  22. Schutz, P. A., & Pekrun, R. (2007). Emotion in education. Amsterdam: Academic Press. 

  23. Shin, Y., Kang, H., Kwak, Y., Kim, H., Lee, S.-Y., & Lee, S. (2017a).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s. Biology Education, 45(1), 41-54. 

  24. Shin, Y., Kwak, Y., Kim, H., Lee, S.-Y., Lee, S., & Kang, H. (2017b).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25. Son, J., Lee, B., Choi, J., Kim, J., Park, J., Seo, H., Shim, K., Lee, K., & Lee, S. (2013). Satisfactions wit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t science core school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New Physics: Sae Mulli, 63(4), 379-389. 

  26. Zion, M., & Mendelovici, R. (2012). Moving from structured to open inquiry: Challenges and limi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3(4), 38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