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Focused on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6 no.2, 2019년, pp.107 - 116  

최금희 (춘해보건대학교) ,  홍민주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 ,  권수혜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with nursing students's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The focus was on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Method: For the sample 258 fourth graders of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전이 [14],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실습 만족도[15] 등이 확인된 바 있고, 간호전문직관과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간의 관계[9] 등이 연구된 바 있으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간호전문 직관, 자기효능감을 주요변수로 조사한 연구는 시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 및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들 변인들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실무능력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간호업무는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역량의 통합에 기인한다[6]. 다시 말하면, 간호사의 실무능력은 개인의 간호전문직에 대한 견해, 즉 간호전문직관과 전문가로서의 역량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를 담당하는 자의 간호활동 과정 또는 그 직분 자체에 대한 직업적인 견해를 말한다[7].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지식과 기술, 판단을 보여주고 유능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인 임상수행능력의 기초가 되므로[3], 간호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학년별, 또는 실습 교과목별로 해당되는 핵심기본간호술을 교내실습과 임상실습을 통해 학습하게 하고, 항목별 핵심기본간호술의 성취여부에 대한 평가관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은 이론과 교내실습 등을 통해 반복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후 직접 간호수행 시에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저하되어 간호사의 실무적용을 방해하거나 이직 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4]. 임상현장에서의 적응과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도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간호 실무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여 숙련된 전문간호인력이 되도록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어떠한 일을 하고 있는가? 간호 교육자들은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졸업한 간호사가 간호 실무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여 숙련된 전문간호인력으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도 간호교육에서 성취되어야 할 학습성과와 필수적으로 성취되어야 할 20가지 핵심기본간호술기를 제시하고 인증평가를 통해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 있어, 간호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성과 달성뿐만 아니라 핵심기본간호술기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중에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능력으로, 어떤 의료현장에서든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술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ng SS, Kim IO.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628-638.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628 

  2. Park SN, Lee SK.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1):6-13. 

  3. Barret C, Myrick F.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8;27:364-371.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4. Kim YH, Hwang SY, Lee AY.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37-46.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37 

  5. Kim A, So M. Satisfaction of practice education, performance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of basic core skill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al Science, 2012;5(3):88-94. 

  6. Caruso R, Pittella F, Zaghini F, Fida R, Sili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self efficacy scal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6;63(3):455-464. https://doi.org/10.1111/inr.12291 

  7. Yeun EJ, Kwon YM, Ahn O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8. Han SS, Kim MH, Yung EK.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4(1):73-79.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9. Lim DY, Jang HJ. The relationship with the knowledg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4):279-289.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279 

  10. Cheraghi F, Hassani P, Yaghmaei F.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self efficacy in clinical performance scal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56(2):214-221. https://doi.org/10.1111/j.1466-7657.2008.00685.x 

  11. Zhu DQ, Norman IJ, While AE. Nurses' self-efficacy and practices relating to weight management of adult patients: a path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13;10(1):131. https://doi.org/10.1186/1479-5868-10-131 

  12.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3. Whang SJ.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2):205-213. 

  14. Lee I, Park CS.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erformance compet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3):297-307. https://doi.org/10.7739/jkafn.2015.22.3.297 

  15. Choi GH, Kwon S.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um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5):626-635.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26 

  16. Sherer M, Maddux JE, Meracndante B, Prentice-Dunn S, Jacop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7. Jung JH, Park HS. A study on smoking factors and self-efficacy of vocational female high 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2;8(2):271-283. 

  18. Park YR.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07;14(4):429-436. 

  19. Yang JH, Park KY, Kim MJ, Yang YO.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n performa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2012;14(5):2611-2622. 

  20. Ham YS, Kim HS.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ticipating graduation according to nursing educational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3):363-373. https://doi.org/10.7739/jkafn.2012.19.3.363 

  21. Choi SY, Lee MA.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intent to stay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3):234-244.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234 

  22. Yoon HK, Choi J, Lee EY, Lee H, Park M.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58-667.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5.658 

  23. Kim SO, Kang BH.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8):172-182. https://doi.org/10.5762/KAIS.2016.17.8.172 

  24. Park JW, Kim CJ, Kim YS, Yoo MS, Yoo H, Chae SM, et al.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12;24(3):223-231. https://doi.org/10.3946/kjme.2012.24.3.223 

  25. Yoo MR, Kang M, Kim H, Han HL, Choi J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23(1):27-36. https://doi.org/10.5977/jkasne.2017.23.1.27 

  26. Shin EJ.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380-386. 

  27. Kelly S, Courts 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ew graduate nurs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07;7(5):332-337. https://doi.org/10.1016/j.nepr.2006.10.004 

  28. Lightsey OR, Barnes PW. Discrimination, attributional tendencies, generalized self-efficacy, and assertiveness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Black Psychology. 2007;33(1):27-50. https://doi.org/10.1177/00957984062950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