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지형도와 항공 LiDAR를 이용한 도로인접 사면 땅밀림 발생지 변위 특성 분석
Analysis on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Slow-Moving Landslide on a slope near road Using the Topographic Map and Airborne LiDA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27 - 35  

서준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기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땅밀림과 같이 예측할 수 없는 재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 합리 효과적인 복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치지형도와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땅밀림 발생지역에서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 자료를 통하여 땅밀림 발생지점을 탐지하고 지형변화와 발생규모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대상지는 국내 땅밀림 발생의 일반적 형태인 말굽형태로 나타났고, 붕괴방향은 북쪽이었다. 땅밀림 발생의 전체 면적은 약 2.5ha, 활락애는 길이 약 327.3m, 평균 폭 19.3m, 평균 깊이 8.6m로 분석되었다. 땅밀림이 대규모로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도로가 위치한 인접사면에서 발생하여 옹벽 도로가 파손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땅밀림 발생지의 현장조사는 접근성, 안전성 등의 문제로 제한사항이 있지만 항공 LiDAR를 통하여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항공 LiDAR는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신속 지속 장기적인 모니터링에는 무인기에 LiDAR를 탑재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땅밀림 발생지에서는 땅밀림의 이동방향, 규모 변화와 같은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해서 복구계획 수립 및 피해를 예방하는데 있어 활용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in slow-moving landslide area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and airborne LiDAR when unpredictable disaster such as slow-moving landslide occurred. We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rapid, reasonable and eff...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과거에 제작된 수치지형도와 땅밀림 발생이후의 항공 LiDAR를 비교·분석하여 균열 등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측량분야와 나아가 센서 계측을 통한 땅밀림 모니터링 등 관련 산업분야 발전에 일조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땅밀림이 발생한 지역에서 변위 특성을 분석하고, 신속·합리·효과적인 복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수치지형도와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땅밀림이 발생한 지역에서 변위 특성을 분석하고, 신속·합리·효과적인 복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밀림(slow-moving landslide)의 의미는?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는 산사태 및 토석류 외에도 땅밀림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산지토사재해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다. 땅밀림(slow-moving landslide)은 강우 및 지하수에 의해 산지비탈면이 포화되고, 중력 작용에 의하여 느린 속도로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4-5]. 이러한 땅밀림은 하루에 0.
땅밀림으로 발생하는 균열 및 단차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변위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무엇들이 있는가? 땅밀림은 균열 및 단차가 곳곳에 있기 때문에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면 변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변위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측량기기를 이용하는 방법, 와이어 신축계·지중경사계 등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수치지형도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8].
땅밀림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땅밀림(slow-moving landslide)은 강우 및 지하수에 의해 산지비탈면이 포화되고, 중력 작용에 의하여 느린 속도로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4-5]. 이러한 땅밀림은 하루에 0.01∼10mm 또는 일 년에 cm 또는 m 단위 정도로 서서히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 O'Brien, P. O'Keefe, J. Rose, B. Wisner, "Climate change and disaster management", Disasters, Vol.30, No.1 pp. 64-80, March, 2006. DOI: https://doi.org/10.1111/j.1467-9523.2006.00307.x 

  2. B. G. Chae, J. H. and Jeong, H. K, "A feasibility study of a rainfall triggering index model to warn landslides in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26, No.2 pp. 235-250, May, 2016. DOI: https://doi.org/10.9720/kseg.2016.2.235 

  3. Korea Forest Service, "2013 Main Business Plan Details", Korea Forest Service, Republic of Korea, 2013. 

  4. Korea Forest Service, "Soil Erosion Control Works Technology Textbook", pp. 432, Korea Forest Service, Republic of Korea, 2014. 

  5. K. W. Chun, "Erosion Control Engineering", pp. 426, Hyangmoon Publisher, Republic of Korea, 2011. 

  6. J. H. Park, K. Choi, J. S. Bae, H. S. Ma, J. H. Le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I)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94, No.3 pp. 129-134, March, 2005. 

  7. K. D. Kim, J. H. Park, C. W. Lee, M. J. Kang, "Crack Form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in Land Creeping area on Okjong, Hado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105, No.4 pp. 435-440, November, 2016. DOI: https://doi.org/10.14578/jkfs.2016.105.4.435 

  8. J. P. Seo, C. S. Woo, C. W. Lee, D. Y. Kim, "A Study on Detection and Monitoring in Land Creeping Area by using the UAV",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11 pp. 481-487, November,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481 

  9. B. M. Woo, J. H. Park, H. T. Choi, G. S. Jeon, K. H. Ki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Hyuseok-dong(I)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urface Displac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85, No.4 pp. 565-570, March, 1996. 

  10. Korea Forest Service, "Implementation plan for landslide prevention in 2018", pp. 398, Korea Forest Service, Republic of Korea, 2018. 

  11. R. Tadashi, "A Survey of the landslides",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27, No.3 pp. 41-50, December, 1974. DOI: https://doi.org/10.11475/sabo1973.27.3_41 

  12. K. Inoue, "Interpretation of landslide topography-How to read aerial photographs-",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61, No.1 p. 61, May, 2008. DOI: https://doi.org/10.11475/sabo.61.1_61 

  13. T. Sugimoto, T. Nozaki, H. Sakai, "Applicability of helicopter magnetic prospecting to the landslide area on the rim area of Toga-Graben",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66, No.1 pp. 23-29, January, 2013. DOI: https://doi.org/10.11475/sabo.66.1_23 

  14. C. S. Woo, H. J. Youn, C. W. Lee, K. S. Lee, "Estimation of Spatial Soil Distribution Changed by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101, No.1 pp. 20-27, October, 2012. 

  15. N. F. Glenn, D. R. Streutker, D. J. Chadwick, G. D. Thackray, S. J. Dorsch, "Ana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Vol.73, No.2006 pp. 131-148, September, 2006. DOI: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7.006 

  16. M. V. D. Eechauk, J. Poesen, G. Verstraeten, V. Vanacker, J. Nyssen, J. Moeyersons, L. P. H. van Beek, L. Vandekerchove, "Use of LIDAR-derived images for mapping old landslides under forest",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32, pp.754-769. September, 2007. DOI: https://doi.org/10.1002/esp.1417 

  17. S. Ghuffar, B. Szekely, A. Roncat, N. Pfeifer, "Landslide Displacement Monitoring Using 3D Range Flow on Airborne and Terrestrial LiDAR Data", Remote Sensing , Vol.2013, No.5 pp. 2720-2745, May, 2013. DOI: https://doi.org/10.3390/rs5062720 

  18. R. F. Chen, C. W. Lin, Y. H. Chen, T. C. He, L. Y. Fei,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Active Thrust Fault and Deep-Seated Landslides in Dense Forest Areas of Southern Taiwan Using Airborne LiDAR DEM", Remote Sensing , Vol.2015, Np.7 pp. 15443-15466, November, 2015. DOI: https://doi.org/10.3390/rs71115443 

  19. H. Choi, "Evaluation of the Optimum Interpolation for Creating Hydraulic Model from Close Range Digital 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3, No.3 pp. 251-260, September, 2005. 

  2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http://map.ngii.go.kr/, 2019. (Retrieved 2019.2.13.). 

  21. C. S. Woo, "Development of the restoration method of topography for debris flow area using airborne Lidar data", pp. 122, Inha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1. 

  22. Korea Forest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Soil erosion control works related glossary", pp. 491, Korea Forest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Republic of Korea, 2011. 

  23. J. H. Park, S. G. Park, "Analysis of Instances of Characteristics Land Creep on the Mine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ol.107, No.4 pp. 393-401, November, 2018. DOI: https://doi.org/10.14578/jkfs.2018.107.4.393 

  24. J. H. Park, C. W. Lee, M. J. Kang, K. D. Kim,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Land Creeping Occurrenc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Vol.49, No.5 pp. 133-144, October, 2015. DOI: http://dx.doi.org/10.14397/jals.2015.49.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