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 및 심각성 인식에 따른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및 이용 시 정서 특성 차이 비교
Effects of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ers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Irrati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Usages and Related Emotional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222 - 230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청소년(만10~19세)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33명이었다. 분석 방법으로 ${\chi}^2$검정,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의 심각성 정도와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038명(51.1%),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480명(23.6%),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365명(18.0%),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50명(7.4%)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네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이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보다 스마트폰 이용 시 느끼는 긍정 정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특징을 이해하고, 과의존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dentified groups depend on the relationship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tself. The study also explored gender positions in classified grou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percepti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기초한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 3)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기초해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4)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기초해 분류된 집단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기초해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경험과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 첫째, 선행연구의 스마트폰 중독 분류 방법에 기초하여[36] 스마트폰 과의존성의 심각성 정도의 분류 유형인 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일반사용자군을 위험사용자군(위험군, 잠재적위험군)과 일반사용자군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위험군과 잠재적위험군을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한 이유는 본 연구의 목적 자체가 위험사용자군의 특성을 보이는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성의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자기인식에 대한 선택지 중 ‘다른 사람들과 비슷하게 의존적이다’의 중립적 반응을 제외하고 ‘다른 사람들에 비해 전혀 의존적이지 않다’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별로 의존적이지 않다’로 응답한 경우 심각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은 집단, ‘다른 사람들에 비해 좀 더 의존적이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매우 의존적이다’로 응답한 경우 심각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스마트폰 중독 관련 연구들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집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 심각성 정도뿐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하여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특징을 이해하고, 과의존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제적 의의가 있다.
  • 하지만 이들 연구들은 측정도구로 확인된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성별 간 차이를 확인했기 때문에,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의 심각성을 함께 고려한 차이를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과의존성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구분된 집단 특성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청소년은 성인보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하며[10], 직장, 학교, 사회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과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1].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신체적 문제, 정서적 문제, 수면 문제, 학업성취 문제, 직무성과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
스마트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이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비합리적 신념은 매체 이용을 증가시켜 결국 금단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20].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은 일반적인 비합리적 신념이 성취동기, 사회불안, 자아존중감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21-23].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이 일으키는 문제는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하며[10], 직장, 학교, 사회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과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1].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신체적 문제, 정서적 문제, 수면 문제, 학업성취 문제, 직무성과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개인변인인 성격, 불안, 충동성, 자아 존중감, 자기효능감, 소속감의 욕구, 대인관계 지향성, 생활스트레스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환경변인으로는 가족 기능, 사회적 네트워크 범위, 친구와의 관계 등이 보고되고 있다[12-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 S. Kim, "The mediator effector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rel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23, pp.945-971,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23.945 

  2. E., Duke, C. Montag, "Smartphone addiction, daily interruptions and self-reported productivity", Addictive Behaviors Reports, Vol.6, pp.90-95, 2017. DOI: https://doi.org/10.1016/j.abrep.2017.07.002 

  3. M. Kwon, J. Y. Lee, W. Y. Won, J. W. Park, J. A. Min, C. Hahn, X. Gu, J. H. Choi, D. J.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SAS)", PLoS ONE, Vol.8, e56936, 2013.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6936 

  4. A. Lepp, J. E. Barkley, A. C. Karpinski,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academic performance,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1, pp.343-350, 2014. DOI: http://dx.doi.org/10.1016/j.chb.2013.10.049 

  5. X. Xie, Y. Dong, J. Wang, "Sleep quality as a mediator of problematic smartphone use and clinical health symptom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7, No.2, pp.466-472, 2018. DOI: http://dx.doi.org/10.1556/2006.7.2018.40 

  6. U. C. Kim, Y. S. Park, "Conception of self in Korea: Indigenous, cultur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12, No.4, pp.1-36, 2006. 

  7. M. M. Englund, B. Egeland, E. M. Oliva, W. A. Collins, "Childhood and adolescent predictors of heavy drinking and alcohol use disorders in early adulthood: A longitudinal developmental analysis", Addiction, Vol.103, pp.23-35, 2008. DOI: https://doi.org/10.1111/j.1360-0443.2008.02174.x 

  8. J. Sun, Q. Liu, S. Yu, "Child neglect, psychologic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The ro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y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90, pp.74-83, 2019. DOI: https://doi.org/10.1016/j.chb.2018.08.032 

  9. S. Haug, R. P. Castro, M. Kwon, A. Filler, T. Kowatsch, M. P. Schaub,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young people in Switzerland",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4, No.4, pp.299-307, 2015. 

  10. S. S. Cha, B. K. Seo,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Prevalence,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game use", Health psychology open, Vol.5, No.1, 2055102918755046, 2018. DOI: https://doi.org/10.1177/2055102918755046 

  11. J. Billieux, P. Maurage, O. Lopez-Fernandez, D. J. Kuss, M. D. Griffiths, "Can disordered mobile phone use be considered a behavioral addiction? An update on current evidence and a comprehensive model for future research", Current Addiction Reports, Vol.2, pp.154-162, 2015. DOI: https://doi.org/10.1007/s40429-015-0054-y 

  12. S. Y. Park, K. H. Yoon,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18, pp.405-434, 201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8.405 

  13. J. W. Lee, N. Y. Lee, "The effect of stress about campus lif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2, pp.303-317, 2018.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2.303 

  14. M. S. Jung, M. S. Le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some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ion and Welfare, Vol.2, No.1, pp.7-29, 2018. 

  15. Z. Hussain, M. D. Griffiths, D. Sheffield, "An investigation into problematic smartphone use: The role of narcissism, anxiety, and personality factor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6, No.3, pp.378-386, 2017. 

  16. J. Ihm, "Social implications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upport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7, No.2, pp.473-481, 2018. 

  17. H. N. Lee, J. H. Kim,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Korean adolesc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sian Nursing Research, Vol.12, No.2, pp.91-98, 2018. DOI: https://doi.org/10.1016/j.anr.2018.03.002 

  18. P. Wang, M. Zhao, X. Wang, X. Xie, Y. Wang, L. Lei, "Peer relationship and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role of the need to belong",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6, No.4, pp.708-717, 2017. DOI: https://doi.org/10.1556/2006.6.2017.079 

  19. E. Y. Kim, M. J. Yoon, L. S. Kim, "The impa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on belief of smartphon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 The needs of smartphone use as mediating variable", Forum For Youth Culture, No.44, pp.33-66, 2015. 

  20. Y. S. Lee, E. Y. Kim, L. S. Kim, Y. H. Choi, "Development and effect evalu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22, No.1, pp.303-334, 2014. 

  21. S. H. Lee, "A tes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school adapta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20, No.2, pp.21-44, 2018. 

  22. E. C. Lee,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5, No.12, pp.640-649, 2015. 

  23. Y. S. Choi, J. M. Kim, "The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ocial anxiety",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Vol.26, No.2, pp.103-114, 2008. 

  24. S. J. Kim, J. H. Kwon, "Effects of emotion experiences and gaming motivations on internet gaming behaviors in daily life : A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stud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4, pp.573-589, 2018, 

  25. S. M. Park, E. M. Lim, S. S. Jang. "The differences in adults' internet using motivation and opinions for how to use internet healthily depending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9, No.2, pp.421-435, 2008. 

  26. D. S. Park, E. Y. Yu, B. H. Lee, "Relation between motivations of using smartphone and its overuse in health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5, pp.2281-2292, 2013. 

  27. S. H. Byun, J. M. Kim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adolescents'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and adaptation to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5, No. 2, pp. 47-58. 2007. 

  28. S. J. Lee, M. K. Rhee, "Effect of personalities and use motivations of smartphone user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1, No.2, pp.357-372, 2016. 

  29. L. Leung, "Stressful life events, motives for internet use, and social support among digital kid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0, No.2, pp.204-214, 2007. DOI: https://doi.org/10.1089/cpb.2006.9967 

  30. B. S. Park, S. W. Bae,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analysis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of adolescents depending on gender and school stag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8, No.2, pp.65-84, 2016. 

  31. E. Y. Koh, E. H. Kim, "The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5, 419-429, 2017. 

  32. H. S. Jeon, S. O. Jang,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1, No.8, pp.103-129, 2014. 

  33. H. S. Hwang, S. H. Sohn, Y. J. Choi,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25, No.2, pp.277-313, 2011. 

  34. J. S. Hyun, C. J. Park, H. H. Ha,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in time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bout mobile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6, pp.412-424, 2013. 

  3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urve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NIA V-RER-C-17042, 2017. 

  36. E. J. Lee, Y. K. Kim, S. J. Lim,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4, pp.525-533, 2017. 

  37. Mertler, C., Vannatta, R., "Advanced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Practical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3rd ed.)", Los Angeles: Pyrczak, 2005. 

  38. E. S. Choi,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trauma to internet.smart phone addi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2, pp.375-383. 2017. 

  39. K. J. Lee, O. H. Kim, Y. H. Ha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mart phone addiction tendency: Mediator effect of negative affect and regulation effect of self elastic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8, No.3, pp.95-11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